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perceptio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교육연극이 만 5세 아동의 또래지위별 또래수용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oes Educational Theater Work with Kindergarten Children The Impacts of Educational Theater on Children's Peer Acceptance and Self-Esteem)

  • 천희영;옥경희;김미해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39-4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educational theater on 5-years-old children, and more specifically,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s of the theater on children's peer acceptance and self-esteem are different by peer social statuses, that are, popular, average, and neglected/rejected Fifty seven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evaluated with the Sociometric Test (Coie & Dodge, 1983). The experimental subgroup (N=28) participated in the programmed educational theater for 9 session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peer acceptance items of Sociometric Test as well as the Self-Perception Profile based on SPPC (Halter, 1985), and the same tests were administer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Covariance analy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the children in the neglected/rejected category, in peer acceptance and social acceptance dimension of self-esteem. Global self-worth among children of popular and average categories, and total self-esteem among children of average category were also improved by the theater program. These results imply that educational theater programs can be used effectively to promote young children's social adjustment.

부모, 또래 및 교사가 아동의 자아개념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화적 비교 연구 : 한국과 중국 심양 조선족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s, Peers and Teachers on the Development of Self-Concept in Korean and Korean-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 Cross-Cultural Study)

  • 박혜원;이사라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9-182
    • /
    • 2005
  • Influence of parenting,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s suppor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concept was assessed in Korean and Korean-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280 Korean children in Korea and 210 Korean-Chinese children in Shenyang, China.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Adolescents(Harter, 1988), Parenting Practice(Cho et al., 2001), and 4 items from Social Support(Koo, 2000) were used to measure self-concept, parenting, and peer relationships, 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vealed differential influences between the two cultures : Korean children's self-concept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his/her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 support while Korean-Chinese children's self-concepts were influenced by teacher's support and parenting.

  • PDF

초등과학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우관계 비교 (Comparing Peer Relation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Ordinary Students)

  • 여상인;박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49-66
    • /
    • 2005
  •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교우관계와 초등과학 영재아동이 과학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지각하는 교우관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급에 등록된 영재아동 147명과 일반학급의 일반아동 253명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만족도, 아동이 느끼는 외로움, 교우관계의 질, 사회성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교우관계에서는 '아동이 느끼는 외로움', '교우관계의 질'에서 영재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느끼는 영재아동의 교우관계에서는 '교우관계의 만족도'와 '교우관계의 질'에서 일반학급보다 과학영재학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일반아동에 비하여 영재아동의 상호적인 교우관계 빈도가 더 높았다.

학령기 거부집단 아동의 친구관계 특성 (Friendship Characteristics of Rejected Children in Middle Childhood)

  • 신유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07-314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children's friendship factors such as number of friends, friendship quality, and friends' characteristics as a function of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The concordance between children's and their friends'perceptions of friendship quality was examined. Subjects were fifth grade students recruited from two public schools. The peer nomination index assessed peer rejection and acceptance. Positive and negative nominations as well as social preference identified children into rejected and popular groups. Children who nominated each other on their list of friends were considered mutual friends. Children reported the quality of their friendships using the friendship quality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rejected children had fewer mutual friends compared to popular children. Rejected children as well as their friends perceived their friendships less positively. Moreover, rejected children's perception showed lower correlations with their friends'perceptions than popular children's perceptions. Furthermore, rejected children were similar with friends in respect to peer rejection level. It was concluded that rejected children's problems in their peer group and dyadic friendships may mutually influence each other.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on friendship quality and psychosocial adjustment for rejected children.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종단적 변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의 접근 (A Latent Growth Modeling of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tudents' Perception about Schools)

  • 김수정;이윤수;송미령;송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75-285
    • /
    • 2020
  • 본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변화를 추적하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가 그 변화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변화의 결과가 학생들의 학습몰입, 자신감,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복지정책중점연구소에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총 103개 학교(초등학교 51개, 중학교 52개)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1차년도의 표본 수는 총 820명, 2차년도는 911명, 3차년도는 837명이었다. 본 연구는 무조건 성장 모형(unconditional growth model)과 조건 성장 모형(conditional growth model)의 두 단계를 거치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인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선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개선은 학생들의 학습몰입, 자신감, 교우관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에 대한 인식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교사 주도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제공하며, 집중지원이 필요한 학생에 대해서는 교육복지사 중심으로 맞춤형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반사회적행동(Antisocial Behavior) 아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S OF CHILDHOOD ANTISOCIAL BEHAVIOR)

  • 김태련;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14-25
    • /
    • 1992
  • 아동기의 반사회적 행동(Antisocial behavior)은 성인기의 장애로 이어지며(Robins, 1974)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청소년 비행과 범죄의 저연령화, 집단화, 재범화등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음을 볼때 아동기의 반사회적 행동은 새삼 관심을 집중시켜야 할 특성이다. 본 논문은 현행 법상 형사적 벌을 면하게 되는 14세미만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충분히 논의되어왔던 변인들을 제외하고 새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인지기능과 학습적 기능과 반사회적행동간의 관련여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저연령과 고연령집단, 반사회적행동 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에 따라 구분되어 배치된 총 64명의 아동들로써 사회적 환경지각 가운데 친구지각, 지인지각, 좌절상황지각을 측정했으며, 학습적 기능측정은 시각운동통압면, 쓰기표현면, 문법구성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시각면에서 반사회적행동 아동들은 일반아동에 비해 친구를 더 지지적인 관계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지인지각에서는 일반아동과 차이가 없었다. 둘째, 좌절상황지각면에서 일반아동들이 내벌적인 공격방향을 반사회적행동 아동집단보다 더 사용하고 있으며, 반사회적행동 아동들이 장해를 더 예민하게 지각하고 있으며, 반응의 형태에서도 반사회적행동 아동들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세째, 학습기능측정결과에서는 시각운동통합력, 쓰기표현력, 문법완성력 모두에서 일반아동이 의의있게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반사회적행동 아동들의 학습적기능의 결함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과잉양육행동과 또래소외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The Effects of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of Smartphone Dependency and Focus on Multi Group Analysis between Boys and Girls)

