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ing belief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취학전 아동의 개인 및 가족적 특성이 마음의 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ividu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on Preschoolers′ Theory-of-Mind)

  • 배기조;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49-6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child's age, language ability, social competence, parenting style, and socioeconomic status on preschoolers' theory of mi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kindergartens and composed of three hundred 3-, 4-, and 5-year-olds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The data was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 and t-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language ability, parenting style, SES, and social competence had a positive effect upon preschoolers' theory of mind. This relation remained significant with children's age controlled. Children's theory of mind was more strongly related when their parents were highly affectionate with their children, children's language ability was greater, parents hel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han those who had less prominent one, or children with higher social competence.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코비드감염 불안, 분리개별화 문제가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yle by Infection Anxiety and Separation Individiaulization Problems i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김영경;박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7-432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코비드 감염불안, 분리개별화가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어머니들의 양육에 도움이 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양육스타일인 온정적 양육과 통제적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분리개별화가 온정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40, p<.001). 그리고 코비드감염 불안은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β=.21, p=.002), 분리개별화는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26, p<.001). 즉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온정적 양육은 낮고, 코비드감염 불안이 높을수록 통제적 양육은 높으며,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통제적 양육도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COVID-19 펜데믹 상황과 같은 위기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어머니가 주체가 되어 자녀를 지도하고 양육하는 것이 아동의 올바른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장애아동 아버지의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Study on Effectiveness of Family Resilience Program for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김고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443-465
    • /
    • 2011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양육행동, 장애자녀에 대한 태도 및 친밀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가족탄력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위요인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과정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서울소재 복지관의 초등학생 장애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주 1회 매 2시간씩, 총 7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통제집단은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버지들은 양육참여 정도와 장애자녀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아동 아버지들이 적극적으로 양육에 참여하게 되고 장애자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음을 보여줌으로써 가족탄력성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 아버지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이혼가정자녀의 행동적응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과 아동의 이혼지각 분석 (Impact of Conflict and Nurturing Factors for the Divorced Parents on the Behaviora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 주소희;조성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215-238
    • /
    • 2004
  • 이혼가정자녀들의 부모이혼 후 적응방법을 찾기 위해 부모갈등, 부모양육태도 그리고 이혼에 대한 지각이 이혼 후 자녀들의 행동적응에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가 이혼한 가정의 자녀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해 분석되었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부모간 갈등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이혼에 대한 지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행동문제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이혼지각에 직접 영향을 주며 아동의 행동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총효과를 보면, 이혼지각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아동의 부모이혼에 대한 지각은 더욱 부정적으로 나타나며, 이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강력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아동의 이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파악된 현상을 근거로 이혼 후 자녀들의 행동적응을 위한 예방과 전략이 모색되었다.

  • PDF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적 특성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반응 (Korean Mothers' Beliefs Regarding Toddlers' Temperament, and their Reactions to What they View as Desirable and Undesirable Behavior)

  • 윤기봉;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3-12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Korean mothers' beliefs regarding their toddlers' temperament, including what they believe constitutes desirable and undesirable behavior, and their resulting reactions. Data were collected int the process of interviewing 50 Korean mothers of toddlers (whose average age was 34.1 Months, and of which 54% were boys). Results revealed that mothers considered 'High-Sociality', 'Positive Affect' and 'High-Effortful Control' as desirable temperaments, whereas 'Negative Affect', 'Under-Effortful Control' and 'Low Sociality' were considered to be undesirable temperaments for toddlers. Mothers cited the importance of child 'Sociality' and 'Development', 'Easiness of Parenting' and 'Child Happiness' as the reasons for their beliefs. While, they considered 'Negative Affect', 'Under-Effortful Control' and 'Low Sociality' to be undesirable temperaments, citing 'Sociality', 'Difficulty of Parenting', 'Development' and 'Child Safety' as the reasons. Finally, mothers were more likely to give verbal encouragement or physical encouragement such as hugging, in responding to desirable behavior on the part of their child, whereas they were more likely to give firm inhibition, reasoning or inconsistent reaction to their child's undesirable behavior. Many of the mothers' beliefs varied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cultural perspectives.

