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s and seed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2초

Chemical composition of nuts and seeds sold in Korea

  • Chung, Keun Hee;Shin, Kyung Ok;Hwang, Hyo Jeong;Choi, Kyung-S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2호
    • /
    • pp.82-88
    • /
    • 2013
  • Eleven types of nuts and seed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energy (326-733 mg), moisture (1.6-18.3 mg), carbohydrate (8.8-70.9 mg), protein (4.9-30.5 mg), lipid (2.5-69.8 mg), and ash (1.2-5.5 mg) contents per 100 g of sample. Energy content was highest in pine nuts (733 mg/100 g), carbohydrate level was highest in dried figs (70.9 mg/100 g) and protein was highest in peanuts (30.5 mg/100 g). The amino acid compositions of nuts and seeds were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hydrophobic (range = 1,348.6-10,284.6 mg), hydrophilic (range = 341.1-3,244.3 mg), acidic (range = 956.1-8,426.5 mg), and basic (range = 408.6-4,738.5 mg) amino acid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were highest in macadamia nuts (81.3%), wherea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were highest in the walnuts (76.7%). Macadamia nuts did not contain any vitamin E, whereas sunflower seeds contained the highest level (60.3 mg/kg). Iron (Fe) content was highest in pumpkin seeds ($95.85{\pm}33.01$ ppm), zinc (Zn) content was highest in pistachios ($67.24{\pm}30.25$ ppm), copper (Cu) content was greatest in walnuts ($25.45{\pm}21.51$ ppm), and lead (Pb) content was greatest in wheat nuts ($25.49{\pm}4.64$ ppm), significantly (P < 0.05). In conclusion, current commercial nuts and seeds have no safety concerns, although further analysis of Pb contents is necessary to ensure safety.

코덱스의 식품 분류: 곡류, 견과종실류, 허브 및 향신료 (Food Classification by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ereal Grains, Nuts and Seeds, Herbs and Spices)

  • 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2-218
    • /
    • 2019
  • 식품 안전 규제에서 위해물질에 대한 국내 기준 설정시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기준과의 조화를 위한 검토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코덱스 식품분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CAC(코덱스) 식품분류 개정 작업이 2017년에 완료된 곡류, 그리고 2018년에 완료된 견과종실류와 허브 및 향신료에 대해 개정된 코덱스 식품분류 내용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코덱스 식품분류에는 국내 식품분류(식품의약품안전처의 분류)에서 곡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Group 020 cereal grains (6개 subgroup), 견과종실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3개 그룹, Group 022 tree nuts (subgroup 없음), Group 023 oil seeds and oilfruits (5개 subgroup), Group 024 seeds for beverages and sweets (subgroup 없음)가 있다. 그리고 허브와 향신료의 경우 코덱스에는 2개 그룹, Group 027 (3개 subgroup), Group 028 (9개 subgroup)이 있다. 코덱스 식품분류에서 식품에 부여된 commodity code의 수는 Group 020 27개, Group 022 32개, Group 023 46개, Group 0244개, Group 027 127개, Group 028 138개 이다. 한편 코덱스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분류 사이에는 여러 차이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국내 식품분류에서는 곡류나 허브를 코덱스처럼 세분화하지 않았고 코덱스와 달리 땅콩을 견과류에 묶어서 한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고 기타식물류를 두었다. 코덱스 식품분류를 사용할 때 이러한 차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경기도 내 유통 견과종실류의 잔류농약 실태 모니터링 (Monitoring Pesticide Residues in Nuts and Seeds in Gyeonggi-do)

  • 이유나;문수경;이정희;김애란 ;문경은;강충원;이진희;박명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2-15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유통 중인 견과 종실류의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고자 온라인 또는 유통매장을 통해 131건을 수거하여 조사하였다. 총 14품목의 견과종실류를 수거하였으며 339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131건 중 총 8건에서 검출되었으며 범위는 0.01 mg/kg-0.07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시료 8건 중 7건이 잔류농약 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으로 판정되었으며 부적합 7건 중 6건은 수입농산물에서 판정되었다. 중국산 호박씨의 경우 PLS가 적용된 피라클로스트로빈이 5건 검출되었으며 범위는 0.02 mg/kg-0.04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도산 참깨와 국내산 참깨에서도 펜디메탈린, 보스칼리드, 비펜트린이 각각 0.04 mg/kg, 0.05 mg/kg, 0.06 mg/kg으로 검출되어 부적합 수치를 보였다. 또한 검출된 8종의 농약에서 EDI/ADI (%) 값이 0.002%-0.372%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경기도 내 유통 중 견과종실류 등의 멜라토닌 함량 조사 (Monitoring of Melatonin Contents in Nuts, Seeds, and Beans in Gyeonggi-Do)

