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ytetracycline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5초

Oxytetracycline의 약욕 및 경구투여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xytetracyclin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dipping and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최동림;김진우;조미라;서정수;지보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7-117
    • /
    • 2008
  • The pharmacokinetic properties of oxytetracycline (OTC) were studied after dipping and oral administration to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600 g).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ere determined after oral dosage (50, 100 and 200 mg/kg body weight) and dipping (50, 100 and 200 ppm, 1 h) in olive flounder (average 600 g, 23±1℃). Plasma samples were taken at 3, 5, 10, 15, 24, 32, 48, 72, 120, 168 and 240 h post-dose. In oral dosage of 50, 100 and 200 mg/kg, the peak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hich attained at 3 h post-dose, were 0.34, 0.44 and 1.18 ㎍/㎖, respectively. In dipping of 50, 100 and 200 ppm, those of OTC which also observed at 5 h post-dose, were 0.43, 0.38 and 0.64 ㎍/㎖, respectively.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ere not measurable at 240 h post-dose in all experiments. The kinetic profile of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limination of OTC in plasma were analyzed fitting to a one-compartment model by WinNonlin program.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calculated for a single dosage of 50, 100 and 200 mg/kg body weight, respectively: AUC (the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31.40, 28.07 and 32.97 ㎍∙h/㎖; T1/2 (half-life)􀆫0.89, 1.12 and 0.43 h; Tmax (time for maximum concentration)= 5.25, 3.70 and 7.30 h, Cmax (maximum concentration)=0.25, 0.38 and 0.61 ㎕/㎖. Following dipping at 50, 100 and 200 ppm, these parameters were AUC􀆫15.51, 14.63 and 19.72 ㎍∙h/㎖; T1/2= 0.75, 0.41 and 0.74 h; Tmax=4.90, 7.08 and 4.68 h, Cmax=0.40, 0.32 and 0.46 ㎕/㎖.

대구 수정란의 질병 제어에 의한 부화율 향상 연구

  • 박상언;권문경;이채성;김완기;이정용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64-64
    • /
    • 2003
  • 대구 인공종묘 생산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수정란에 기생하여 폐사를 유발하는 세균 및 세균 감염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수정란의 생존율과 부화율 향상을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균 감염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난소와 정소 자체 세균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일반배지 (BHIA)와 비브리오 선택배지 (TCBS)를 사용하여 세균검사를 실시하였다. 난소의 세균 검사는 생식소 내부를 일부 절개한 후 멸균 roop를 찔러 세균을 검사하였고, 정소는 채정하기 전 복부를 절개하여 멸균 roop로서 적출하여 배지에 도말한 후 배양하였다. 수정란 내 세균 수는 수정란을 각각 20개씩 샘플하여 난 외부에 기생하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난소독제로 이용되고 있는 benzalkonium 0.1%로 1분간 소독한 후 멸균 생리식염수로 3회 세척하여 호모게나이즈하여 검사하였다. 호모게나이즈한 액 중 100${\mu}\ell$를 pipetting하여 일반배지(BHIA)에 도말하여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난소와 정소 내에서 세균이 검출됨에 따라 수정 시 세균 감염을 억제하기 위하여 자외선 살균해수와 일반해수를 수정액으로 사용하여 발생율을 비교 시험하였다. 수정 시간은 1분으로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수정 용기는 멸균 처리된 일회용 100$m\ell$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였다. 수정 후 과다한 정자를 제거하기 위한 세란은 1$\ell$ 멸균 비이커에서 5회 30분 가량 실시하여 정자를 제거하였고 멸균 봉으로 저어주면서 수정란의 점착력을 제거하였다. 수정란은 100$\mu\textrm{m}$ 그물망으로 수정란 유실을 방지한 플라스틱 용기에 수용하여 유효수량 270$\ell$ FRP 수조에 수용하여 3$\ell$/min 환수하였고, 수온은 자연수온 1$^{\circ}C$로 유지하였다. 발생율은 만능투영기로 3회 측정하였다. 수정 후 세균과 기생충에 의한 수정란의 폐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수정 직후, 수정 후 1일, 2일째 oxytetracycline과 iodine 처리에 따른 발생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생율은 만능투영기로 조사하였고, 시험구별로 3회 측정하였다. 경과 일수별로 약제 처리는 약제 미처리 수정란 중 정상적인 발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약제 처리에 따른 배체 발생 단계는 수정 후 1일째는 상실기, 2일째는 포배기였다. 수정란 및 대구 자어에서 분리된 V. splendidus 에 의한 폐사를 예방하기 위해 in vivo에서 oxytetracycline 외 5종의 항생제를 대상으로 96well plate에서 최고 농도 250ppm부터 2 fold로 단계 희석하여 $25^{\circ}C$에서 48시간 배양하여 MIC를 조사하였다. 세균 감염경로 파악을 위하여 난소, 정소 및 정자에서 세균을 분리한 결과 일반배지 및 비브리오 선택배지에서 모두 균이 검출되었고, 균 동정 결과 터봇 자어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고된(Gatesoupe et al., 1999) V. splendidus로 나타났다. 수정액과 정자 및 미수정란의 세균 분리 결과 일반배지에서 3$\times$10/ml ~ 7$\times$10/ml로 균이 검출되었다. 수정액을 일반해수와 자외선 살균 해수를 사용하여 발생율을 비교한 결과 수정 후 3일째 발생율은 자외선 살균해수 72.3%, 일반해수 52.7%였으며, 수정 후 7일째 40.9%와 25.1%로 자외선 살균해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정 후 경과 일수별로 oxytetracycline과 Iodine을 처리한 결과 수정 직후 처리한 시험구는 7일째 19.8%와 18.9%로 대조구 23.1%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 후 1일째 처리한 시험구는 54.5%와 56.8%, 수정후 2일째 처리구는 47.9%와 50.6%로 두 시험구 모두 대조구와 수정 직후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정란 및 대구 자어에서 분리된 V. splendidus 에 의한 폐사를 예방하기 위해 in vivo에서 항생제 종류별 MIC 조사 결과 oxytetracycline이 0.48ppm으로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을 처리한 대추나무 빗자루병 감염목의 병태해부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ies of Witches' Broom Infected Jujube Trees Treated by Oxytetracycline)

