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r percep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나방의 성페로몬 감지 (Perception of Sex Pheromone in Moth)

  • 박계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14
    • /
    • 2022
  • 나방은 성페로몬에 대한 통신시스템이 잘 발달되어 있다. 동종의 암컷이 방출하는 성페로몬을 원거리에서 감지하여 암컷을 정확히 찾아가 교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컷 나방은 고도로 발달된 성페로몬 감지 시스템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해서 수컷 나방은 페로몬 냄새기둥(plume)을 따라 바람을 거슬러 비행하면서 간헐적으로 감지되는 페로몬 냄새가닥(odor filaments)을 추적하는 고정행동양식(stereotypic behavior)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여러 성분으로 구성되는 나방의 암컷 성페로몬은 그 조성이 종특이적(species-specific)이며, 비슷한 성분을 공유하는 유사종들이 방출하는 성페로몬과 동종의 암컷이 방출하는 성페로몬을 정확히 구분하기 위해서 수컷 나방은 촉각에 여러 종류의 고도로 특화된 페로몬 감각세포들을 갖고 있어서, 이들이 페로몬을 감지할 때 나오는 신경 신호들을 종합해서 동종의 페로몬을 인식하여 행동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수컷 나방은 보통 동종의 페로몬 성분뿐만 아니라 유사종이 사용하는 페로몬 성분들을 특이적으로 감지하는 길항적(antagonistic) 냄새감각세포들도 갖고 있어서 페로몬 식별력을 강화한다. 본 종설에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수컷 나방의 페로몬 감지 시스템과 이와 연관된 수컷의 감각기 및 행동반응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고, 이를 종합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청자의 후각정보 수용 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실감증대를 위한 제안 (Video Classification Based on Viewer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and Suggestion for Reality Improvement)

  • 이국희;최지훈;안충현;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207-220
    • /
    • 2013
  •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 촉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그 냄새가 실감을 증대시키는지 (실감증대효과),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라는 세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세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국 상해지역 대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조사 (A Survey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Shanghai Perception for Korean Kimchi)

  • 한재숙;한경필;남출륭구;이승언;김영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01-70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Shanghai perception for Korean Kimch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 questionaire was examined on male 139(49.5%) and female 142(50.5%) college students of residing in Shanghai. Nationality of Kimchi answered Korea 75% of ail the participants, and have eaten Kimchi was 60.9%. Male purchsed commercial Kimchi 42.2% and female restaurant 46.3a(p< .01). The first answered 'it was taste' 51.6% when commercial Kimchi purchsed, and packing size of commercial Kimchi was 200g 56.9%. Among the intake experience have eaten Kimchi was the highest Baechu Kimchi 77.8%, Mu Kimchi 58.5% and Oi Kimchi 35.7%, also preference of Kimchi was Baechu Kimchi 49.7%, Mu Kimchi 26.9% and Oi Kimchi 13.8% in order. After have eaten Kimchi answered good 54.5%(p< .01), Kimchi liked reason were the highest 'refreshing taste' 39.7%, unliked were odor(of garlic, ginger and anchovy juice, etc) and too spicy in order Improvement on consumption extention of Kimchi answered 'not too hot' 30.4%, 'not too salty' 28.6% and 'not over-riped' 21.7%. Perception for Kimchi answered the highest mean 3.51'Kimchi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p< .05) and 'Kimchi is a good side dish with cooked rice'.

파김치에 대한 중국인과 일본인 소비자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Perception and requirement of Green Onion Kimchi by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 이민아;김은미;오세욱;홍상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6-302
    • /
    • 2010
  • A survey on the quality improvement and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y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conducted by 30 Korean specialists in order to develop an improved green onion kimchi product. The long green onion shape, kimchi juice, seasonings, off-odor of fermented sea food, and stimulatory flavor of green onion were the main issues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green onion product. Usage of the favorite ingredients of the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also suggested. The percentages of Chinese and Japanese who already knew green onion kimchi were 54.1% and 30.3%, respectively, whereas 46.8% of Chinese and 28.1% of Japanese have actually tried green onion kimchi in Ko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etween Chinese (3.25/5.0) and Japanese (3.17/5.0) consumers. For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reen onion, Chinese consumers thought off-flavor, fibrous texture, and fermentation level were more significant while the Japanese considered red color, various taste, MSG content, and length of green onion. Seasoned tofu with green onion and rice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foods to green onion kimchi by the Chinese and Japanese, respectively.