  • 송유나;홍해근;권연옥 ;하진옥 ;김현지 ;손명진 ;박정화 ;권보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4-191
    • /
    • 2023
  • 견과류는 영양가가 우수하고 다양한 기능성 생리활성을 가져 건강한 식단에 중요한 요소이다.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각종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견과류의 멜라토닌 추출 및 정량을 위한 분석법을 마련하였고, 견과류의 높은 지방함량을 고려한 최적화된 추출 절차를 이용하여 경기도에서 유통되는 견과종실류 등의 멜라토닌 함량을 조사하였다. 땅콩 또는 견과류, 유지종실류 및 두류의 평균 멜라토닌 함량은 각각 1200.83(409.76-2223.56), 934.83 (454.10-1736.60), 616.46 (494.70-825.12) pg/g으로 나타났다. 호두와 밤의 경우 속껍질을 포함한 반탈각 상태와 과실만 있는 경우의 멜라토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반탈각 상태에서 멜라토닌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호두, 밤 및 땅콩의 경우 2022년 재배된 햇 견과보다 2021년 재배 후 저장된 견과에서 멜라토닌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견과종실류 등의 멜라토닌 함량이 높아 우수한 기능성 식품임을 시사하였다.

견과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바질 페스토의 저장 중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sil Pesto added with Various Nuts during Storage)

  • 박종우;김기쁨;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9-43
    • /
    • 2016
  • 페스토는 잣, 해바라기씨, 호박씨, 호두, 아몬드를 넣고 제조하여 항산화성(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전자공여능)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4^{\circ}C$에서 20일간 저장하면서 색도, pH, 점도, 총 균수를 측정하였다. 페스토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을수록 항산화력이 높았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잣보다 해바라기씨나 호두를 이용할 때 바질 페스토가 더 기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성 차이 검사 결과, 색의 강도, 견과류 맛, 씁쓸한 맛, 까끌까끌 정도와 후미는 AMP(아몬드)가, 기름진 맛, 걸쭉한 정도는 WNP(호두)가 유의적(p<0.001)으로 강하다고 평가되었고, 윤기, 바질 냄새, 견과류 냄새, 바질 맛은 견과류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냄새의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외관, 맛, 텍스처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잣을 이용한 PNP와 해바라기씨를 이용한 SSP가 가장 높았다. 바질 페스토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a, b값과 점도가 증가한데 반해, L값과 pH는 감소하였다. 총 균수는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어느 일정 시점이 지남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나, 본 연구의 총 균수는 식품의 오염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미생물학적으로 비교적 안정하였다. 따라서 페스토 제조시 잣 이외에도 해바라기씨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굽는 방법으로 제조한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Maejackwa Containing Nuts and Seeds Prepared by Baking Method)

  • 정해정;김성준;백정은;성대경;송화연;이진영;김규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11-8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오븐에서 굽는 방법으로 매작과를 제조하고 질감 개선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몇 종류의 견과종실류를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 정도를 살펴보았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유탕처리한 대조군의 지방함량은 오븐구이한 견과종실류 첨가군의 지방함량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캐슈넛 첨가군이 73.48로 가장 높아 밝은 색을 띠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아몬드 첨가군이 (+)의 값을 보였고 그 외 첨가군은 (-)의 값을 나타내어 녹색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아몬드, 캐슈넛 및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매작과의 경도는 캐슈넛, 코코넛,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표면색은 코코넛 첨가군과 대조군이 낮게 나타난 반면,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고소한 맛은 해바라기씨 첨가군과 캐슈넛 첨가군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조군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견과류 첨가군은 비슷한 정도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바삭한 정도는 아몬드 첨가군, 대조군 및 해바라기씨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코코넛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으며 느끼한 정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뒷맛은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기호도 검사 결과 아몬드 > 캐슈넛 > 코코넛 > 해바라기씨 > 대조군 순으로 아몬드 첨가군을 가장선호하였고 대조군을 가장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를 $60^{\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며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코코넛과 캐슈넛 첨가군은 저장기간을 통하여 과산화물가의 변화가 거의 없어 지방산화에 안정함을 보여주었고 아몬드 첨가군과 해바라기씨 첨가군은 저장기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저장 30일 후에는 해바라기씨 첨가군의 산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탕처리한 대조군의 경우 해바라기씨 첨가군을 제외한 다른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점차 증가하였고 저장 30일후에는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과산화물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관능적인 측면과 저장안정성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면 아몬드 또는 캐슈넛 첨가 매작과가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인 상용 식물성 식품의 타우린함량 조사 (Taurine Content in Korean Foods of Plant Origin)

  • 박태선;박정은;장준성;손미원;손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01-807
    • /
    • 1998
  • Taurine content in Korean foods of plant origin was determined for 118 commonly used food items including cereals, potatoes, pulses, nuts, seeds, vegetables and fruits. Taurine concentration in food sample was analyzed using an automated amino acid analyzer(Biochrom 20, Pharmacia LKB) based on ion-exchange chromatography. Taurine was frequently detected in plant kingdom in much lower concentrations(1/100~1/1000) than those found in marine lifes and mammals. Glutinous rice, glutinous millent and sorghum did not contain taurine, while 0.7~3.9mg taurine/100g dry wt were detected in rice, barley and their products. Potatoes and sweet potatoes contained 0.3~1.2mg taurine/100g wet wt, and seasame seeds, perilla seeds, almonds, walnuts and gigko nuts contained 0.7~3.0mg taurine/100g wt. Taurine concentration was undetectable in most of the pulses, and in a large number of vegetables. Garlic bulbs, eggplants, green peppers, lotus roots, and cabbage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taurine(around 1mg taurine/100g wet wt) among vegetables. Taurine was absent or found in very low levels(<1mg taurine/100g wet wt) in most of the commonly used fruits.

