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ARIABLES OF CHILDHOOD ANTISOCIAL BEHAVIOR

반사회적행동(Antisocial Behavior) 아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태련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타) ;
  • 이경숙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타)
  • Published : 1992.12.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purposed to find out variables of childhood antisocial behavior. The variables consisted of social cognition competence(Peer perception. acquaintance perception, frustration situation perception). academic competence(Visual integration function. written expression function, grammar closure function).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32 nine year old-fourteen year old antisocial behavior boys and 32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second grade in middle school normal boys and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peer perception antisocial behavior children perceived peer as more supportive than normals. In acquaintance percep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2) In frustration situation perception, normal children used intropunitive attack still more than antisocial behavior children and antisocial behavior children perceived frustration situation more sensitive than normals and they were less active in problem solving aspects than normals. 3) In Academic competence, antisocial behavior children have deficits in visual motor integration function, written expression function. grammar closure function.

아동기의 반사회적 행동(Antisocial behavior)은 성인기의 장애로 이어지며(Robins, 1974)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청소년 비행과 범죄의 저연령화, 집단화, 재범화등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음을 볼때 아동기의 반사회적 행동은 새삼 관심을 집중시켜야 할 특성이다. 본 논문은 현행 법상 형사적 벌을 면하게 되는 14세미만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충분히 논의되어왔던 변인들을 제외하고 새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인지기능과 학습적 기능과 반사회적행동간의 관련여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저연령과 고연령집단, 반사회적행동 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에 따라 구분되어 배치된 총 64명의 아동들로써 사회적 환경지각 가운데 친구지각, 지인지각, 좌절상황지각을 측정했으며, 학습적 기능측정은 시각운동통압면, 쓰기표현면, 문법구성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시각면에서 반사회적행동 아동들은 일반아동에 비해 친구를 더 지지적인 관계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지인지각에서는 일반아동과 차이가 없었다. 둘째, 좌절상황지각면에서 일반아동들이 내벌적인 공격방향을 반사회적행동 아동집단보다 더 사용하고 있으며, 반사회적행동 아동들이 장해를 더 예민하게 지각하고 있으며, 반응의 형태에서도 반사회적행동 아동들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세째, 학습기능측정결과에서는 시각운동통합력, 쓰기표현력, 문법완성력 모두에서 일반아동이 의의있게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반사회적행동 아동들의 학습적기능의 결함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