  • 박가화;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145-15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on the above relations. The subjects were 1,882 fir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selected from the 7th year data of the 2010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and Sobel test with SPSS 21.0 and Amos 18.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gender. However, boys were higher in the perception of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and girls were higher in smartphone dependency. Second, peer-alienat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had negative impacts on the school adjustment. But over-parenting behavio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ird, smartphone dependency played a mediator role between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as well as the school adjustment.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relations among over-parenting behavior, peer-alienation,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influ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on how to use smartphone correctly are important for improv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문제 생성 전략과 피드백이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uestion Generating Strategy and Feedback on Science Achievement, Self-efficiency and Perception of the Class in Middle School)

  • 문성배;김미혜;이지화;김윤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648-657
    • /
    • 2012
  • 본 연구는 문제 생성 전략과 피드백 방법이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도시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3개 반을 대상으로 비교 집단은 전통적인 수업과 교사가 배부한 학습지의 문제를 풀도록 하였고, 실험 집단 1, 2는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후 문제를 생성하고 동료에 의한 피드백과 교사에 의한 피드백을 각각 받도록 하였다. 수업 전 자기 효능감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수업 후에는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가 이루어졌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공분산분석, 다변량 공분산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성취도에 있어서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들 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으나(p<.01), 실험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5). 둘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자기 효능감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p<.01), 실험 집단 1은 자기 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 자기조절 부분에서(p<.01), 실험 집단 2는 과제 난이도 선호 부분에서(p<.01)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문제를 생성한 후 교사에 의한 피드백을 받은 실험 집단 2가 동료에 의해 피드백을 받은 실험 집단 1에 비해 수업에 대한 인식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 또래따돌림('왕따')의 예측요인 (Predicting Peer Rejec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with Ordered Probit Analysis)

  • 이상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357-379
    • /
    • 1999
  •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또래따돌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서열프로빗 분석을 이용해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특히, 개인, 가족 특성이외의 폭력에의 노출, 교칙의 공정성, 부정적인 또래관계 등 환경적 요인이 또래따돌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또래따돌림의 경험이 따돌림과 같은 또래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들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12개 중학교 20개 학급에서 총 714명의 중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서열프로빗 분석은 LIMDEP 7.0을 통해 분석되었고, 기술통계와 변량분석은 윈도용 SPSS 8.0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학교의 학생들중 35.8%가 다른 학생들을 따돌려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25.9%의 학생들이 또래따돌림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로는 또래따돌림 가해경험의 차이가 없었으며, 대신 저학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개인적 특성으로는 공격성과 교칙위반행동의 경험이 많을수록, 또래따돌림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하지만, 부모의 양육태도, 결손가족여부, 학업성적, 학업에 대한 태도 등 가족 및 학교생활 요인은 또래따돌림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또래따돌림을 당한 적이 있거나, 주변에서 따돌림이 많이 발생하는 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일수록 또래따돌림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따돌림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차원의 상담으로 풀어나가기 힘듦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가해자와 피해자가 이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가 아니라, 피해경험을 통해 가해경험을 학습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중첩적인 관계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궁극적으로 또래따돌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를 개입단위로 하는 예방프로그램과 전문적 원조체계의 도입이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 PDF

근거이론에 의한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의 성장과 발전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er Counselors in the Field of Disability based on Grounded Theory)

  • 박종환;박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16-5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 동료상담사와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 19명의 현장경험을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은 '갑작스러운 장애 발생으로 고군분투함', '장애를 수용하며 새 삶을 꾸려나감', '장애에 대한 생각을 고침', '우연히 동료상담사 양성교육에 참여함'의 인과적 조건에 따라 '동료상담사 역할 수행'과 '역할 수행의 원동력'의 중심현상을 경험하였고, 이 현상은 '상담교육을 통한 변화 경험'과 '동료상담의 필요성 인식'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이 어렵게 느껴짐', '역량부족에 따른 자의식', '미흡한 동료상담의 현주소'의 중재적 조건에 따라 '내적 역량강화'와 '외적 활동 도모'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동료상담사로서의 변화와 성장', '동료상담직 외 활동 영역 확대', '동료상담의 발전 과제 제시'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의 성장과 발전 과정은 '장애를 넘어 상담교육 입문의 단계', '변화를 거친 성장의 단계', '역량강화를 통한 진로 모색의 단계', '역할 도전이 이룬 입신의 단계'의 4단계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러한 과정의 핵심 범주는 '동료상담사로서의 성장과 발전은 역량강화에 근거한다'였다. 이 연구결과는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행기관의 실무 매뉴얼 마련, 인적자원 활용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