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yle by Infection Anxiety and Separation Individiaulization Problems i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코비드감염 불안, 분리개별화 문제가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

  • Received : 2022.01.14
  • Accepted : 2022.02.15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id-19 pandemic on mother's child-rearing style and provide information on mother-rearing. The significance of regression coefficients was verifi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warm parenting and control parenting, and the effect of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on warm parenting (β=-).40, p <.001). Moreover, covid infe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ntrolled child care (β=.21, p=.002), and separ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ntrolled child care (β=-26,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can see that the strong belief in mother-rearing and the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healthy children have a great impact on child growth.

본 연구는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코비드 감염불안, 분리개별화가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어머니들의 양육에 도움이 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양육스타일인 온정적 양육과 통제적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분리개별화가 온정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40, p<.001). 그리고 코비드감염 불안은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β=.21, p=.002), 분리개별화는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26, p<.001). 즉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온정적 양육은 낮고, 코비드감염 불안이 높을수록 통제적 양육은 높으며,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통제적 양육도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COVID-19 펜데믹 상황과 같은 위기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어머니가 주체가 되어 자녀를 지도하고 양육하는 것이 아동의 올바른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 2021.
  2. The World Bank, The global economic outlook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hanged world, 2021.
  3. 진미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영은, "코로나19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제58권, 제2호, pp.447-461, 2020.
  4. 이유경, 이헌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71-201, 2021.
  5. 김유식, 정병철, "코로나19 상황이 전업 주부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시아문화학술원, 제11권, 제6호, pp.567-578, 2020.
  6. 이세원, "빅카인즈를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시애의 아동 삶 분석," 아시아문화학술원, 제12권, 제1호, pp.2941-2954, 2021.
  7. 정은선, 이자영,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지지 및 강인성이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04-21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04
  8. 한영숙,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양육스트레스가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5호, pp.398-409,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5.398
  9. http://www.onews.tv/news/articleView.html?idxno=67709, 2021.12.15.
  10. 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 2021.12.22.
  11.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3037, 2021.12.22.
  12. https://kizmom.hankyung.com/news/view.html?aid=201801103450o&cid=30, 2021.12.27.
  13. 김우경, 방희정, "어머니 불안과 학령 전 아동의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지, 제22권, 제4호, pp.67-81, 2015.
  14. 김지혜, "어머니의 양육불안, 우울과 시각장애아동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장애아동가족지원 사업의 조절효과 검증," 시각장애연구지, 제37권, 제1호, pp.135-160, 2021.
  15. J. H. Althea, Object relations and the developing ego in therapy, Rowman & Little field Pub lnc, 1984.
  16. M. S. Mahler, "Symbiosis and individuation: The psychological birth of the human infant," Th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Vol.29, No.1, pp.89-106, 1974. https://doi.org/10.1080/00797308.1974.11822615
  17. 이우영, "분리불안 아동에 대한 해결중심 치료적 적용-말러(Mahler)의 분리 개별화 이론을 중심으로," 해결중심치료학회지, 제2권, 제1호, pp.21-40, 2015.
  18. 박경순, 결혼갈등과 우울감에 대한 대상관계 이론적 접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9. 조복희,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제10호, pp.123-133, 1999.
  20. 최정희, 신나리, "영아기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기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지, 제25권, 제3호, pp.51-71, 2018.
  21. 장영란, "쌍둥이 자녀의 양육문제와 그 극복의 방안: 설리반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지, 제49권, 제49 호, pp.555-576, 2016.
  22. Q. Zhou, N. Eisenberg, S. H. Losoya, R. A. Fabes, M. Reiser, K. Ivanna, C. Guthrie, B. Murphy, B. Amanda, J. Cumberland, and S. A. Shepard, "The relations of parental warmth and positive expressiveness to children's empathy-related responding and social functioning: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Vol.73, No.3, pp.893-915, 2002. https://doi.org/10.1111/1467-8624.00446
  23. 김현미, 도현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5권, 제6호, pp.279-298, 2004.
  24. 하순련, 서현아, "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이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9권, 제5호, pp.131-15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131
  25. M. G. Wheaton, J. S. Abramowitz, N. C. Berman, L. E. Fabricant, and B. O. Olatunji,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nxiety in Response to the H1N1 (Swine Flu) Pandemi,"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6, No.3, pp.210-218, 2011. https://doi.org/10.1007/s10608-011-9353-3
  26. 박완주, 손혜원, 변채영, 손혜리, 이승현, 이예진,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서 대학생의 감염불안, 충동성, 의사결정유형이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미치는 영향," 경북간호과학지, 제25권, 제1호, pp.13-24, 2021.
  27. J. B. Levine, C. J. Green, and T. Millon, "The separation-individuation test of adolesce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0, No.1, pp.123-139, 1986.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001_14
  28. 장근영, 윤진, "청소년기 자아중심성 분리-개별화과정 및 역할취득 수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5권, 제1호, pp.157-175, 1992.
  29. 김인경, "청소년기 자아중심성과 가족유형 및 가족 의사소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6권, 제2호, pp.96-119, 1993.
  30. D. E. Scharff and J. S. Scharff, Object Relations Family Therapy, Jason Aronson Inc, 1987.
  31. A. Field,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2009.
  32.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33. 박진희, 김지혜, 이현주, 강푸름,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불안, 위험인식, 정보이해력 및 감염예방행위 수행-간의 관계," 한국유화학회지, 제38권, 제1호, pp.48-59, 2021.
  34. 김은선, 하문선,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에서 분리개별화와 자기수용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지, 제21권, 제20호, pp.535-551, 2021.
  35. 이인영, 정영숙, "청년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분리불안, 과보호와 자녀의 분리-개별화 및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29권, 제4호, pp.123-144, 2016.
  36. 박규상, 조성호, "자기 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따른 분리 개별화 수준 및 대인관계성향의 차이-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상담연구지, 제17권, 제1호, pp.78-93, 2009.
  37. 최예린,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지, 제22권, 제1호, pp.253-279, 2020.
  38. 김용희, "기혼 여성의 분리개별화, 자율성 및 친밀감이 행복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5권, 제3호, pp.515-528, 2010.
  39. 옥경희, "자녀가치, 부모-자녀 상호작용, 가족응집성과 유연성이 부모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의 애착, 자존감 및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3권, 제2호, pp.47-65, 2018. https://doi.org/10.21321/jfr.23.2.47
  40. 민미희,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4권, 제4호, pp.97-117, 2017.
  41. 박남심, 송승민, 엄희경,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온정적 양육행동 및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61-178,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2.161
  42. 황성온, "어머니 결혼 특성, 심리적 특성, 양육스타일이 유아기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지, 제34권, 제3호, pp.355-378,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