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interaction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6초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인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직렬매개 효과 (Warmth Parenting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 이선희;이은경;박선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57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between warmth parenting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Methods: The 7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4) was used to analyze 1,113 preschoolers.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Hayes, 2013). Results: Warmth parenting indirectly affecte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by yielding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self-esteem and peer play interaction. Namely, warmth parenting does not directly affect social competence but do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schooler self-esteem, which positively affected peer play interaction. This path increases the social competence(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it is important for the preschooler to consider themselves a worthy person and to learn positive interaction techniques through warmth parenting.

어머니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신념 및 대인관계 유능성이 자녀의 또래관계 관리에 미치는 영향 (Mother's Management Behaviors of their Children' Peer Relationships: Relations with Belief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안선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43-5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management behaviors of their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ir beliefs about social skills, recollections of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ubjects consisted of 258 mothers of 4- to 5-year-old children. The sample of mother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beliefs of social skills, their peer experiences, and the involvement activities of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eliefs about social skills, recollections of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associated with the mother's management behaviors. Maternal memories of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were the best predictor of mother's management behaviors of their children's peer interaction.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실환경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Peer-Play Interaction: Mediation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서석원;박지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293-305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the impact of teacher's teaching-efficacy o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peer-play interactions. We used data from 970 children aged between 49 and 55 months and 970 homeroom teachers from the fifth Korean Child Panel (2012)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model fitness was excellent after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model of structure to testify the relationship and effect among teaching efficacy,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peer-play interactions. First,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teaching efficacy did not influence peer-play interactions directly, but g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peer-play interactions wit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he classroom environmen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peer-play interactions wit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rd, the variabl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was fully effectiv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rocess of the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influenced the peer-play interactions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was verified through a bootstrapping method.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Peer Play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on Peer Competency and Self-Regulation)

  • 최태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85-193
    • /
    • 2019
  • 유아들은 또래와의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 사회 및 정서발달을 촉진한다. 본 연구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G구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27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참기, 기다리기, 순응의 자기조절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인 변인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유치원에서는 원내 및 실외에서 유아들이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는 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유아의 성별 문제행동과 또래상호작용 및 부모 요인과의 관계: 아토피피부염 유아를 중심으로 (Relationships among Behavior Problem, Peer Interaction, and Parental Factors in Young Boys and Girls with Atopic Dermatitis)

  • 천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9-39
    • /
    • 2016
  • The present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peer interaction, and parental factors including self-esteem, depression and childrearing stress between atopic dermatitis(AD) and normal(non-AD) children in each gender,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arental factors on the two variables of AD children. 165 AD and 1176 non-AD children of age 5 were selected from the 6th 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results from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re as follows. First, only AD boys showed a higher level of behavior problems than non-AD boys, but peer interac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AD and non-AD groups. Compared with non-AD children's parents, mothers of AD children showed a higher stress level and mothers of AD boys had a higher depression level.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ternal self-esteem and paternal factors between the groups. Second, AD boys' behavior problems were related to maternal factors and paternal stress, and some characteristics of AD girls' behavior problems were related with some parental variables. But peer interaction of AD children had no relation with parental factors. Third, behavior problems were influenced by maternal stress in AD boys and influenced by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al self-esteem in AD girls.

자연체험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언어표현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n's Poem Composing Activity done with Nature Experiencing Program on Language Expression and Peer Interaction)

  • 서현;정은숙;박미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75-888
    • /
    • 2012
  •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children's poem composition through an activity-based nature experiencing program and how it affects their language expression and peer interaction. This research also seek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producing more effective lecturing and learning plans. The forty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twenty 5-year-old children from E kindergarten and 20 5-year-old children from G kindergarten in N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the poem composing activity with the nature experiencing program demonstrated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the quality of language expression as well as peer inte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s poem composing activity done with nature experiencing program could be used as a new lecture and learn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xpression and peer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아의 내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 차이 연구 (On the type of peer intera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f infants)

  • 최항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48-459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아의 내적 변인(성별, 기질, 발달)과 환경적 변인(교수효능감, 교수-유아 상호작용, 교실환경)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간 성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 간 기질과 언어발달 및 인지발달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 간 환경적 변인인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환경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가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을 할수록 유아의 사회성 기질은 또래 상호작용을 건강하게 유도할 것이며, 언어발달과 인지발달도 긍정적 발달과정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살펴봄에 있어서 유아가 소유한 내적 변인에 속하는 성별과 기질, 언어와 인지발달, 그리고 환경적 변인인 교수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 교실환경이 지니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또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살펴봄에 있어서 긍정적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본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에 속하는 모든 분야를 살필 수 없어 한정된 범위에서 변인을 결정한 점이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에 해당되기도 한다.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Social Competence,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of Kindergartners: The A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백지숙;권은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9-114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의 1203명 이였다. '사회적 유능감 검사도구', 'SECCYD', 'HEQ', 'PIPPS', '교사-유아 상호작용 검사도구' 들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 인지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한 변인은 자기조절로 나타났고 이어서 언어능력이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언어 및 문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유능감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부모-유아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또래상호작용이 추가적인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및 문해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예측변인으로는 또래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교사-아동상호작용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가정환경자극 및 모-자 상호작용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구조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n the Stimulated Home Environment, Mother-child Interaction, and Interactive Peer Play of Preschool Children)

  • 한명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11-330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환경자극 및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를 밝혀보기 위하여 수행된 것으로써, 255명의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정환경자극, 모-자 상호작용,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으며, 세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정환경자극과 모-자 상호작용, 그리고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에는 일부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요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의 가설모형에서 설정된 가정환경자극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 모-자 상호작용을 매개로 한 모든 변인 간 경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자극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긍정적 및 부정적 모-자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모-자 상호작용 변인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자기조절과 리더십간의 관계 연구: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분석 (Relationship between Peer Interaction,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 박미숙;안효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7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 리더십 간의 관계를 밝히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인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5세 유아 211명이었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근무한 교사 대상으로 질문지를 조사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분석 하였다. 분석은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자기조절, 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또래상호작용은 유아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조절은 유아 리더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래상호작용은 유아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래상호작용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조절은 유의한 매개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리더십 교육에 있어 주목해야 할 요소로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의 중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