후각자극에 의한 대뇌겉질의 전기생리학적 반응에 대한 연구: 알파 활동도 (A Study on the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 of the Cerebral Cortex by Olfactory Stimulation: Alpha Activity)

  • 강지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62-467
    • /
    • 2019
  • 최근 수십 년 동안 향기 및 악취 흡입에 의한 후각자극이 인간에게 심리적, 생리적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후각자극에 의한 사람 대뇌겉질 신경세포의 전기생리학적 반응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남성 12명을 대상으로 아카시아와 부탄올에 의한 후각자극이 알파파의 활동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카시아 향취를 흡입하는 경우는 후각자극이 없는 안정상태의 뇌파에 비해 알파파의 활동도가 유의하게 증가(66.7%)하였고, 부탄올 악취에서는 알파파 활동도의 유의한 감소(33.3%~41.7%)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후각자극에 의하여 대뇌겉질 신경세포의 활동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후각인지가 신경계의 기능에 자극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에서 후각자극이 뇌파활동과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향후 중추신경계에 대한 전기생리학적 효과의 영향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f Trimethylamine Reduction in Egg Yolk Following Supplementation of Laying-Hen Feed with Riboflavin

  • Park, Geon Woo;Park, Kyung Ho;Kim, Sang Gu;Lee, Sang Y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07-215
    • /
    • 2022
  • 계란의 비린내 강도는 가금류의 종류와 개인의 인식에 따라 다르지만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트리메틸아민(TMA)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주목할만한 점은 리보플라빈이 TMA를 무취의 트리메틸아민-N-옥사이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효소인 플라빈 함유 모노옥시게나제 3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난황의 TMA 함량을 분석하여 비린내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고, 비린내를 방지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체상 미세추출-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리보플라빈이 강화, 보충된 사료를 먹인 암탉의 난황에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감지하고 정량화했다. 또한 샘플 간 휘발성 물질의 상대적 함량을 비교하기 위해 전자코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TMA는 콜린이 함유된사료를 섭취한 가금류의 난황에서 고농도로 검출되었지만 리보플라빈이 보충된 사료를 섭취한 가금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리보플라빈이 TMA를 포함하여 계란에 존재하는 휘발성 물질의 양과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발견이 계란의 비린내를 줄이는 것은 물론 품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상업적 김치에 대한 싱가포르 대학생의 인식 조사 (A Survey on Singapor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Korean Commercial Kimchi)

  • 한재숙;한경필;이진식;김영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0-49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n kimchi in Singapor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male 236(43.0%) and female 313(57.0%)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Singapo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86.9%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kimchi is Korean in origin, and 48.7% had eaten kimchi. Also 75.2% of the males and 65.2% of the females had purchased commercial kimchi at restaurants(p<0.05). Regarding the primary reason they purchased commercial kimchi, 62.1% responded 'its taste'(male 58.1%, female 65.0%), also 47.6% stated the package size was 50g(male 44.8%, female 49.7%). Among the kimchi they had experienced, 86.7% had eaten Baechu kimchi, 31.0% Mu kimchi and 30.9% Oi kimchi(males : 82.2% Baechu kimchi, 30.9% Oi kimchi, and 27.4% Mu kimchi, females: 90.0% Baechu kimchi, 33.6% Mu kimchi, and 26.2% Oi kimchi respectively). For their kimchi preference, 67.0% preferred Baechu kimchi, 9.4% Oi kimchi, and 7.1% Mu kimchi(males: 63.4% Baechu kimchi, 12.9% Oi kimchi and 5.4% Mu kimchi, females: 69.5% Baechu kimchi, 8.4% Oi kimchi and 6.9% Mu kimchi, respectively). After having eaten kimchi, 19.3% answer it tasted good, and the primary reason for liking kimchi, 'spicy and hot taste'(51.3%), The main reasons for not liking kimchi were the odor(garlic, ginger, anchovy juice, etc) and too spicy, respectively. Regarding improvements for its expanded consumption 32.0% answered 'not to improve', 18.0% answered 'don't make it too hot', 17.6% answered 'don't make it too salty', and 9.4% answered 'don't make it over-ripe'. For the overall perception of kimchi, the answer with the highest mean(3.95) was 'kimchi is a good side dish with cooked rice',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kimchi is delicious'(M=3.14, p<0.05).