  • 임형빈;나용준;임웅규;장탁중;신재두;이순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1-108
    • /
    • 1985
  • 마이코플라스마(MLO)에 의한 빗자루병에 감염된 대추나무에 Oxytetracycline HCl(OTC)을 수간주입했을 때 일어나는 병태해부학적 변화를 광학현미경, 형광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건전엽에서와는 달리 이병엽의 주맥에서는 복, 배부의 유관동소신장부가 잘 발달되어 있는 반면 엽육세포들은 매우 작고 드물었으며 괴사되어 있었다. 또한 이병엽에서는 절부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본부의 분하는 억제되어 있었으며 polyphenol이 집적되어 있었다. 2,000ppm의 OTC용액 500ml를 수간주입한 대추나무는 약제주입부위의 상부에서 외관상 병징이 완전히 억제된 것으로 보였으나 유관동소신장부에 있는 세포들이 비대해져 있었으며 주맥의 2기사부에서는 사관이 괴사되어 있었다. MLO특이적 형광은 OTC 처리 감염목의 시료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반면, 무처리 MLO. 감염대추나무에서는 상당량의 MLO특이적 형광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감염목의 체관 및 반세포들이 붕괴되어 있었으며 유조직세포들은 커다란 전분립이 들어있는 원형질체를 갖고 있었고, OTC 처리조직들은 건전조직에 비해 비정상적인 전분축적을 나타냈다. 마이코플라스마는 감염조직의 성숙한 체관에서만 관찰되었으며 OTC 처리목의 체관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의 수확후수간주입(收穫後樹幹注入)에 의(依)한 대추나무 빗자루병(病) 방제(防除) (Control of Jujube Witches'-Broom by Post-Harvest Trunk Injection of Oxytetracycline)

