•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emotional competenc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유능성지각과 문제행동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 정현희;정순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3-103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The subjects were 3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questionnaires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ores(venting and support pursuit), and according to birth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ived self-competence scores and behavior problem scores.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ores and behavior problem scores,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ceived self-competence scores and behavior problem scores. (3) Children's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explained children's anxiety behavior, withdrawal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distracted behavior and regressive behavior.

청소년의 분노표현 양식과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학교분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ger expression style and perceived emotional competence on school anger in adolescents)

  • 김진영 ;고영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1호
    • /
    • pp.63-7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분노표현 양식과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학교분노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304명(남자 134명, 여자 170명)에게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Korean Version of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중 분노표현 양식 척도(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 한국판 학교분노 척도(Korean Version of School Anger Inventory), 그리고 한국판 특성 메타-기분 척도(Korean Version of Trait Meta-Mood Scale; K-TMM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분노는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와는 정적인 상관을 그리고 분노통제 및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학교분노에 대한 분노표출과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상호작용 효과 그리고 학교분노에 대한 분노억제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에 학교분노에 대한 분노통제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에서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 점수가 낮은 경우에는 학교분노에 대한 분노 통제의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에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 점수가 높은 경우에는 학교분노에 대한 분노 통제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학교분노 수준을 경감시키기 위한 심리학적인 프로그램에서 분노통제의 기술과 더불어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PDF

아동의 역량지각과 관련변인들간의 인과모형분석 (The Analysis of the Causal Model of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Related Variables)

  • 이주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93-208
    • /
    • 199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ality of the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related variables(age, sex, socio-demographic variables, family structure, the number of brother, home environmental process variables and peer group environment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42 children at age five, seven, nine, eleven and thirteen attending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s and their mothers in Seoul. This study employed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scales(The Pictorial scales for 5, 7, Qestionnaire for 9, 11, 13) home environment scales and peer group enviornment scales(the Pictorial scales for 5, 7 Qestionnaire for 9, 11, 13) Freqencies one way-ANOVA Pearson's Cronbach's α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were used for data-analysi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ausal model showed that the variables that affected cognitive self-perceived competence directly were age, sex, parent's education economic status of the home the number of brother and peer's emotional support 2.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ausal model showed that the variables that affected social self-perceived competence directly were sex, economic status of the home, peer's emotional support and common activity. 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ausal model showed that the variables that affected physical self-perceived competence directly were age, sex, peer's emotional support and common activity.

  • PDF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감정조절, 지각된 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tres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 이지윤;이용미;박소영;이미자;정유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06-61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tres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students in nursing. Methods: A total of 362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in C and S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from December 1 to 15, 2012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Resul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eking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erceived stres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seeking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tres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 enhance pos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o reduce stress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aching program and curriculum for increas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여가경험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Leisure Experiences on Emotional Exhaustion: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Detachment)

  • 이재희;문광수;이예진;오세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3호
    • /
    • pp.409-433
    • /
    • 2013
  • 여가에 대한 연구는 최근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여가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여가경험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일과의 심리적 분리가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다양한 직종의 근로자 215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여가경험, 심리적 분리, 그리고 정서적 소진을 측정하였다. 여가경험은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능감, 사회교류감, 자연교류감, 그리고 자연통제감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여가경험 중 유능감이 정서적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과의 심리적 분리가 여가경험의 하위 요인 중 유능감과 정서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개인이 여가를 통하여 유능감을 느낄 수 있게 되면 일과의 심리적 분리가 활발히 진행되고 이에 따라 정서적 소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은 유능감을 느낄 수 있는 여가계획을 통해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에서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조직도 이러한 여가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뤄져야할 것이다.

  • PDF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능력 (Preschool Children's Social Competen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 윤정진;정옥분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1-331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subjects were 85 children enrolled in 10 kindergartens and nurseries located in Seoul. Social support was assessed by children themselves with a social support dialogue Cask, "My Family and Friends," developed by Reid, Lamdegman, and Jaccard (1989). This task consists of 12 dialogues based on Vygotskian principles. Social competency was assessed by teachers with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Song's Iowa Social Competency Scale (ISC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iles, mean, one-way ANOVAs, and Pearson's correlations. Results showed that (1) Children perceived parents to be the best multi-purpose social providers: mothers for emotional support and fathers for instrumental support. (2) Children with unemployed mothers perceived higher maternal emotional, informa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than children with employed mothers. (3) Middle-class children perceived higher friendship support than upper-or lower-class children. (4) Friendship support was the one variable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PDF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과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남아와 여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Gender-Specific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한준아;김지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5-678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se kinds of variables. The participants were 214 children in 4 to 6 grades and their teachers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negative emotion explained boys' and girls' peer social skills, frustration tolerance, and task orientation. Children's positive emotion regulation explained boys' and girls' peer social skills, assertive social skills, and task orientation. Boys, who perceived less maternal supervision, displayed less assertive social skills and task orientation.

부모-아동간 신념의 일치도와 아동의 학업 성취도 및 자기능력지각과의 관계 (Congruence of Parents and Children's Beliefs: Relationship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ived Competence)

  • 전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1-272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beliefs of parents and children,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behavior based on cognitive and interreactionary approach models. The Subjects were 138 children (68 eight-year-olds and 70 eleven-year-olds) and their parents.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odified Family Belief Interview Schedule(Alessandri & Wozniak, 1987), the Standard Achievement Test, and Harter's Perceived Competence Scale. Data analysis was by Pearson's r product moment correlation, two-way ANOVA, Fisher-Z test and Student-Newman-Keuls post-hoc tes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beliefs of parents and childre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children's perception of competence. (2) The congruence of parents' and children's beliefs was hightest in "assumed similarity". (3) Mother's positive view of their children and congruence of mother's and father's beliefs were correlated with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Parents' positive beliefs and congruence of beliefs were also correlated with children's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 PDF

병원서비스품질이 감정적 애착과 지각된 가치 및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spital Service Quality on Emotional Attachment,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 신경숙;안운석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3호
    • /
    • pp.49-67
    • /
    • 2021
  • 본 연구는 병원고객의 만족도와 관련한 중요한 원인으로 제안될 수 있는 병원서비스품질과 감정적 애착, 지각된 가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특히 병원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감정적 애착과 지각된 가치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병원을 찾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이 느끼는 병원서비스품질은 감정적애착과 고객만 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고객이 느낀 감정적 애착은 지각된가치와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고객이 느낀 감정적 애착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병원을 찾는 고객이 느끼는 서비스품질은 의사역량과 의료기술 역량에 대한 애착으로 이어져 이러한 애착에 의해 고객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즉, 병원을 찾은 고객들이 느끼는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가질 수 있는 감정적 애착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품질의 개선전략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고객이 의사의 역량과 의료기술에 대한 역량에 대해 높은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우수한 의료진과 의료기술을 구축해야 하며, 이러한 역량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홍보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에 의해 고객들은 의사와 의료기술에 대한 애착을 강하게 느끼게 됨으로써 병원에 대한 만족도가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호텔컨벤션 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Hotel Convention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김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57-471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 관계의 관점에서 호텔컨벤션 직원이 인지하는 조직후원인식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텔컨벤션 직원이 인식하는 조직후원인식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설1-1과 가설1-2를 검증한 결과, 수단적 후원은 의미감 및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단적 후원은 영향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설1-3과 가설1-4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후원은 의미감 및 역량 요인과 영향력 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설2를 검증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하위개념인 의미감 및 역량 요인과 영향력 요인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설3을 검증한 결과, 수단적 후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서적 후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