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n the Stimulated Home Environment, Mother-child Interaction, and Interactive Peer Play of Preschool Children

가정환경자극 및 모-자 상호작용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구조분석

  • 한명숙 (동덕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preschool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stimulated home environmen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 total of 255 children were selec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 correlation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by using SPSS and AMOS,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active peer play was associated with stimulated home environmen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Second, the results confirmed the pathway from stimulated home environment via mother-child interaction to interactive peer play showing a significantly good model fit. The paths from stimulated home environment to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were mediated by mother-child interaction.

본 연구는 가정환경자극 및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를 밝혀보기 위하여 수행된 것으로써, 255명의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정환경자극, 모-자 상호작용,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으며, 세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정환경자극과 모-자 상호작용, 그리고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에는 일부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요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의 가설모형에서 설정된 가정환경자극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 모-자 상호작용을 매개로 한 모든 변인 간 경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자극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긍정적 및 부정적 모-자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모-자 상호작용 변인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육상, 이명재(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대영문화사.
  2. 김재엽, 최지현, 이지혜(2010).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29, 5-28.
  3. 김정미, 곽금주(2007).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자극 척도(EC-HOME)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1), 115-128.
  4. 김혜경, 조성연(2002). 가족형태에 따른 가정환경(HOME)과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 한국가족복지학, 7(2), 3-16.
  5. 량화, 전일우(2010).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자기조절력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9(3), 51-69.
  6. 문경주, 오경자(1995).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부적응간의 관계: 모-자 상호행동 관찰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41-55.
  7. 문혜련, 엄정애(2009). 만 5세 남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 교육과학연구, 40(2), 159-181.
  8. 박화윤, 마지순, 천은영(2004). 유아의 놀이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285-298.
  9. 박희숙(2008). 유아 학습행동 관련변인의 인과적 구조 분석: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 자극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35-351.
  10. 배조경, 신혜영(2012). 어머니 역할지능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91-111.
  11. 서은주(2009). 애착증진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어머니의 성인애착, 자아존중감, 모-자녀 상호작용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설경옥, 문혁준(2011). 취학전 유아의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23-40.
  13. 우종필(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14. 이순복(2009). 창의적 교사 역할 및 교사-유아관계가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18(2), 151-163.
  15. 이진화(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2), 327-344.
  16. 장영애(1981). 가정환경 변인과 4-6세 아동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장영애, 서용선(1983). 가정환경 자극검사(HOME)의 타당화 연구-국민학교 저학년용. 아동학회지, 4, 1-10.
  18. 장혜진, 윤혜미(2010). 농촌아동의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적응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33, 7-36.
  19. 전은희(2008).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정다우리(2012). 어머니 역할행동 및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79-97.
  21. 최미숙, 황윤세(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와 또래유능성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22. 최인숙, 천은영(2005). 유아의 성격유형에 따른 놀이 형태와 상호작용적 또래 놀이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169-186.
  23. 최혜영, 신혜영(2008).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1-16.
  24. 황윤세(2007). 유아의 기질, 자기조절력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145-166.
  25. 황윤세(2010).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과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구조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62, 213-230.
  26. 황윤세(2011).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가 유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4), 135-146.
  27. Badley, N., & Schaefer, E.(1964). Correlations of maternal and child behaviors with the development of mental abilities data from the Berkeley Growth Study.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29(6), Serial No.97.
  28. Bradley, N., & Caldwell, B. M.(1976).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Mental Test Performance at Fifty-four Months : A Follow-Up Study. Child Development, 47, 1172-1174. https://doi.org/10.2307/1128457
  29. Brooks-Gunn, J., & Duncan, G. J.(1997).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and youth. The Future of Children, 7, 55-71. https://doi.org/10.2307/1602387
  30. Brooks-Gunn, J., Klebanov, P. K., & Duncan, G. J.(1996). Ethic differences in children's intelligence test scores: Role of economic deprivation, home environment, and maternal characteristics, Child Development, 67, 409-422. https://doi.org/10.2307/1131823
  31. Caldwell, B. M., & Bradley, R. H.(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ual: Comprehensive Edition,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32.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pp.17-59).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Elardo, R., Bradley, R., & Caldwell, B. M.(1977).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Language Development at Age Three. Child Development, 48, 595-603. https://doi.org/10.2307/1128658
  34. Esterbrooks, M. A., & Goldberg, W. A.(1984). Toddler development in the family: Infant of father involvement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Child Development, 55(3), 740-752. https://doi.org/10.2307/1130126
  35.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 Sutton-Smith, B.(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 105-120.
  36.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Manz, P.H., Canning, S., & Dehnam, D.(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 in young low-income children :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 105-120.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28-4
  37. Hanson, A. R.(1975). Consistency and Stability of Home Environmental Measures Related to IQ. Child Development, 46, 470-480.
  38. Klebanov, P. K., Brooks-Gunn, J., McCarton, C., & McCormick, M. C.(1998). The Contribution of Neighborhood and Family Income to Developmental Test Scores over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Child Development, 69(5), 1420-1436. https://doi.org/10.2307/1132275
  39. Lutz, M. N., Fantuzzo, J., & Mcdermott, P.(2002).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problems of low-income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 338-355. https://doi.org/10.1016/S0885-2006(02)00168-0
  40. Nelson, L. J., Rubin, K. H., & Fox, N. A.(2005).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 185-200. https://doi.org/10.1016/j.ecresq.2005.04.007
  41. Rubin, K. H., Bukowski, W., & Parker, J.(1998).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W. Damon & N. Eisenberg(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Vol.3) :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5th ed., pp.619-700). NY: John Wiley & Sons.
  42. Walberg, H., & Marjoribanks, K.(1973). Differential Mental Abilities and Home Environment : A Canonic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9, 363-368. https://doi.org/10.1037/h0034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