  • 박원철;나용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2-16
    • /
    • 1993
  • 대추를 수확(收穫)한 직후(直後)에 oxytetracycline-HCl(OTC)용액(溶液)를 수간주입(樹幹注入)하여 대추나무 빗자루병(病)에 대(對)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조사(調査)하였다. 빗자루병(病)에 결린 대추나무(흉고직경(胸高直徑) 9-16cm)에 크기에 따라 약량(藥量)을 늘리면서 주당(株當) OTC 2g 내지 6g을 물 0.51 및 1.01에 녹여 9월(月)에서 10월(月) 사이에 중력식(重力式) 수간주입(樹幹注入)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2년간(年間) 병징(病徵)이 억제(抑制)되고 건전(健全)한 모습으로 회복(回復)되었다. 0.51와 1.01수용액간(水溶液間)에 방제효과(防除效果)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이와 같이 비교적(比較的) 고농도(高濃度)의 OTC를 주입(注入)하였을 경우(境遇) 우려(憂慮)되는 약해(藥害)가 이듬해 새로 나온 잎에서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한편 회복(回復)된 나무의 사부조직(篩部組織)을 DAPI(4'-6-diamidino-2-phenylindole.2HCl)로 염색(染色)하여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으로 검경(檢鏡)하여 보았던 바 마이코플라스마-특이(特異) 형광반응(螢光反應)이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조직내(組織內)의 마이코플라스마가 소멸(消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부(一部) 무의촌지역(無醫村地域)과 병원(病院)에서 분리(分離)한 E.coli의 항생제(抗生劑) 감수성(感受性)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Antibiotic Sensitivity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a Doctorless Area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익상;신희섭;이광호;차창용;장우현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0
    • /
    • 1977
  • 40 strains of E.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in Korea in 1976 and 40 strains of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75 to 1976 were examined for susceptibilities to 14 antimicrobial agents by the agar dilution method. The susceptibilities of the two groups to each antimicrobial agent were compared and correlations in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e 80 strains of E. coli among the 14 antimicrobial agent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1. With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Doxycycline and Ampicillin, the mean MIC's of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8.6 to 14 times higher than. those of E.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2. With Streptomycin, Minocycline and Carbenicillin, the mean MIC's o{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4.1 to 5.6 times higher than those of E. coil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3. With Kanamycin, Penicillin and Cotrimoxazole, the mean MIC's of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2.6 to 3.7 times higher than those of E.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to Erythromycin respectively between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5.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sistant to Erythromycin(100%), Streptomycin(75%), Tetracycline(72.5%), Oxytetracycline(72.5%), Doxycycline(72.5%), Minocycline(67.5%), Penicillin(82.5%), Ampicillin(60%) and Carbenicillin(65%) respectively and were sensitive to Gentamicin(97.5%), Cephalexin(92.5%) and Kanamycin(72.5%) respectively. 6. E.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were resistant to Erythromycin(100%), Streptomycin(40%) and Penicillin(50%) respectively and were sensitive to Gentamicin(100%), Kanamycin(92.5%), Tetracycline(87.5%), Oxytetracycline(87.5%), Doxycycline(87.5%), Minocycline(87.5%), Ampicillin(95%), Carbenicillin(92.5%) and Cephalexin(97.5%) respectively. 7.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among the suscebtibilities of the 80 strains of E. coli to Tetracycline analogues(Tetracycline, Oxytetracycline, Doxycycline and Minocycline) and among susceptibilities of the 80 strains of E. coli to Penicillin analogues(Penicillin, Ampicillin and Carbenicillin). 8. There were relatively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susceptibilities of the 80 strains of E. coli to Penicillin analogues and those to Tetracycline analogues, between the susceptibilities to Penicillin analogues and those to Streptomycin and between the susceptibilities to Tetracycline analogues and those to Streptomycin.

  • PDF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전복박리 성분 (Component of oxytetracycline on exfoliation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김위식;김정;황두진;한종석;이시우;최동익;임상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3-126
    • /
    • 2012
  • 전복 양식현장에서 수산용 항생제인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OTC)에 노출된 전복은 부착판에서 박리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용 OTC의 전복박리 성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복은 14,000 ppm의 OTC 농도(수산용 OTC 성분: OTC-HCl; 50%, 포도당; 49%, 청색색소; 1% 이하)에서 100% 박리되었으나 8,000 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박리되지 않았다. 95%의 박리율은 7,000 ppm의 OTC-HCl(pH 2.8)에서 나타났으나, 7,000 ppm의 OTC-HCl (pH 5.0), 7,000 ppm의 포도당 및 140 ppm의 청색색소에서는 박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욱이 100%의 박리율은 HCl (pH 2.8)에서 나타나, 전복은 상업용 OTC에 함유되어 있는 HCl에 의해 부착판에서 박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복은 HCl (pH 2.5-3.2)에서 2분 이내에 박리되었으나 pH가 낮거나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회복이 느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낮은 pH는 전복박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처리시간 및 pH의 농도에 대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토끼에서 oxytetracycline의 정맥 및 근육 투여시의 약물동태학 (Pharmacokinetics of oxytetracycline in rabbits after intravenous and intramuscular administrations)