영유아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ily Life of Young Children)

  • 서소정;하지영;이성옥
    • 아동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7-6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daily life patterns of young children and to compare the lives of children using a center-based care center with those of children raised at home by their mothers. The subjects, 364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7~48 month olds), comple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items on their children's daily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tests, and t-tests. Our primary findings indicated that on the average children slept for 10 hour 22 minutes and they usually played with their mothers at home. The young children mostly played outdoors two or three days per week and their outings were most commonly visits to relatives on weekends. 45.5% of the tota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made use of at least one private education service, and they began to watch TV from 12.22 month olds. Furthermore, the mothers reported that their spouses participated in child rearing less than 1 hour a day.

아버지의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발달특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 (Belief in the value of children's father, grow, influence parenting participation on the infant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change factor)

  • 전홍주;조수경;김미정;최항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78-268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의 발달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그의 아버지이며 이를 대상으로 한 육아 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자녀가치는 영아의 문제해결능력, 소근육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영아의 대근육 활동에는 아버지의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영아의 의사소통, 개인-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아버지 양육참여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역할수행과의 관계 : 재미동포 한인 1세대 부모에 관한 연구 (Parental Efficacy and Practices among Korean Immigrant Families in the US)

  • 이혜승
    • 아동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7-71
    • /
    • 2003
  •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부모신념체계를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는 자신의 능력과 기대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이는 부모역할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부모양육과 여러 변수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내 거주하는 202명의 한인 이민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권위적/민주적 부모역할수행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나 권위주의적 부모역할수행과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권위적/민주적 부모역할수행과 권위주의적 부모역할수행이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지금까지 서구사회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는 다른 것으로, 자녀에 대한 권위적 통제나 감독이 한인부모에게는 부정적인 개념이 아님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미국 부모의 양육을 기준으로 미국내 한인 부모의 자녀양육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한인 부모의 경우 한국 문화적 맥락과 미국사회의 가치 체계 및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 PDF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사회적 지지 및 소외감이 미혼모의 자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Connection with Parents, Social Support, and Isolation on Unmarried Mothers' Child-Rearing Efficacy)

  • 문정숙;김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6호
    • /
    • pp.109-12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otional connection with parents, social support, and isolation on unmarried mothers' child-rearing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unmarried mother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alph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test of the theoretical model was performed with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al matrix in the AMOS 7.0 package for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dult unmarried mothers was higher than that of teen mothers. Most unmarried mothers had a in low monthly income-, were unemployed, and received economic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 o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s a major source of their income. Their decision to have a child were for the following reason: the desire to have a child, fear of having an abortion, belief that abortion is a crime, and uncertainty about which decision to make, etc. Second, the women's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isola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women's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had a direct effect on isolation. Iso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Fourth, social support mediated by the women's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had an indirect effect on isolation and child-rearing efficacy. Isolation mediated the women's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aring efficacy.

순직군인 배우자의 여성한부모로서 사회 재적응 경험 (Social Readjustment Experience of Military Widows as Single Mothers)

  • 이윤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81-107
    • /
    • 2009
  • 본 연구는 레질리언스 관점에서 '순직군인 배우자가 여성한부모로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겪게 된 재적응 경험은 어떠한가? 순직군인 배우자의 삶에서 '순직'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순직공군조종사 부인으로 구성된 자조집단 ${\bigcirc}{\bigcirc}$ 회에 참여하여 여성한부모의 경험을 심층면담과 참여관찰로 탐구하였다. 현상학적 이론과 분석방법을 통해 순직의 의미와 본질을 살펴보았으며 사회역사적 맥락 속에서 순직공군조종사부인의 특수한 취약성에 관한 경험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분석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는 배우자의 순직과 함께 잃어버린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고군분투해 오면서 스스로 만족한 삶을 살았다고 확신한다. 특히 자조 집단의 참여와 활동은 자신들을 의식해 주기를 바라고,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순직'에 대한 죽음의 가치와 평가, 과거에 대한 역사성은 레질리언스 보호요인 중 '신념 체계'가 되어 순직군인 부인들의 삶에 중요한 존재 의미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유가족을 비롯한 군인과 그 가족들에 대한 국가 정책과 보훈처 및 군 조직에서 보다 실질적인 사회복지실천 서비스를 응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