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Conversation Hours Between Parent and Child on Children's Happiness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와 대화시간의 영향

  • 문예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생활환경복지학과) ;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 Received : 2020.12.15
  • Accepted : 2021.02.10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nd conversation hours between parent and child, by focusing on parental influence among factors impacting children's happines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2,578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first waves of the Korean Child Youth Panel Study(KCYPS) 201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children's happiness and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parental education level, family's income, and family typ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in effect of all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and conversation hours between parent and child on children's happi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on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tructural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nversation hou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children who had more conversations with parents with structural parenting attitudes providing guidelines ware reported to be particularly happ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overal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to understand parental factors impacting children's happiness.

Keywords

References

  1. 강수현 (2019).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 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2), 165-194. doi:10.22590/ecee.2019.23.2.165
  2. 권미나, 이진숙 (2015).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행복감과의 관계. 아동과 권리, 19(4), 589-610.
  3. 김소은, 정익중, 정수정 (2016). 아동의 사회적 배제의 영향요인. 청소년복지연구, 18(3), 1-23. doi:10.19034/KAYW.2016.18.3.01
  4. 김영철 (2018). 월화수목금금금, 우리의 아이들은 행복한가?: 사교육(및 여가시간)과 학생 만족도 간의 통계적 상관성 추정. 경제학연구, 66(2), 45-86. doi:10.22841/kjes.2018.66.2.002
  5. 김은설, 배윤진, 조숙인, 이예진, 송신영, 임준범 등 (2016).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6(한국아동패널 II)(2016-35).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repo.kicce.re.kr/handle/2019.oak/924에서 2020년 12월 15일 인출
  6. 김진미 (2019). 초등학생의 행복감 영향요인 분석. 교육연구논총, 40(3), 161-180. doi:10.18612/cnujes.2019.40.3.161
  7. 김태명, 이은주 (2017).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24(3), 313-333. doi:10.21509/KJYS.2017.03.24.3.313
  8. 김희연, 김군수, 신기동, 송승현 (2015). 아이 행복, 부모교육에 달렸다(제174호). 경기: 경기개발연구원. https://www.gri.re.kr/%ec%9d%b4%ec%8a%88-%ec%a7%84%eb%8b%a8/?brno=5117&prno=4521에서 2020년 12월 15일 인출
  9. 김희중 (2012). 중학생의 긍정심리와 부모양육태도,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남궁지영 (2015).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53(2), 1-25.
  11. 류민영, 정현숙 (2015). 아동과 청소년의 행복감 모형에 대한 다집단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4), 21-43.
  12. 모상현, 이중섭 (2012).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탐색: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가족관계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홀리스틱교육연구, 16(3). 23-40.
  13. 문수경, 이무영 (2008).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복지연구, 6(3), 19-33.
  14. 박병선 (2019).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 궤적 및 성별 간 차이분석. 인문사회 21, 10(1), 1121-1132. doi:10.22143/HSS21.10.1.78
  15. 박정은, 황춘화, 이수천 (2019).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보건과 복지, 21(1), 97-120. doi:10.23948/kshw.2019.03.21.1.97
  16. 박진희, 황지연, 정채은, 이예은, 유미숙 (2011). 아동이 지각한 통제적 양육태도 수준에 따른 아버지상 및 아동행복감의 차이. 상담학연구, 12(4), 1247-1260. doi:10.15703/kjc.12.4.201108.1247
  17. 배상률, 김형주, 성은모 (2013). 2013 청소년 매체 이용 실태 조사(2103-R28). 서울: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에서 2020년 12월 20일 인출
  18. 배주영, 도현심, 이선희, 신정희 (2015).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학령 후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6(6), 59-83. doi:10.5723/KJCS.2015.36.6.59
  19. 서재욱, 정윤태 (2014).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8), 265-292.
  20. 송경오 (2011). 학생 개인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탐색. 한국교육, 38(4), 39-64. doi:10.22804/jke.2011.38.4.002
  21. 송원숙, 심재웅 (2018). 부모와 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857-879. doi:10.22251/jlcci.2018.18.3.857
  22. 신승배 (2016). 한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과학연구, 17(3), 135-184. doi:10.15818/ihss.2016.17.3.135
  23. 안나영, 유영달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부, 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우울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3201-3215.
  24. 염유식, 김경미 (2019).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지수조사-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A1-2018-0001).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http://hdl.handle.net/20.500.12236/23361에서 2020년 12월 13일 인출
  25. 유미숙, 정계숙, 박수홍, 차지량, 홍광표 (2013). 아동 및 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31(3), 15-26. doi:10.7466/JKHMA.2013.31.3.015
  26. 유은경, 최혜경, 배한나, 이연주 (2017). 한부모 가정 아동.청소년의 사회자본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양부모 가정 아동.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복지조사연구, 55, 283-315. doi:10.17997/SWRY.55.1.10
  27. 윤연정, 이미숙 (201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와 모의 양육특성. 가정과삶의질연구, 37(4), 71-86. doi:10.7466/JKHMA.2019.37.4.71
  28. 이미영 (2020).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64, 115-135. doi:10.17854/ffyc.2020.10.64.115
  29. 이수진, 정익중 (2020). 청소년의 일상생활과 행복 간의 관계: 빈곤과 비빈곤 청소년의 비교. 학교사회복지, 49, 175-200. doi:10.20993/jSSW.49.8