  • 김은정;윤효인;박승춘;오태광;조준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59-266
    • /
    • 1994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after intravenous(iv) and intramuscular(im) administration (10mg/kr) in healthy rabbi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ioassay (Bacillus cereus 11778) was evaluated very useful for the determination of oxytetracycline(OTC) in the rabbit serum and tissues, with the detection limit of $0.125{\mu}g/ml$. 2. The pharmacokinetic profiles of OTC (10mg/kg, iv) in rabbits were best described with a two compartment open model $(C=29.5e^{-4,3t}{\pm}3.6^{-0.2t})$, whereas that of OTC (10mg/kg, im) showed a one compartment curve fitting. 3. Following iv administration, a rapid distribution phase was predominant [$t_{\frac{1}{2}}({\alpha}):1.43{\pm}0.98hr$ (♂), $0.5{\pm}0.1hr$(♀)], and then more slow elimination phase ensued [$t_{\frac{1}{2}}({\beta}):4.52{\pm}0.76hr$(♂), $7.32{\pm}2.52hr$(♀)]. Other computer generated pharmacokinetic values were as follows:C1 [$67.76{\pm}18.59ml/kg/h$(♂), $76.03{\pm}22.98ml/kg/h$ (♀)] Vd [$257.74{\pm}180.47ml/kg$ (♂), $92.33{\pm}23.62$ (♀)] AUC [$25.6{\pm}4.44mgh/L$ (♂), $39.6{\pm}12.13mgh/l$ (♀)].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both sexes for all the parameters at the confidence level of 95%. 4. After im administaration, the absorption from the injection sites was very rapid [ Ka:$0.18{\pm}0.03h^{-1}$ (♂), $0.24{\pm}0.02h^{-1}$ (♀)] followed by a monoexponential elimination fashion. The time to peak blood level (Tmax) were calculated $1.64{\pm}0.15hr$ and $1.34{\pm}0.24hr$, in the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The peak levels (Cmax) at the corresponding time were $1.69{\pm}0.23{\mu}g/ml$ (♂) and $2.08{\pm}0.16{\mu}g/ml$ (♀),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 PDF

Oxytetracycline을 근육 주사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xytetracyclin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intramuscular injection)

  • 정승희;최동림;김진우;조미라;서정수;지보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5
    • /
    • 2009
  • 옥시테트라사이클린 (OTC)을 넙치 (평균체중 600 g)에 1회 근육 주사 (12.5, 25 및 50 ㎎/㎏ body weight)한 다음, 경시적 (3시간-360시간) 인 혈장내 OTC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25 및 50 ㎎/㎏ 시험구에서 투여 5시간째 각각 0.99 및 1.49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으나, 12.5 ㎎/㎏ 시험구는 투여 10시간째 0.35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모든 시험구는 투여 360시간째 혈중에서 OTC가 검출되지 않 았다. OTC의 넙치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1- compartment model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하여 OTC의 흡수, 배설,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12.5, 25 및 50 ㎎/㎏을 근육 주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은 각각 24.9, 44.67 및 50.45 $\mu{g}$ $h/m\ell$, 약물의 반감기 ($T_{1/2}$)는 각각 0.42, 0.59 및 0.41 h,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 ($T_{max}$)은 8.46, 6.34 및 2.66 h, 혈중 최고농도 ($C_{max}$)는 0.30, 0.63 및 1.13 $\mu{g}/m\ell$로 계산되었다.

Oxytetracycline의 단기 노출이 제브라피쉬의 행동 및 내분비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cute Exposure Oxytetracycline on the Behavior and Endocrine Response in Adult Zebrafish)

  • 고은성;이승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1-157
    • /
    • 2015
  • Zebrafish는 약리학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실험 동물 중 하나이다. Oxytetracycline은 넓은 항균 범위를 가지는 항생제로써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정균 작용을 가진 항생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OTC에 노출이 되었을 때 zebrafish에게서 나타나는 행동변화와 내분비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OTC (50, 100 or 200 mg/l)에 노출된 zebrafish의 행동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novel tank test와 open field test를 진행하였다. 또한 내분비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whole-body cortisol의 수치를 cortisol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ovel tank test 결과 상층부에서 머문 시간과 부동 시간에서 OTC를 약욕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증가현상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총 이동거리, 과행동 시간, 유영 속도 그리고 상하 변위에서 OTC를 약욕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감소 현상이 확인되었다. Open field test 결과 부동시간에서 OTC를 약욕 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 현상이 확인 되었다. 그러나 OTC를 약욕 하였을 때 총 이동거리, 움직인 시간, 유영 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감소 현상이 확인 되었다. Whole-body cortisol에서는 zebrafish에게 약욕을 하였을 때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OTC가 zebrafish에게 화학적 스트레스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의 Oxytetracyline 처리 농도가 생리ㆍ생화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Oxytetracycline on Physiological and Bio- chemical Respons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양정환;여인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8-27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를 이용하여 oxytetracycline (OTC)처리농도에 따른 체내에서 혈액 생리학적인 변화, 항산화 효소 및 열충격단백질(HSP)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항생제의 안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구는 각각 0 (대조구), 100, 300 및 500ppm으로 설정하였으며, 1시간 약욕처리 후 순환시켜 0, 1 및 3시간 후에 혈액성상을 분석하였다. 혈액 중 hematocrit(Ht)수치는 전 실험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Red blood cell (RBC)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글루코오스 농도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노출 이후 3시간 경과 후에는 이전 대조구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단백질량은 0시간째 전 실험구에서 감소되었다가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처리전의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SOD 효소 활성은 노출 직후 300 및 500ppm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CAT효소활성은 OTC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HSP-70의 단백질량은 100 ppm및 500 ppm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HSP-70 mRNA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