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6 MV 광자 빔에 대한 광자극형광나노닷선량계의 교정 (Calibration of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nanoDot Dosimeter for 6 MV Photon Beam)

  • 김종언;김성후;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3-9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6 MV 광자 빔에 대한 광자극형광나노닷선량계(OSLnD)의 교정을 조사하는 데 있다. OSLnD의 선량반응 분석으로부터 선형 및 비선형 교정의 선량범위들은 결정을 하였다. 교정 및 교정식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정 및 품질관리선량계의 세트들은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교정들은 각각 0~300 cGy 및 20~1300 cGy 선량범위에서 선형 및 비선형적으로 수행하였다. 교정의 오차들은 선형 및 비선형 교정에 대하여 품질관리선량계들의 측정으로부터 각각 0.1% 이하로 얻었다. 이 연구는 6 MV 광자 빔에 대한 OSLnD의 교정식을 제공한다.

광자극형광나노닷선량계를 사용한 X선 빔의 유효에너지 결정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Energy of X-Ray Beam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nanoDot Dosimeters)

  • 김종언;이상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75-37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종에너지 X선 빔의 유효에너지를 결정하는데 있다. 80 kVp X선 빔에 대한 알루미늄의 반가층은 광자극형광나노닷선량계들(OSLnDs)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선감쇠계수(${\mu}$)는 측정된 반가층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질량감쇠계수(${\mu}/{\rho}$)는 알루미늄의 밀도로 선감쇠계수를 나누어 얻었다. 얻어진 질량감쇠계수의 유효에너지($E_{eff}$)는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주어진 알루미늄의 광자에너지들에 대한 X선질량감쇠계수들의 자료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결과로서, 반가층, 선감쇠계수 및 질량감쇠계수는 각각 2.262 mmAl, $3.06cm^{-1}$, $1.114cm^2/g$이다. 그리고 유효에너지는 29.79 keV에서 결정되었다.

진단방사선촬영에서 광자극발광선량계를 이용한 환자 피부선량의 측정 (Measurement of the Skin Dose of Patient Using the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at Diagnostic Radiography)

  • 김종언;임인철;민병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37-44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단방사선촬영의 X-선 빔 조사 조건하에서 광자극발광선량계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선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피부선량의 측정은 머리, 가슴, 골반에 대하여 실시하고 재현성의 시험은 가슴에서 시행하였다. 그 결과 머리는 이마에서 피부선량 1.30 mSv의 값을 얻었으며 가슴은 검상돌기, 유방, 폐첨에서 각각 0.92, 0.52, 0.70 mSv의 값을 얻었다. 또한 골반은 좌측골반과 우측골반에서 피부선량 각각 2.78, 3.08 mSv의 값을 얻었다. 재현성은 변동계수로서 0.033을 얻었다. 피부선량들은 결정적 영향에서 일반인의 선량한도(50 mSv)의 1/100에서 1/17에 대응하는 값들을 나타냈다. 각 관전압에 대한 피부선량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측정값은 판독장치의 표시값에 보정인자를 곱해야 한다. 이에 향후에는 관전압에 대한 에너지의존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방암 방사선치료시 조직등가보상체와의 비교를 통한 Brass mesh bolus의 유용성 평가 (Comparison and validation of Brass mesh bolus using tissue equivalent bolus in the breast cancer radiotherapy)

  • 봉주연;김경태;전미진;하진숙;신동봉;김세준;김종대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3-101
    • /
    • 2017
  • 목 적: 유방암 방사선 치료에서 조직등가보상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황동그물망보상체(Brass mesh bolus)가 최근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황동그물망보상체의 안정성을 조사하고, 표면선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등가보상체 5 mm와 가장 비슷한 황동그물망보상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해 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6 MV 선형가속기와 광자극형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를 사용하였다. 흉곽팬텀을 이용한 2문 대항접선조사를 황동그물망보상체와 조직등가보상체의 비교를 통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결 과: 표면선량 측정을 기반으로 조직등가보상체 5 mm와 가장 유사한 두께는 황동그물망보상체를 두 겹에 해당되는 3 mm였고, 평균 상대오차율은 0.38 %였다. 흉곽팬텀을 사용한 황동그물망보상체의 표면선량은 조직등가보상체에 비해 약 1.069배 증가하였다. 결 론: 본 실험에서 황동그물망보상체는 기존 조직등가보상체 선량균등도가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을 바탕으로 황동그물망보상체가 기본 조직등가보상체를 대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다양한 임상적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유도발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의 선량 특성에 관한 고찰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 for Dosimetry)

