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bracket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8초

The six geometries revisited

  • Kang, Austin;Musilli, Marino;Farella, Maur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56-359
    • /
    • 2020
  • Forces and moments delivered by a straight wire connecting two orthodontic brackets are statically indeterminate and cannot be estimated using the classical equations of static equilibrium. To identify the mechanics of such two-bracket systems, Burstone and Koenig used the principles of linear beam theory to estimate the resulting force systems. In the original publication, however, it remains unclear how the force systems were calculated because no reference or computational details on the underlying principles have been provided. Using the moment carry-over principle and the relative angulation of the brackets, a formula was derived to calculate the relative moments of the two brackets. Because of the moment equilibrium, the vertical forces that exist as a force-couple on the two brackets can also be calculated.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validated using previously published empirical data.

Micro-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the effect of fluoride agents on white spot lesions: An in vitro study

  • Hong, Sook-Chan;Lee, Dong-Yul;Kim, Yae-J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5-79
    • /
    • 2022
  • Objective: To investigate remineralizing effect of three fluoride regimens on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around orthodontic bracket by analyzing mineral density (MD) acquired from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Methods: Forty-eight bracket bonded bovine incisors were prepared to create demineralized enamel (DE) surface.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luoride regimen: 1) no fluoridation, 2)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APF) gel, 3) fluoridated toothpaste, and 4) 0.05% sodium fluoride mouthwash. Micro-CT was scanned after demineralization (T0), and 2 weeks (T1) and 4 weeks (T2) of fluoridation. Results: APF gel showed highest remineralization of DE during T1-T0 interval among the groups (p < 0.05); followed by toothpaste, mouthwash and no fluoridation. APF gel and toothpaste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MD after 4 weeks of application (p < 0.05). Conclusions: Remineralization effects of three fluoride regimens were depicted through micro-CT analysis, of which APF gel was most effective.

브라켓 부착 시 실런트 레진이 법랑질 탈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sealant resin on enamel demineralization in orthodontic bracket bonding)

  • 윤영아;조진형;이기헌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3-50
    • /
    • 2005
  • 본 연구는 교정용 브라켓 부착 시 사용되는 접착제 중 two paste type의 실런트 레진 적용이 법랑질 탈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된 소의 상악절치 48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법랑질 처리 방법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Phase II (Reliance, Itasca III)를 이용하여 치면처리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Group 1.37% 인산으로 30초간 산부식을 시행한 Group 2, 산부식 후 실런트 A와 B를 동량으로 혼합하여 도포한 Group 3과 산부식 후 실런트를 도포하고 레진 페이스트 A와 B를 동량으로 혼합하여 도포한 Group 4로 분류하여 각 군을 인공탈회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각각의 탈회된 깊이를 측정한 후 비교한 결과, 탈회된 법랑질의 평균 깊이는 $47.4{\mu}m$ (Group 1). $61.8{\mu}m$ (Group 2). $13.9{\mu}M$(Group 3) $8.2{\mu}n$ (Group 4) 로 나타났다. 산부식 후 인공탈회용액에 노출되는 군 (Group 2) 은 산부식 없이 노출도는 군 (Group 1) 센 비해 탈회된 깊이가 더 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실런트 레진을 도포한 군 (Group 3: 은 산부식 없이 노출되는 군 (Group 1)이나 산부식 후 노출되는 군 (Group 2) 에 비해 탈회된 법랑질 깊이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접착레진으로 부착된 군 (Group 4)은 법랑질 탈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브라켓 부착 시 실런트 레진의 도포가 유용함을 시사하였다.

