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attitudes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초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양육태도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for the Influence of Parental Attitudes on Smoking in Out-of-School Youths)

  • 임소연;박민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33-340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여부에 따른 건강 및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 부모 양육태도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과 충남 지역에 있는 학교 밖 지원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282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x2-test, 독립표본 t-test,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에 성별, 아버지 교육수준, 음주, 성관계 경험,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흡연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 양육태도를 고려한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취학 전 아동의 성격특성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on Clothing Behaviors)

  • 이명희
    • 복식
    • /
    • 제49권
    • /
    • pp.155-17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on clothing attitudes and color evaluation of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60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attending a preschool and their parents in Cheju Island Korea. Employed mot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love acceptance attitude than unemployed mothers did. Female children had more conservative attitude on clothing sex-role than male children did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and preferred clothing colors. Male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prefer blue red, green, and prussian blue for the colors of clothing than were female children while female children liked pink yellow and orange more than male children. Boys selected blue and girls selected pink as the most preferred clothing color. Overall preschool children chose red as the most preferred color black as the most disliked color. The children's sex identification by clothing color was highly consistent with the conservative attitude of adults for all colors. That is preschool children identified pink red and yellow with female color while prussian blue blue and green with male color. Clothing interest of boys was influenced by the mother's state of employment and academic trait. The boys high in academic trait and whose mothers did not have job were high in clothing interest. Clothing management of boys was influenced by emotionality and love acceptance rearing Ttitude. Clothing independednce of boys was influenced by authority control rearing attitude Clothing sex-role of boys was influenced by familism trait. The boys high in familism trait had open-hearted attitude in clothing sex-role. Clothing interest of girls was influenced by academic trait clothing management by sociality clothing independence by emotionality and clothing satisfaction by familism trait. Therefore the more positive personality children had the higher clothing interest and the more desirable clothing attitudes they had.

  • PDF

경제불황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적응 (Economic Hardship, Child Rearing Attitudes and Adjustment Behaviors of Adolescents)

  • 박민선;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7-74
    • /
    • 1999
  • The present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 among economic hardship,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adjustment in adolescence was carried out with 528 middle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Kyung-gi province. Questionnaires for mothers were on economic stress, and children's questionnaires were o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s well as their own adjustment behaviors, such as aggression, depression, and negative self-concept. Adolescent boys perceived p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more rejecting and inconsistent when the family experienced income loss. Paternal nurturing behaviors perceived by children were also reduced under poor paternal working conditions. Change in family life style due to economic hardship resulted in higher adolescent depression.

  • PDF

청소년 영재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과 영재의 상담에 대한 태도가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Gifted Youths' Intentions Toward Counseling: Parental Emphasis on Academics and Surrounding Attitudes for Consultation)

  • 최민경;김세원;소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35-1054
    • /
    • 2013
  • 영재상담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최근 활성화되고 있지만, 실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구안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의 상담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영재 상담을 방해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영재 상담 프로그램의 개선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재의 학업 강조 경향성,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성, 영재의 전문적 도움 추구에 대한 태도, 영재의 상담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및 인식이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학부모의 학업 강조 경향성은 영재의 전문적 도움 추구와 영재의 상담에 대한 일반적 태도 및 인식을 매개로 영재의 상담의향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영재상담의 실제에 갖는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융합적 학교적응과 공동체의식의 매개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School Adjustment and Parameter Validationof the Sense of Community)

  • 오미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83-18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공동체의식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교적응 사이에 공동체의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0)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중1 패널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공동체의식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확인되었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공동체의식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공동체의식 함양과 함께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발전시켜야 한다.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phone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Impulse -)

  • 임정아;김명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95-405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공격성과 충동성이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J지역 초등학교 4, 5학년 390명(남: 199, 여: 191)이었다. 연구에 사용한 척도는 부모양육척도, 스마트폰 중독척도, Neo 성격척도 등이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중독, 공격성과 충동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중 거부적인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부정적인 촉진적 영향을 주며, 이 과정에서 충동성과 공격성이 부분매개하였다. 또한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역시 스마트중독에 부정적인 촉진적 영향을 주며, 이 과정에서 충동성과 공격성이 완전 매개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입과 상담 시에 부모양육태도의 변화뿐 아니라, 청소년의 충동성과 공격성에 대한 상담과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Life and Social Competence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77-285
    • /
    • 2022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2기 1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 부모의 지지와 양육 태도가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9년 당시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다문화 청소년 2,246명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지지와 부모의 양육 태도가 적극적이고 긍정적일수록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 정도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학교생활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적 역량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부모의 지지와 양육 태도 방식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생태계의 주요 환경 변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According to Parental Adult Attachment Style

  • Kim, Do Hoon;Kang, Na Ri;Kwack, You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1호
    • /
    • pp.17-25
    • /
    • 2019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between different adult attachment styles. Methods: Forty-four parents who completed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were enrolled in our study. They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 Korean-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Results: The avoidant attachment sc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The anxious attachment scor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pathology, but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e secure attachment group exhibited a more autonomou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a l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less parenting stress than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Dismissing-avoidant attachment par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ing stress scores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Preoccupied and fearful-avoidant attachment parents displayed a more hostile parenting styl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Dismissing-avoidant and preoccupied parents reported a les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 adult attachment style. More specific education and interventions based on parental attachment type are necessary for parents.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와 대화시간의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Conversation Hours Between Parent and Child on Children's Happiness)

  • 문예은;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104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nd conversation hours between parent and child, by focusing on parental influence among factors impacting children's happines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2,578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first waves of the Korean Child Youth Panel Study(KCYPS) 201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children's happiness and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parental education level, family's income, and family typ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in effect of all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and conversation hours between parent and child on children's happi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on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tructural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nversation hou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children who had more conversations with parents with structural parenting attitudes providing guidelines ware reported to be particularly happ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overal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to understand parental factors impacting children's happiness.

The Longitudinal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Adolescent's Self-Esteem -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 -

  • 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57-161
    • /
    • 2019
  •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adolescent's self_esteem. This study analyzed some data including parental attitude and self_esteem from KCYPS. Parental attitude was supposed not to change as time goes by. The analytical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change rate and intercept of adolescent's self-esteem were significant, which means the change pattern of self-esteem depends on adolescent. Second, positive parental attitudes influence on the change pattern of adolescent's self-esteem significantly. Third, negative parental attitude influence on the change pattern of adolescent's self-esteem significantly.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basing on these analytic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