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 claim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초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한 오메가-3 지방산 함유유지의혈행개선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while focused on evaluation of claims for health functional food)

  • 정세원;김지연;백주은;김주희;곽진숙;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3호
    • /
    • pp.226-238
    • /
    • 2013
  •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re essential fatty acids because humans cannot synthesize them de novo and must obtain them in their diet. Fish and fish oil are rich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including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Significant evidence of the beneficial role of dietary intake of omega-3 fatty acids in blood flow has been reported and putative mechanisms for improvement of blood flow include anti-thrombotic effects, lowered blood pressure, improved endothelial function, and anti-atherogenic effects. Edible oils containing omega-3 fatty acids were registered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Korea Health Functional Food Code. Although omega-3 fatty acids have been evaluat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periodic re-evaluation may be needed because emerging data related to omega-3 fatty acids have accumul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evaluated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or collection of relevant human studies using the Medline and Cochrane, KISS, and IBIDS databases for the years 1955-2012. Search keywords were used by combination of terms related to omega-3 fatty acids and blood flow. The search was limited to huma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English, and Japanese. Using the KFDA's evidence based evaluation system for scientific evaluation of health claims, 112 human studie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in order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supporting a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s and blood flow. Among 112 studies,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were reported in 84 studies and the daily intake amount was ranged from 0.1 to 15 g. According to this methodology of systematic review, we concluded that there was possible evidence to support a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blood flow. However, because inconsistent result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future studies should be monitored.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한 글루코사민의 관절건강 기능성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Glucosamine on Joint Health whil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Claims for Health Functional Food)

  • 김주희;김지연;곽진숙;백주은;정세원;권오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93-299
    • /
    • 2014
  • 글루코사민의 관절건강 기능성을 건강기능식품 재평가 기준에 맞추어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2012년 5월 기준 DB 검색을 통해 703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선정/제외 기준에 따라 선별한 결과 총 34건의 연구가 평가되었다. 34건 중 28건(4,225명)의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P<0.05), 일일 섭취량은 1.5~2 g으로 공전에서 제시되어 있는 섭취량 범위에 해당하였다. 글루코사민의 기능성 재평가 이후의 연구 결과는 16건이었고, 이 중 1,158명 대상 14건의 연구에서 유의한 관절건강 개선효과를 보였다(P<0.05). 연구대상자에 따른 분석 결과, 방사선 검사 기준에 따라 관절 연골의 손상 정도가 심한 대상자를 제외한 연구는 11건이었으며, 이 중 2,934명 대상 10건의 연구에서 글루코사민이 관절건강에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P<0.05). 따라서 현시점에서 건강기능식품인 글루코사민의 관절건강 기능성은 인정될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 연구 결과 추이를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Anemia Screening, Prevalence, and Treatment in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2010-2014

  • Miller, Steven D.;Cuffari, Carmelo;Akhuemonkhan, Eboselume;Guerrerio, Anthony L.;Lehmann, Harold;Hutfless, Sus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2호
    • /
    • pp.152-161
    • /
    • 2019
  • Purpose: We examined the prevalence of anemia, annual screening for anemia, and treatment of anemia with iron among children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U.S. pediatric patients with IBD was performed in the MarketScan commercial claims database from 2010-2014. Children (ages 1-21) with at least two inpatient or outpatient encounters for IBD who had available lab and pharmacy data were included in the cohort. Anemia was defined us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a. We used logistic regression to determine differences in screening, incident anemia, and treatment based on age at first IBD encounter and sex. Results: The cohort (n=2,446) included 1,560 Crohn's disease (CD) and 886 ulcerative colitis (UC). Approximately, 85% of CD and 81% of UC were screened for anemia. Among those screened, 51% with CD and 43% with UC had anemia. Only 24% of anemia patients with CD and 20% with UC were tested for iron deficiency; 85% were iron deficient. Intravenous (IV) iron was used to treat 4% of CD and 4% UC patients overall and 8% of those with anemia. Conclusion: At least 80% of children with IBD were screened for anemia, although most did not receive follow-up tests for iron deficiency. The 43%-50% prevalence of anemia was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Under-treatment with IV iron points to a potential target for quality improvement.