  • 김정미;전수동;백금문;조영필;윤화룡;권경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29
    • /
    • 2010
  • 목 적: 방사선 치료의 선량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s (OSLD) 선량 특성을 분석하여, 선량 측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NanoDot^{TM}$$Inlight^{TM}$MicroStar Reader, Solid Water Phantom, 의료용 선형가속기 $TRYLOGY^{(R)}$를 사용하였다. 측정 조건은 OSLD를 Solid Water Phantom의 $D_{max}$ 깊이에 위치시킨 후 SSD는 100 cm, Field size는 $10{\times}10\;cm^2$로 하고 300 MU/min으로 6 MV 광자선, 100 c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OSLD를 10분 마다 판독하면서 변화값을 측정하였고, OSLD에 선량을 50 cGy와 100 cGy씩 누적시켜 판독하였다. 또한 에너지 의존성은 6 MV, 15 MV, 4~20 MeV를 사용하였다. 선량률은 100~1,000 MU/min로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광자선 6 MV의 PDD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OSLD와 전리함(Ionization chamber) (FC 65P-747)을 사용하였다. 결 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OSLD의 재현성은 ${\pm}2.5%$였다. OSLD의 선량에 대한 선형성(linearity)을 평가한 결과 300 cGy까지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300 cGy 이상에서는 초선형적(supralinearity)으로 증가하였다. 에너지 의존성은 ${\pm}2%$ 이내였고 선량율 의존성은 ${\pm}3%$ 이내였다. 6 MV 광자선에 대하여 OSLD로 측정한 $PDD_{10}$은 66.7%, $PDD_{20}$은 38.4%였고 전리함(Ionization chamber)으로 측정한 $PDD_{10}$은 66.6%, $PDD_{20}$은 38.3%였다. 결 론: OSLD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시간, 에너지, 선량률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pm}3%$ 이내였으며 전리함(Ionization chamber)과 비교한 PDD는 0.3% 이내였다. 또한 300 cGy까지는 선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OSLD는 여러 번 반복 측정이 가능하였고 측정과 판독이 용이하여 선량계로서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광자극형광나노닷선량계를 사용한 6 MV 조사야 가장자리 바깥 선량 측정 (Measurement of Dose outside a 6 MV Field Edge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Nano Dot Dosimeters)

  • 김종언;김원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449-45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6 MV 광자 빔에 대하여 팬텀 표면으로부터 1 cm 깊이에서 조사야 가장자리 바깥 축외선량비와 1 mmPb의 차폐비를 조사하는 데 있다. 180 cGy의 선량은 SAD기법에서 $10{\times}10cm^2$$15{\times}15cm^2$ 조사야에 대하여 깊이 10 cm에 전달되었다. 축외선량비는 조사야의 중심축과 가장자리로부터 2, 4, 6 cm에 위치된 광자극형광나노닷선량계(OSLnD)들의 선량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1 mmPb의 차폐비는 조사야 가장자리로부터 2, 4, 6 cm에 위치된 OSLnD들의 선량을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결과로서, $10{\times}10cm^2$$15{\times}15cm^2$ 조사야에 대하여, 축외선량비들은 0.008-0.023과 0.011-0.028을 각각 얻었다. 또한 1 mmPb의 차폐비들은 0.868-0.888과 0.807-0.842을 각각 얻었다. 이 결과들은 방사선치료 조사야 바깥에 위치한 위험장기들을 보호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진단방사선촬영에서 광자극형광선량계의 에너지의존성에 대한 보정인자 (Correction Factor for the Eenergy Dependence of a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in Diagnostic Radiography)