교정환자의 브라켓과 치아 경계부에 존재하는 치면세균막내 mutans streptococci 종 및 생물형의 식별 (Identification of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dental plaque between the bracket and tooth surface in orthodontic patients)

  • 김미애;유소영;김화숙;국중기;임성훈;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1-59
    • /
    • 2005
  • 본 연구는 교정환자의 브라켓과 치아 경계부 및 브라켓으로부터 2mm 이상 떨어진 치아 평활면의 치면세균막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의 종 및 생물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13세 이상 35세 미만의 환자 28명으로부터 브라켓을 장착하고 있는 61개 치아에서 치균세균막을 채취하여 mutans streptococci를 MSB 배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한 다음, 이들의 지놈 DNA를 추출하여 dextranase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시행하고, 그 증폭물을 Hae III로 소화하고, 이를 전기영동하여 제한 효소절편길이에 따라 그 종을 식별하였다. 또한 생물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브라켓과 치아 경계부 및 브라켓으로부터 2mm 이상 떨어진 평활면의 치면세균막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 종은 서로 비슷한 검출 빈도를 보이나, 두 곳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 생물형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브라켓과 치아 경계부 및 치아 평활면의 치면세균막의 mutans Streptococci 생물형의 차이와 브라켓 주위의 법랑질 탈회 및 치아우식증 발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광중합 시 금합금과 교정용 금속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 (Shear bond strength between gold alloy and orthodontic metal bracket using light emitting diode curing light)

  • 정민호;정신혜;손원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7-33
    • /
    • 2010
  • 성인 교정환자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보철물 표면에 교정장치를 부착해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속표면에 교정장치를 직접 접착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metal primer와 silicoating으로 각각 금합금의 표면을 처리한 후 light emitting diode (LED) 광중합기를 사용하여 광중합을 시행하여 접착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Type III gold alloy 표면에 aluminum oxide를 이용한 sandblasting 후 4-META 계열의 metal primer로 처리한 시편과 silica를 이용한 sandblasting 후 silane으로 처리한 시편에 광중합형 접착레진인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을 접착하고 접착 후 1시간, 6시간, 24시간 후 전단접착강도의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측정된 값을 이원분산분석(two-way analysis of variance)을 이용하여 비교하고 두 가지 표면처리 방법 간에 접착강도에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metal primer에 비하여 silicoating을 시행한 시편에서 높은 전단접착강도가 관찰되었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접착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dhesive remnant index (ARI)에서는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ED를 이용하여 광중합을 시행하는 경우 법랑질에 비하여 긴 시간의 광중합을 실시하고 metal primer보다는 silicoating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금합금표면에 교정장치를 부착할 때 더 높은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혈액 오염 처리 과정이 교정용 브라켓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ood Decontamination on Orthodontic Bracket Bonding)

  • 이재희;신지선;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41-349
    • /
    • 2017
  • 혈액 오염 처리 과정은 교정용 브라켓 부착 성공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브라켓 접착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염 처리 과정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에 프라이머 광중합 전과 후에 혈액 오염이 되었을 때 세척 방법에 따라 전단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보고, 접착 파절 형태 및 표면 양상을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해보고자 하였다. 50개의 소구치를 대상으로, I군은 대조군으로 전통적인 산부식 방법으로 부착하였다. II군과 III군은 프라이머 광중합 전에, IV군과 V군은 프라이머 광중합 후에 혈액 오염이 일어난 군으로 나누었다. 또한 II군과 IV군은 코튼 펠렛만 이용하여, III군과 V군은 수세 후 코튼 펠렛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그 결과 평균 전단 결합 강도는 I군, V군, III군, II군 그리고 IV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상에서 수세 후 코튼 펠렛으로 닦은 군이 코튼 펠렛으로만 처리한 군에 비해 균일한 산부식 표면을 보였다. 접착제 잔류지수는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유의차가 있었다(p < 0.05).