Chicken Egg Yolk Antibodies (IgY)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Rotavirus Diarrhea in Human and Animal Neonates: A Concise Review

  • Thu, Hlaing Myat;Myat, Theingi Win;Win, Mo Mo;Thant, Kyaw Zin;Rahman, Shofiqur;Umeda, Kouji;Nguyen, Sa Van;Icatlo, Faustino C. Jr.;Higo-Moriguchi, Kyoko;Taniguchi, Koki;Tsuji, Takao;Oguma, Keiji;Kim, Sang Jong;Bae, Hyun Suk;Choi, Hyuk J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
    • /
    • 2017
  • The rotavirus-induced diarrhea of human and animal neonates is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worldwide. Until recently, no effective therapy is available to specifically inactivate the rotavirion particles within the gut. Passive immunotherapy by oral administration of chicken egg yolk antibody (IgY) has emerged of late as a fresh alternative strategy to control infectious diseases of the alimentary tract and has been applied in the treatment of diarrhea due to rotavirus infection. The purpose of this concise review is to evaluate evidence on the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anti-rotavirus immunoglobulin Y (IgY)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otavirus diarrhea in human and animal neonates. A survey of relevant anti-rotavirus IgY basic studies and clinical trials among neonatal animals (since 1994-2015) and humans (since 1982-2015) have been reviewed and briefly summarized. Our analysis of a number of rotavirus investigations involving animal and human clinical trials revealed that anti-rotavirus IgY significantly reduced the severity of clinical manifestation of diarrhea among IgY-treated subjects relative to a corresponding control or placebo group. The accumulated information as a whole depicts oral IgY to be a safe and efficacious option for treatment of rotavirus diarrhea in neonates. There is however a clear need for more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and double-blind trials with bigger sample size to further solidify and confirm claims of efficacy and safety in controlling diarrhea caused by rotavirus infection especially among human infants with health issues such as low birth weights or compromised immunity in whom it is most needed.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식이 소재의 이해 (Understanding of Functional Foods for Nutritional Skin Care)

  • 김주영;김현애;박경호;조윤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3-320
    • /
    • 2004
  •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은 건강함과 더불어 아름다운 피부를 갖기를 원한다. 산업화에 의한 대기 오염의 증가 및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증가하는 스트레스는 피부에 부담을 증가시키고 건강한 피부를 가졌다 하더라도 꾸준히 관리를 해야 만이 유지되기에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 미용을 위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특히 피부 미용은 건강 차원에서 영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인식 변화에 따라 특정 영양소 성분을 이용한 먹는 화장품이나 건강 기능 식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주된 소재로 비타민 A, C, E, Bl, B2, 나이아신, 엽산 등의 비타민류, 셀레늄, 황 등의 무기질류, 단백질 및 아미노산, 불포화 지방산, 약초 추출물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콜라겐 단백질 분해물, 대두 추출물, 석류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화분 등과 수용성 키틴 등의 기능성 단일 물질을 함유한 제품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식이 소재가 건강한 피부 유지를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 효과는 확실한 검증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 미용의 관점에서 이들 소재들의 효능을 살펴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식이 소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프로바이오틱스가 생산하는 생리활성 물질의 장내 유해균 억제 효과 (Bioactive Molecules Produced by Probiotics to Control Enteric Pathogens)

  • 임광세;;박동준;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41-145
    • /
    • 2014
  • 시장에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한 무수히 많은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데, 우리에게 어떤 이로운 점을 줄 수 있는지 궁금해 한 적이 있었을 것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기본적인 영양 측면을 배제하고, 우리가 유효한 양을 섭취하였을 때 건강상의 이점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용하고 건강에 좋은 미생물로도 불려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측면에서 건강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강조되어 왔는데, 1) 대장암 및 IBS와 같은 다른 대장(결장)관련 질병의 발병율 감소, 2) 면역 시스템의 촉진, 3) 항고혈압 및 항콜레스테롤 작용, 4) 장내세균에 작용하는 항생제의 효과를 경감시키고, 5) 위장관 감염을 예방시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건강기능 작용들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는 않아, 유럽식품 위생위원회(Euroupe Food Safety Authority)는 항생제 투여에 따른 설사증상의 완화와 같은 건강기능 표시를 금지하고 있어, 프로바이오틱스의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 PDF

인도네시아 할랄식품 소비자의 인삼·홍삼제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이용 실태 (Indonesian Halal Food Consumers' Perception, Attitude and Use of Ginseng and Red Ginseng Products)

