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tutoring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 미분적분학에서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university calculus)

  • 최원영;김혜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2호
    • /
    • pp.263-274
    • /
    • 2014
  •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university calculus. First, we classified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applied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to the test group. According to results,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pre-survey and the post-survey were conducted to the test group. The survey contains five categories including 1) background of the participants, 2) learning objectives and expectation, 3) the intention of the continual learning Mathematics, 4) the individual self-efficacy, and 5) general Mathematics learning satisfaction. We found some fact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urveys. The learning satisfaction has improved after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the test group. Even though this trend has not changed regardless of sex, high school levels and teaching understanding.

급우 관계에 의한 짝 구성 동료 교수법이 컴퓨터 실기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riendship-Based Peer Tutoring on the Achievement of Computer Literacy Instruction)

  • 박재득;김민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실기 교과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료교수법을 도입하였다. 중학교 3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여 동료 교수법이 강의식 교수법에 비하여 학업성취도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급우 관계에 의해 학생들이 희망하는 짝을 동료로 구성하는 방식이 기존의 성적 위주의 동료 구성 방식과 비교할 때 학업성취도 효과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실기 위주의 컴퓨터 소양 교육에서 동료 교수법은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동료 교수법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급우 관계에 의한 짝 구성 방식은 실험 처치 초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업성취도 차이를 보였으나, 처치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동료 간 친밀도가 갖는 효과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기주도형 동료 튜터링을 활용한 컴퓨터 그래픽 수업의 학습 활동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Self-Initiated Learning of Computer Graphics Classes with Peer Tutoring)

  • 박혜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91-19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 관련 교과목에 대한 자기주도형 동료 튜터링 방안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그래픽 교과목은 실습 중심의 과목으로서 학생들의 학업능력과 그래픽 관련 학습수준 및 적성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학생들이 학업 능력을 신장 시키고 교과목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해 방학기간을 포함한 6개월간의 동료 튜터링 활동을 통해 본 교과수업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튜터링 활동내용을 분석하였고 튜티들로 참여한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튜터링 활동 전보다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고 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교수 수업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nd affective domain by meta-analysis)

  • 조창호;최송희;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4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있다. 이에 총 61편의 개별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또래교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교육효과가 전반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교 급, 학생 유형, 학습 장소, 수업 시간, 또래교수자 훈련 또는 사전교육 실시 유·무를 중요한 변수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수학 수업에서 또래교수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바탕으로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대학 교양 컴퓨터 수업에서 동료교수법이 학업 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Liberal Computer Class in Univ.)

  • 구정모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757-76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 liberal computer class at university level.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pplied for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55 students for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containing 44 students was instructed using bo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peer tutor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agnosed 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heterogeneous ability group of 3 or 4. The tutor training was provided a week in advance of the class and the students played a role of a tutor and tutee by taking turns.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 terms of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it displayed a wider range of results. The learning satisfaction data fro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uch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is predicted that the amount of class hours of a week, the quality of the lecture and the application of peer tutoring affect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is suggested that subsequent research on peer tutoring will allow for more in-depth study in this field.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컴퓨터 운영체제 실습 수업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cused on Application Practices in Computer Operating System Lab Education)

  • 이만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1-70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교 컴퓨터 실습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습자의 적극적인 활동과 상호 교수를 통한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상호 동료 교수 모형(Reciprocal Peer Tutoring)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운영체제를 교육함에 있어 상호 동료 교수 모형을 최소한의 준비 과정으로 단기간 적용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학년 61명의 학습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습자의 반은 상호 동료 교수 모형을 나머지는 일반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 동료 교수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가 높은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수업 및 교수 만족도도 높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상호 동료 교수 모형 적용법은 실제 대학 실습 교육 현장에 쉽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컴퓨터 실습 수업에서 동료교수법과 학습자의 성향이 학업 성취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Tutoring and Learner Characterist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Computer Education)

  • 허희옥;우선자;강의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9-29
    • /
    • 2002
  • 이 논문은 개인차가 심한 컴퓨터 실습 수업에서 개별화수업을 위한 대안적인 교수 방법의 하나인 동료교수법의 효과를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동료교수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12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정규 수업 과정에서 동료교수법을 실시한 후, 학습자의 인지적인 측면인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인 측면인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지만,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의 증진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동료교수법에 참여한 학습자와의 개별 면담을 통하여, 동료교수법이 학업 성취와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동료 교수법과 교수자의 피드백이 수학 교과목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and Feedback on Academic Learning in University Mathematics)

  • 최원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37-4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and feedback on academic learning in university mathematics. We compared subject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 classified the test group(82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134 non-participants) and then applied peer tutoring and feedback to the test group. The rest of the environment was the same except fo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ccording to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significance level .05) in the test group, where the subject satisfaction were learning objectives and expect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effect. Furthermore, in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ate of decrease was lower and the rate of increase was higher in the tes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as 4.33(Likert scale 5), and this trend tended to be same regardless of gender, high school course, or admission process.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또래교수법(Peer Tutoring)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Peer Tutoring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 김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41-249
    • /
    • 2018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서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의 활용이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력, 수행자신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C대학 간호학과 3학년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148명(실험군 75명, 대조군 73명)이 참여하였다.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학습만족도, 유치도뇨 및 단순도뇨의 수행력과 수행자신감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경구투약의 수행력 및 수행자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급변하는 국내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 능력을 향상시키기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호또래교수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공변 추론 (Covariational Reasoning of Ninth Graders in Reciprocal Peer Tutoring Process)

  • 길승호;신재홍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23-34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공변 추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학생마다 또래교수자와 또래학습자의 역할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상호또래교수과정을 통한 교수 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또래교수자로서 자신의 공변 추론을 가르치는 경험을 하고, 또래학습자로서 다른 학생의 공변 추론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상호또래교수과정을 통한 교수 학습과정에서 비계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이질집단으로 모둠을 형성하였다. 양적 그래프 유형 4문항, 질적 그래프 유형 4문항을 모둠에 제시하고 총 8차시에 걸친 상호또래교수를 진행하여 나타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호또래교수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보다 높은 수준의 공변 추론 경험의 기회를 제공 받아 공변 추론 수준의 상승이 일어났다. 상호또래교수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공변 추론을 수정하거나 보완하여 추론의 완성도를 높였다. 문제해결 결과의 피드백을 위해 최소한의 교사의 개입이나 수준 높은 또래의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