  • PDF

조선시대 좌반류(佐飯類)의 종류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of Joseon Dynasty Jwabans)

  • 오순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9-248
    • /
    • 2011
  •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Jwabans as recorded in 21 old book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Jwaban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root vegetables, sea algae, seeds nuts, bird, meat, and fish.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10, nine, and 181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and two, one, and seven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root vegetables (根菜類). During the early and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one and 14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sea algae (海藻類), respectively, and four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seeds nuts during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種實類). During the early, mid and late eras, one, two, and 17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bird (鳥類), three, one, and 47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meat (肉類), and one, five, and 81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fish (魚類). The frequency of the Jwabans ingredients in order were fish (30.5%), meat (23.5%), pheasant (7%), root vegetables (5%), abalone (全鰒) (5%), laver (海苔) (4%), shellfish (貝類) (3%), fish eggs (魚卵) (2.5%), fleshy prawn (大蝦) (2.5%), sea tangle (昆布) (2%), dried tangle (海草) (1.5%), sparrow meat (雀肉) (1.5%), and etc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seems that the appearance and supplementation with different ingredients increas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is may be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old books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to globalize Jwabans.

한국인 상용 식품 중 망간 함량 분석 (Analysis of Manganese Content in Frequently Consumed Foods by Koreans)

  • 최미경;김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8호
    • /
    • pp.769-778
    • /
    • 2007
  • Using ICP-AES, we analyzed manganese content in 366 foods consumed frequently by Koreans. For the analysis, it was included a total of 366 foods such as 51 kinds of grains, 7 kinds of potatoes and starches, 7 kinds of sugars and sweeteners, 12 kinds of legumes, 11 kinds of nuts and seeds, 68 kinds of vegetables, 7 kinds of mushrooms, 33 kinds of fruits, 13 kinds of meats, 4 kinds of eggs, 48 kinds of fishes and shellfishes, 7 kinds of seaweeds, 16 kinds of milks, 8 kinds of oils and fats, 27 kinds of beverages, 34 kinds of seasonings, 13 kinds of processed foods and others. Among the grains, starches and sugars, manganese content of rice was 0.745 mg/100g. As for legumes, the content of manganese in soybean milk was 0.033 mg/100g and in black beans was 4.075 mg/100g. In nuts and seeds, the content of manganese in gingko nuts was 0.268 mg/100g while that in pine nuts was 8.872 mg/100g. Among the vegetables, manganese contents were 0.061 mg/100g in cherry tomato and 14.017 mg/100g in ginger. In mushrooms, the highest manganese content was displayed in ear mushroom at 10.382 mg/100g. Dried jujube and shrimp were found to be the fruits and fishes with high manganese contents at 2.985 mg/100g and 3.512 mg/100g, respectively. Among dairy foods, oils and beverages, manganese content was the highest in instant coffee powder at 2.577 mg/100g. Seasonings and processed foods posted 0.010 mg/100g in Sagolgomtang, instant soup and 23.846 mg/100g in pepper. In a furture, more various food for manganese content needs to be analyzed and a reliable food database should be compiled from the findings of researches in order to estimate manganese consumption accurately.

Detection of Abnormally High Amygdalin Content in Food by an Enzyme Immunoassay

  • Cho, A-Yeon;Yi, Kye Sook;Rhim, Jung-Hyo;Kim, Kyu-Il;Park, Jae-Young;Keum, Eun-Hee;Chung, Junho;Oh, Sangsu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2호
    • /
    • pp.308-313
    • /
    • 2006
  • Amygdalin is a cyanogenic glycoside compound which is commonly found in the pits of many fruits and raw nuts. Although amygdalin itself is not toxic, it can release cyanide (CN) after hydrolysis when the pits and nuts are crushed, moistened and incubated, possibly with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CN reversibly inhibits cellular oxidizing enzymes and cyanide poisoning generates a range of clinical symptoms. As some pits and nuts may contain unusually high levels of amygdalin such that there is a sufficient amount to induce critical CN poisoning in humans, the detection of abnormal content of amygdalin in those pits and nuts can be a life-saving measure. Although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detect amygdalin in food extracts, an enzyme immunoassay has not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we immunized New Zealand White rabbits with an amygdalin-KLH (keyhole limpet hemocyanin) conjugate and succeeded in raising anti-sera reactive to amygdalin, proving that amygdalin can behave as a hapten in rabbits. Using this polyclonal antibody, we developed a competition enzyme immunoassay for determination of amygdalin concentration in aqueous solutions. This technique was able to effectively detect abnormally high amygdalin content in various seeds and nuts. In conclusion, we proved that enzyme immunoassa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amygdalin in food extracts, which will allow automated analysis with high through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