  • 박수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15
    • /
    • 2017
  • 수출전략형 할랄식품 개발에 있어서 소비자의 니즈분석과 소비성향 파악은 시장진출의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무슬림 소비자의 인삼 및 홍삼제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 웹 기반 설문조사방법으로 인도네시아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무슬림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인삼·홍삼제품에 대한 인지도, 섭취경험, 선호 및 비선호요인, 효능인식수준, 구매현황과 구매한 제품에 대한 만족도와 재구매 의사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인도네시아 무슬림 소비자의 인삼·홍삼제품 인지도는 각각 58%, 51%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남자, 20-30대, 소득이 중·상인 소비자에서 인삼·홍삼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소비자가 인삼·홍삼제품을 섭취하는 이유는 건강증진, 기분전환, 질병예방의 순이었으며, 섭취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인삼·홍삼제품의 효능에 대한 인식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20-30대는 40-50대 대비 건강증진, 기분전환, 주위권유 등의 이유로 인삼이나 홍삼제품을 섭취하며, 인터넷을 통하여, 면역력 증진, 피로개선, 남자 정력증강에 대한 효능을 알고 있었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소비자의 인삼이나 홍삼 제품에 대한 만족도는 건강증진, 맛과 향, 포장규격과 디자인 순으로 높았으나 가격, 상품종류의 다양성은 개선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지인 추천의향과 지속구입의향은 모두 높은 편으로 나타나 향후 할랄인증 인삼·홍삼제품 소비자의 세분화와 니즈분석을 통한 전략적인 제품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말레이시아 무슬림의 인삼·홍삼제품 인식과 태도 및 구매행동 (Malaysian Muslim's Awareness,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of Ginseng and Red Ginseng Products)

  • 박수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7-50
    • /
    • 2017
  •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 무슬림의 인삼 및 홍삼제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이용실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웹 기반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말레이시아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무슬림(n=200)을 대상으로 인삼·홍삼제품의 인지수준, 선호도와 선호요인, 효능에 대한 인지도, 구매현황 및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말레이시아 무슬림의 인삼·홍삼제품 인지도는 각각 50%, 40%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인삼·홍삼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말레이시아 여성 또는 기혼 소비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섭취 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난 제품유형은 인삼커피, 캔디 및 초콜릿유형이었으며, 특히 인삼커피는 40~50대, 기혼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전체 응답자의 75%는 인삼·홍삼제품의 효능에 대하여 알거나 들어본 적이 있었으며, 특히, 40-50대에 비해 20-30대가 섭취하는 이유는 건강증진, 기분전환, 주위권유 등이 주요하며, 방송이나 지인추천을 통하여 효능을 알았고, 피로개선, 면역력 증진, 고혈압개선 효능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인삼·홍삼제품의 건강증진효능, 구매편의성, 맛과 향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가격이나 포장규격은 개선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지인 추천의향(82.6%)과 지속구입의향(83.5%)은 모두 높은 편이었다. 결론적으로 할랄 인삼·홍삼제품에 대한 말레이시아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인삼·홍삼제품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제품개발과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어린이 기호식품의 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영양기준안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 최영선;장남수;정효지;조성희;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6호
    • /
    • pp.561-572
    • /
    • 2008
  • 최근 우리나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급격한 식생활 변화(nutrition transition)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나트륨, 당류,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 발생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의 영양표시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의 섭취를 진작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위해성분(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함량에 따라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안)을 설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국내는 물론 제외국의 영양섭취기준, 영양표시를 위한 일일 영양소 기준치, 영양소함량강조 표시, 영국의 GDA(guideline daily amounts)와 신호등표시제, 식사지침 및 영양소섭취량 자료들을 검토 및 비교하였고, 제외국 어린이의 기호식품과 가공식품의 영양위해성분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 기호식품과 가공식품 중의 영양위해성분을 선정하고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11개 중학교와 10개 고등학교 내 판매식품 가공식품에 대한 현황 조사와 1,81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섭취실태 조사를 통해 다소비가공식품을 선정하였으며, 145개의 대표 가공식품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양기준안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중 85개가 고지방식품으로 분류된 반면에 11개만이 고나트륨식품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양기준안과 분량의 기준단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식품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등의 검토가 필요하며, 산업체 등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현실적인 영양기준안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민관협력을 통한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접근 전략: 홍천군 사례의 정책적 함의 (Accessible Strategy of the Registration &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rough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Policy Implications Fron the Hongcheon-gun Case)

  • 변도화;김은정;박명배;손효림;박혜경;김춘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11-123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share with experiences of a demonstration program based on a community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and to supply the evidence of accessible strategies within the community through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in the near future. Methods: This study case was "the program of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patients" which was conducted in Hogncheon-gun in Gangwon-province, 2012. Results: The infrastructure of this center was constructed with the public-private sector partnership according to the basic model of demonstration program since November, 2012. So, the total registered rat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patients were 26.6% in comparison with suspected patients (to the result of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37.8% in comparison with the real number of outpatient (to the claims data of 2011 Branch Honcheon-gu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107.8% in comparison with the project goal, sequentially. To the patients who were not treated for 30 and 60 days among the registered patients, a recall service was conducted. Through this intervention, it was monitored that this program has enhanced the consecutive treatment rate of the registered patients. Conclusions: To improve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patients, we are gotten to know that the community need the joint participation and mutual cooperation with public-private sector partn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