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1.516

A Qualitative Stud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er Counselors in the Field of Disability based on Grounded Theory  

Park, Jong-Hwan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ark, Hee-Sung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peer counselors in the field of disability. The field experiences of 19 peer counselors with disabilities and peer counselors who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As a result, first, central phenomenon were 'assuming the role of a peer counselor' and 'motor of role performanc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the perception that counseling is difficult', 'self-consciousness deriving from the lack of competency' and 'the status of insufficient peer counseling'.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strengthening inner capacities' and 'promoting external activities'. Consequences were 'change and growth as a peer counselor', 'an expansion of activities other than peer counseling', and 'propose development tasks for peer counseling'. Second,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was confirmed in four stages: 'the stage of introductory counseling education beyond disability', 'the stage of growth through change', 'the stage of career exploration through Competency Enhancement', and 'the stage of entry through role challenge'. Third, main theme was 'growth and development as a peer counselor is based on capacity building'.
Keywords
Peer Counselors in the Field of Disability; Peer Counseling; Grounded Theo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윤재영, 박찬오, 박정현, "장애인 동료상담가 역할의 범주화," 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pp.15-39, 2013.
2 구본용, 구혜영, 이명우, 또래상담자 훈련프로그램 개발연구, 청소년상담연구(총서), 1994.
3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4 김봉환, "조화와 통합 지향 카운슬링을 위한 상담자 역량 탐색," 상담학연구, 제13권, 제6호, pp.2697-2713, 2012.   DOI
5 M. P. Seligman, Authentic happiness:Using the new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Arthur Pine Associates, Inc. 2002.
6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7 임기현, 중증장애인의 동료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 한채민, 김영근,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5권, 제1호, pp.85-107, 2018.
9 복지타임즈, '동료상담 현황 및 발전방안 모색 세미나' 개최, http://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64, 2021. 8. 4.
10 에이블뉴스, 피플퍼스트서울센터 발달장애인 동료상담가 양성과정 참여자 모집, http://m.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4&newscode=003420191203090551833921, 2021. 6. 7.
11 나사렛대학교, 장애인동료상담사 양성교육, https://cms.kornu.ac.kr/IL/1010/subview.do. 2021. 8.10.
12 복지뉴스, '제9기 부산장애인자립생활대학' 입학생 모집, https://www.rehabcenter.or.kr:450/?pageid=6&table=cix_freeboard&PC=view&idx=687&page=239&block=23&page_id=19692&uid=33926&mod=document, 2021. 6. 7.
13 조영길, "동료상담에 관한 제언," 한국특수교육학회학술대회 2012.12, pp.353-368, 2012.
14 민간자격정보서비스, https://www.pqi.or.kr/inf/qul/infQulList.do, 2021. 6. 7.
15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16 전혜인, "발달장애인 부모 동료에 의한 상담 시행방안," 발달장애연구, 제22권, 제3호, pp.25-45, 2018.
17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18 조성재, 허창덕, "중도시각장애인을 위한 동료상담활동 프로그램," 시각장애연구, 제28권, 제1호, pp.149-179, 2012.
19 이성미, 장애인 동료상담의 공감 기술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김진선,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서비스 경험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1 한채민, 김영근,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5권, 제1호, pp.85-107, 2018.
2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서비스의 필요성과 제도화 구축 방향,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5.
23 윤재영, 박찬오, 박정현, "장애인 동료상담가 역할의 범주화," 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pp.15-39, 2013.
24 주은선, 이성미, "인간중심 상담과 여성장애인 동료상담의 적용가능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22-35, 2019.   DOI
25 웰페어뉴스, 자립생활 위한 동료상담, '뛰는 미국.일본에 걷는 한국' https://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6084, 2021. 8. 4.
26 임기현, 중증장애인의 동료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7 김진숙, 이혁구, 이근무, "중산층에서 탈락한 개인들의 경험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접근-재진입 시도와 실패를 경험한 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195-230, 2012.   DOI
28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 York: SAGE Publications, Inc., 1998.
29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30 윤재영, 박찬오, 박정현, "장애인 동료상담가 역할의 범주화," 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pp.15-39, 2013.
31 미디어생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의 동료상담의 역할과 과제, http://www.imedialife.co.kr/news/, 2021. 4. 3.
32 국은주, 중도장애인의 동료상담과 자립생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3 김진선,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서비스 경험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4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35 김순영,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 교육이 자립생활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36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 York: SAGE Publications, Inc., 1998.
37 류청한, 장애인 동료상담 구성요소와 상호작용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8 전혜인, "발달장애인 부모 동료에 의한 상담 시행방안," 발달장애연구, 제22권, 제3호, pp.25-45, 2018.
39 송정문, 장애인 동료상담가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0 이진영, SERVPERF 모형을 이용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의 동료상담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1 송정문, 장애인 동료상담가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2 Kathy Charmaz, 근거이론의 구성, 박현선, 이상균, 이채원 공역, 학지사, 2019.
43 웰페어뉴스,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서비스의 필요성과 제도화 구축 방향 세미나, https://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7779, 2021. 6. 7.
44 J.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학지사, 2015.
45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 York: SAGE Publications, Inc., 1998.
46 E. G. Cuba and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981.
47 B. A. Wright, Physical disability: A psychological approach(2nd ed), New York: Harper & Row, 1983.
48 유성경, 심혜원,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4호, pp.789-812, 2005.
49 현경자, "역경 극복을 돕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3권, 제2호, pp.13-42, 2009.   DOI
50 R. Byrne, The secret, New York:Atria Books/Beyond Words, 2006.
51 김순영,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 교육이 자립생활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52 박선영, "저소득층의 긍정적 정서 및 우울감과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 및 조절 역할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40권, pp.189-214, 2013.
53 임채원, 정주리, "대인간 스트레스 사건 이후 고립감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9권, 제6호, pp.55-72, 2018.   DOI
54 정지훈, 동료상담서비스와 가족관계가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5 김순영,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 교육이 자립생활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56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57 미디어생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의 동료상담의 역할과 과제, http://www.imedialif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95, 2021. 6. 7.
58 최하나, 정종화, 김은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의 현장상담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재활복지, 제22권, 제2호, pp.127-159, 2018.   DOI
59 박희성, 장애인 어머니의 동료상담 경험과 가족탄력성 및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