  • 김종언;임인철;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261-265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진단방사선촬영에서 환자의 피부선량을 측정하는 나노도트선량계의 에너지의존성에 대한 보정인자들을 구하는 것이다. 보정인자들은 랜다우어사에서 제공한 팬텀 정에 관한 X-선에 상대적인 선량계의 에너지반응그래프와 로사도 등이 발표한 IEC의 RQR 표준방사선 품질들에 대한 평균에너지 값들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결과들은 관전압 40-150 kVp에서 1-1.33의 보정인자들을 나타냈다. 얻어진 보정인자들은 각 관전압에서 정확한 피부선량 측정을 위하여 임상에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광자극발광선량계와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핵의학과 선량 측정비교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TLD and OSLD Used in Nuclear Medicine)

  • 이왕희;김성철;안성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29-334
    • /
    • 2012
  •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측정에는 필름뱃지, 열형광선량계, 유리선량계 등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광자극발광선량계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일부에만 적용되고 있으며,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던 열형광선량계와 광자극발광선량계를 핵의학과 작업종사자 및 작업구역에서 3개월간 누적선량을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 평균 표층선량은 열형광선량계가 1.27mSv, 광자극발광선량계가 2.12mSv로 0.85mSv의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심부선량은 열형광선량계가 1.33mSv, 광자극발광선량계가 2.06mSv로 0.73mSv의 차이를 보였다. 광자극발광선량계가 표층선량 및 심부선량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높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엑스선검사 시 유방, 갑상샘, 안구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차폐체 비교 (Comparison of Shield of Breast, Thyroid, Eyes for Exposure Dose Reduction in Mammography)

  • 안세정;안성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3호
    • /
    • pp.189-19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the exposure dose to the breast and adjacent organs as the number of Mammography increased. Therefore, it has been designed a shield in lead, bismuth + tungsten, and bismuth that does not require to be equipped by the patient, in which each type of shield was compared and analyzed of radiation exposure dose to breast, thyroid, and eye. Using a mammography machine,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OSLD) was inserted to bilateral breast, thyroid, and eye of a dosimetry phantom to measure dose radiated onto the phantom. Shielding device was made in different thickness of 2mm, 3mm, and 5mm and dos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dose while using lead, bismuth, and bismuth + tungsten prosthesis. When each shields combined with shielding device, were compared of dose, all showed similar does reduction in the dose to breast, thyroid, and eye in both cranialcaudal and mediolateraloblique view. Based on the current study, bismuth and bismuth + tungsten can replace conventional lead shield and it is anticipated to safely and conveniently reduce radiation exposure to breast, thyroid, and eye with the shield that does not require to be equipped.

심혈관조영술 및 중재술 시 환자 선량 감소방안 (Patient Exposure Dose Reduction in Coronary Angiography & Intervention)

  • 임도형;안성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1호
    • /
    • pp.69-76
    • /
    • 2022
  • This study, the method of reducing the exposure dose by changing the geometrical requirements among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 method of directly wearing a protector on the patient were used to expose the patient.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method of reducing the dose and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the exposure dose was investigated. Using the phantom, the dose of the lens, thyroid gland, and gonad gland in the 5 views most used in coronary angiography and intervention accumulated 5 times for 10 seconds at 60~70 kV, 200~250 mA as an automatic controller of the angiography system, and measured by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OSLD). SID 100 cm and Cine 15 f/s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experimental group into 3 groups: a group lowered to Cine 7.5 f/s, a phantom protector, and a group lowered to 95 cm SI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ing decrease in exposure do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owering the cine frame may be the simplest and most effective method to reduce the exposure dose, but there is a limit that it cannot be applied if the operator judges that the diagnostic value is small or feels uncomfortable with the procedure. Conclusion as fallow reducing the exposure dose by directly wearing protector is the next best solution, and it is hoped that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reduce the exposure dose to unnecessary or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