  30. 이은진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행복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정림, 김길숙, 송신영, 이예진, 김진미, 김소아 등 (2015). 한국아동패널 2015(2015-3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에서 2020년 12월 인출
  32. 이주연, 한세영 (2019. 10). 부와 모의 감독 및 청소년의 성에 따른 청소년의 행복감. 가정과삶의질학회 2019년 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33. 이진숙, 김은주 (2013). 아동의 기질,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5), 433-445. doi:10.5934/kjhe.2013.22.5.433
  34. 임미지, 문혁준 (2011). 아동이 지각한 행복감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 6학년을 대상으로. 인간발달연구, 18(2), 255-275.
  35. 전혜진, 이미숙 (2015). 부모-자녀 놀이치료(CPRT)가 공감적 상호작용 증진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 실험연구. 상담학연구, 16(4), 395-414. doi:10.15703/kjc.16.4.201508.395
  36. 정은선 (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정은선, 조한익 (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09-227.
  38. 정익중, 이수진, 강희주 (2020).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일상 변화와 정서 상태. 한국아동복지학, 69(4), 59-90. doi:10.24300/jkscw.2020.12.69.4.59
  39. 정익중, 정선영, 이수진, 정수정 (2019).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행복생활지수. 서울: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40.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 (2009).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아동학회지, 30(2), 129-144.
  41. 조은정 (2014). 저소득층 초등학생, 중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 가족, 학교요인을 중심으로 -. 청소년시설환경, 12(1), 53-64.
  42. 한겨례 (2019. 5). 아이들 '주관적 행복지수' OECD 꼴지 수준 ... 언제쯤 오를까?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93814.html에서 2020년 12월 12일 인출
  43. 한국아동.아동청소년 데이터 아카이브 (2019). KCYPS 2018 초4 코호트 제1차 조사 데이터[데이터 파일과 코드북]. https://www.nypi.re.kr/archive/contents/siteMain.do에서 2019년 6월 7일 인출
  44. Bascoe, S., Davies, P. T., Sturge, M., & Cummings, E. M. (2009). Children's representations of family relationships, pe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school 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45(6), 1740-1751. doi:10.1037/a0016688
  45. Chung, G. H., 이상균, 유조안 (2015). 청소년들은 어떤 날 더 행복한가? 부모와의 친밀감이 일상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및 가구소득과 학교 급에 따른 차이.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 3-23.
  46. de Carvalho, H., & Chima, F. O. (2014).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ocial sciences research. America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Research, 4(1), 6-11.
  47. Erikson, E. H. (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 Co.
  48. Finkenauer, C., Engels, R., & Baumeister, R. (2005).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1), 58-69. https://doi.org/10.1080/01650250444000333
  49. Furnham, A., & Cheng, H. (2000). Perceived parental behaviour, self-esteem and happines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5(10), 463-470. doi:10.1007/s001270050265
  50. Galambos, N. L., Fang, S., Krahn, H. J., Johnson, M. D., & Lachman, M. E. (2015). Up, not down: The age curve in happiness from early adulthood to midlife in two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al Psychology, 51(11), 1664-1671. doi:10.1037/dev0000052
  51. Gilman, R., & Huebner, S. (2003). A review of life satisfaction research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8(2), 192-205. doi:10.1521/scpq.18.2.192.21858
  52. Holder, M. D., & Coleman, B. (2009). The contribu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o children's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 329-349. doi:10.1007/s10902-007-9083-0
  53. Jin, B. K., & Ahn H. Y. (2019).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A focus on family strength and self-control. Child Health Nurs Res, 25(3), 245-254. doi:10.4094/chnr.2019.25.3.245
  54. Lyons, M. D., Otis, K. L., Huebner, E. S., & Hills, K. J. (2014). Life satisfaction and maladaptive behaviors in early adolescent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9(4), 553-566. doi:10.1037/spq0000061
  55. Masoud, G. L., Sharzad, B., Leila, A., & Elaheh, H.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styles, social support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15, 1852-1856. doi:10.1016/j.sbspro.2011.04.014
  56. Milevsky, A., Schlechter M., Netter, S., & Keehn, N. (2007).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in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satisfact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6(1), 39-47. doi:10.1007/s10826-006-9066-5
  57. Morgan, M. L., Vera, E. M., Gonzales, R. R., Conner, W., Vacek, K. B., & Coyle, L. D. (2011). Subjective well-being in urban adolescents: Interpersonal, individual, and community influences. Youth & Society, 43(2), 609-634. doi:10.1177/0044118X09353517
  58. O'Rourke, J., & Cooper, M. (2010). Lucky to be happy: A study of happiness in Australian primary student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al & Developmental Psychology, 10, 94-107.
  59. Powdthavee, N., & Vernoit, J. (2013). Parental unemployment and children's happiness: A longitudinal study of young people's well-being in unemployed households. Labour Economics, 24, 253-263. doi:10.1016/j.labeco.2013.09.008
  60. Thomas, E. J. (1977). Marital communication & decision making. New York: The Free Press.
  61. Yang, F., Knobe, J., & Dunham, Y. (2020, April). Happiness is from the soul: The nature and origins of our happiness concept. Retrieved December 13, 2020 from https://psyarxiv.com/3kqw9
  62. Yang, Y. (2008). Social inequalities in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1972 to 2004: An age-period-cohort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3(2), 204-226. doi:10.1177/00031224080730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