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감성과학)
- Volume 16 Issue 2
- /
- Pages.207-220
- /
- 2013
- /
- 1226-8593(pISSN)
- /
- 2383-613X(eISSN)
Video Classification Based on Viewer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and Suggestion for Reality Improvement
시청자의 후각정보 수용 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실감증대를 위한 제안
- Lee, Guk-Hee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Choi, Ji Hoon (Realization Broadcasting and Media Research Lab. i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Ahn, Chung Hyun (Realization Broadcasting and Media Research Lab. i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Li, Hyung-Chul O.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Kim, ShinWoo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이국희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최지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방송미디어연구부) ;
- 안충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방송미디어연구부) ;
- 이형철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김신우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Received : 2013.05.27
- Accepted : 2013.06.25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there has been much advancement in the methods of provid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olfaction for video rea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fine and knotty to manipulate. As a first step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using olfactory informa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users' acceptability of smell when they watch videos of various kinds and then classified the video clips based on their acceptability of different criteria. To do so, we first selected three questions of whether the scene in the video appears to have an odor (odor presence), whether a matching odor is likely to improve a sense of reality (effect on sense of reality), and whether s/he would like a matching odor to be present (preference for the matching odor). Then after collecting 51 video clips of various genres that would receive either high or low ratings for the questions above, we had participants to watch the videos and rate them for the above three questions on 7-point scale. For video classification, we paired each two questions to construct 2D space to draw scatterplot of video clips where the scales of the two questions represent X or Y axis. Clusters of video clips that locate at different quadrants of the 2D space woul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 providing olfactory information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 촉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그 냄새가 실감을 증대시키는지 (실감증대효과),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라는 세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세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