교정용 브라켓 주위의 불소를 이용한 법랑질 탈회 예방 방법 비교 (Comparison of Prevention Methods against Enamel Demineralization adjacent to Orthodontic Bracket Using Fluoride)

  • 모혜림;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3-300
    • /
    • 2019
  • 고정식 교정 장치 치료의 흔한 부작용으로 구강 위생이 불량한 환자에서 브라켓과 밴드에 인접한 법랑질의 탈회가 발생한다. 이 연구는 불소를 이용한 다양한 법랑질 탈회 예방 방법 중 고정식 교정장치 주위의 탈회 예방에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된 소의 절치 80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 (I군) 대조군, (II군) V $varnish^{TM}$, (III군) Tooth Mousse $Plus^{(R)}$, (IV군) $Vanish^{TM}$ XT. 각 군 별로 처리 후 인공우식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0일, 30일, 60일, 90일에 무기질 소실량과 비커스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무기질 소실량은 IV군에서 가장 적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II군, III군 순으로 적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표면미세경도는 IV군에서 가장 적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II군, III군 순으로 적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IV군이 브라켓 주위 법랑질 탈회 방지에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III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법랑질 탈회 예방 효과를 보였지만, 다른 군보다는 그 효과가 적었다.

수종의 교정용 브라켓 접착 레진의 전단 강도 평가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of Various Orthodontic Bracket Bonding Agents)

  • 함영준;한미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4-273
    • /
    • 2022
  • 치과에서 사용하는 재료들의 물성의 발달로 인하여 브라켓과 치아 사이의 결합 능력도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소아치과 영역에서와 같이 환자의 협조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수분 격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기대하는 효과에 미치지 못하는 결합강도를 보여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의 접착 술식을 비교하여 브라켓의 전단 접착 강도를 평가하고,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우식증이나 수복물이 없는 상, 하악 소구치 60개 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Group I은 대조군으로서 기존의 3 step 접착 방식에 따라 브라켓을 부착하였고, Group II는 self-etching primer system을 이용하여 부착하였다. Group III는 self-priming adhesive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각 group의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접착제 잔류지수(ARI)를 기록하였다. 각 group I, II, III의 평균 전단 결합 강도는 14.69 MPa, 11.21 MPa 그리고 12.21 MPa로 측정되었다. Group I과 II, group I과 III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p < 0.05), ARI 값은 모든 group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Antibacterial and remineralization effects of orthodontic bonding agents containing bioactive glass

  • Kim, You-Min;Kim, Dong-Hyun;Song, Chang Weon;Yoon, Seog-Young;Kim, Se-Yeon;Na, Hee Sam;Chung, Jin;Kim, Yong-Il;Kwon, Yong H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63-171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chan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orthodontic bonding agents containing silver- or zinc-doped bioactive glass (BAG) and determine the antibacterial and remineralization effects of these agents. Methods: BAG was synthesized using the alkali-mediated solgel method. Orthodontic bonding agents containing BAG were prepared by mixing BAG with flowable resin. $Transbond^{TM}$ XT (TXT) and $Charmfil^{TM}$ Flow (CF) were used as controls. Ion release, cytotoxicity,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adhesive remnant index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remineralization properties of BAG, micro-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after pH cycling. Results: The BAG-containing bonding agents showed no noticeable cytotoxicity and suppressed bacterial growth. When these bonding agents were used, demineralization after pH cycling began approximately 200 to $300{\mu}m$ away from the bracket. On the other hand, when CF and TXT were used, all surfaces that were not covered by the adhesive were demineralized after pH cycling.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orthodontic bonding agents containing silver- or zinc-doped BAG have stronger antibacterial and remineralization effects compared with conventional orthodontic adhesives; thus, they are suitable for use in orthodontic practice.

Correction of palatally displaced maxillary lateral incisors without brackets

  • Choi, Kyung-Hee;Lee, Yoonjung;Kim, Minji;Chun, Youn-Sic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01-206
    • /
    • 2013
  • This article describes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25-year-old Korean female patient with anterior crowding, including palatally displaced lateral incisors. Her facial profile was satisfactory, but 3.5 mm of maxillary anterior crowding was observed. To correct this crowding, we decided to minimize the use of the conventional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and employed a less bulky and more aesthetic appliance for applying light continuous force. We determined the final positions of the maxillary teeth via a working model for diagnostic set up and achieved space gaining and alignment with simple Ni-Ti spring and stainless steel round tubes. Tooth alignment was achieved efficiently and aesthetically without the conventional brac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