  • PDF

Flavor Release from Ice Cream during Eating

  • Chung, Seo-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8-17
    • /
    • 2007
  • The main purpose of flavor research using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such as solvent extraction, distillation, and dynamic headspace, is to effectively extract, identify, and quantify flavor volatiles present in food matrices. In recent flavor research,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flavor release during mastication is increasing, because only volatiles available in the headspace contribute to the perception of food 'flavors'. Odor potency differs among flavor volatiles,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avor volatiles affect their release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various food matrices. In this review, a general overview of flavor release and flavor-food interactions within frozen dessert systems is given with emphasis on chemical, physiological, and perceptual aspects. Chemical and sensory analysis methods competent for investigating such flavor-food interactions are illustrate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recommended for data acquired from such experiments are also discussed.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과 영상분류 (User Perception of Olfactory Information for Video Reality and Video Classification)

  • 이국희;이형철;안충현;최지훈;김신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19
    • /
    • 2013
  • 시청각정보를 통한 영상미디어의 실감향상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져 왔다. 반면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의 제시는 기술적 구현과 통제가 어려워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영상실감을 위해 후각정보를 제시하고자 할 때 필요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영상에 존재하는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을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 해당 냄새가 내가 좋아하는 냄새인지 (냄새자체선호), 해당 냄새가 제시된다면 강도는 어느 정도면 좋을지 (냄새제시강도), 그리고 영상 속의 냄새가 얼마나 구체적인지 (냄새의 구체성)라는 다섯 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이 질문들에 대해 높은 혹은 낮은 평정을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을 수집한 다음,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시청하게 한 후 위의 다섯 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위 다섯 가지 질문을 2개씩 쌍으로 묶은 후, 각 질문에 대한 평정값을 2차원 평면의 X-Y축으로 설정하여 영상산포도를 구성하였다. 산포도를 통해 드러난 영상군집과 그 형태는 해당 영상군집이 가진 특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함과 동시에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dorant G protein-coupled receptors as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for adult diffuse gliomas: a systematic analysis and review

  • Cho, Hee Jin;Koo, JaeHyung
    • BMB Reports
    • /
    • 제54권12호
    • /
    • pp.601-607
    • /
    • 2021
  • Odorant receptors (ORs) account for about 60% of all hum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OR expression outside of the nose has functions distinct from odor perception, and may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disorders including brain diseases and cancers. Glioma is the most common adult malignant brain tumor and requires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to improve clinical outcomes. Here, we outlined the expression of brain ORs and investigated OR expression levels in glioma. Although most ORs were not ubiquitously expressed in gliomas, a subset of ORs displayed glioma subtype-specific expression. Moreover, through systematic survival analysis on OR genes, OR51E1 (mouse Olfr558) was identified as a potential biomarker of unfavorable overall survival, and OR2C1 (mouse Olfr15) was identified as a potential biomarker of favorable overall survival in isocitrate dehydrogenase (IDH) wild-type glioma. In addition to transcriptomic analysis, mutational profiles revealed that somatic mutations in OR genes were detected in > 60% of glioma samples. OR5D18 (mouse Olfr1155) was the most frequently mutated OR gene, and OR5AR1 (mouse Olfr1019) showed IDH wild-type-specific mutation. Based on this systematic analysis and review of the genomic and transcriptomic profiles of ORs in glioma, we suggest that ORs are potential biomarkers and therapeutic targets for gli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