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education related activit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가정환경변인과 유아교사변인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and Teacher Variables on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 정혜선;김수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5-137
    • /
    • 2008
  • This study used path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and teacher variables on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Participants were 235 children, their parents and 13 teachers of kindergartens located in G city in Gyeongbuk Province. Instruments were the Primary Measurement of Music Audiation(Gordon, 1986), the Music Teaching Efficacy Instrument(Riggs & Enochs, 1990), and questionnaires about children's musical attitudes, home environment and music activiti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 variables affected children's musical ability directly and indirectly and children's attitude affected their musical ability directly. Psychological and physical variables of the home environment affected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positively.

  • PDF

생태 예술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극을 중심으로 -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Art Education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Music Drama -)

  • 이현민;이상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3호
    • /
    • pp.35-49
    • /
    • 2010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art education focused on music drama,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Kim(2008)'s test tool was used to the effects of applying an ecological art educational program.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a professor-learning model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focused on music drama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environment related contents from the 5th grader curriculum. Secon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ir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ult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and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ir daily lives. In conclusion, the ecological art program focused on music drama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5th graders.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follow-up activity.

  • PDF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A Study on Children's Poetry Activity through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Program in A Small Group)

  • 박부숙;임명희;박윤조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3-258
    • /
    • 2017
  • 음악적 경험 중에서 감상활동은 다른 음악 활동에 선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인식 부족과 교수 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생각을 반영하여 통합적 음악 감상을 구성하고 유아들이 음악 감상에 흥미를 갖게 하며, 유아 스스로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고, 연계활동으로 유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동시로 표현하였다. 만 3, 4세의 발달 특성상 개인별 동시 짓기의 어려움이 있어서 자신의 의견을 나누며, 또래들의 반응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소그룹 토의를 통한 동시 짓기로 접근 하였다. 현장에서 음악 감상과 동시 짓기 활동을 어려워하는 교사들에게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생각을 반영한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소그룹 동시 짓기를 한 결과 유아들은 초기에는 음악 감상을 위한 준비과정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으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음악적 개념을 발견하고, 음악 감상에 적극적이었다. 연계활동으로 동시를 지을 때 또래의 이야기를 들으며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자극이 되었고, 동시에 관심이 없었던 유아들도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교사도 유아의 창의적인 단어에 흥미를 보였고, 유아들과 함께 창작의 기쁨을 느꼈다.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 of Tone Recognition & Sense of Rhythm)

  • 엄정애;김경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75-8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during musical activities on children's development of tone recognition and sense of rhythm. The subjects were total sixty 4-years-olds from two classes of thirty.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Before the experimental procedures, a pre-test was taken to evaluate the level of tone recognition and sense of rhythm of the children. Cordon's 'Audie' was employed and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one recognition and sense of rhythm. Then, the activity of listening to music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en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musical activity was selected based on the themes of our tfe which was related to the weekly and yearly teaching plan. One the other hand, no musical activity was provided for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was carried out using the same methodology of pre-test. Data were analysed by ANCOVA te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tone recognition and sense of rhyth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국내 리듬 중재 연구의 중재 구성 및 논거에 대한 고찰 (Review of Studies Using a Rhythm Task Intervention and the Rationale for its Formulation)

  • 정현주;임정현;황수연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95-118
    • /
    • 2018
  • 최근 근거중심의 연구와 실제가 강조되면서 중재 연구들이 보다 엄격한 논거를 토대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듬 과제를 사용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치료 목표별 리듬 과제를 고찰한 후 중재 구성 및 논거를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4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7개의 중재 항목 및 논거 제시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제공자 전문성과 중재 구성틀, 중재 기간, 중재 형태, 중재 절차, 활동 및 음악에 대한 논거 제시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총 7개 중재 관련 항목 중 4개 이상 항목에 논거를 제시한 연구는 10편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논거에 대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10편 모두 중재제공자, 중재 구성틀, 활동 논거 및 음악 논거를 제시하였으나 중재 유형(개별 또는 집단)과 구성된 중재 기간에 대한 논거는 동일한 수준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리듬 중재 유형에 따른 논거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한 4편의 연구는 활동 논거와 음악 논거가 명료하게 제시된 반면 연구자가 구성한 중재를 활용한 6편의 연구는 음악 논거보다는 활동 논거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치료가 근거 중심의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중재 항목의 타당성과 중재 구성에 대한 논거를 더욱 충실히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K-POP의 세계화를 위한 장기적 방안의 도출 -교육체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Long term solution for K-POP globalization -Concentrating to the change in education system-)

  • 조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18-4423
    • /
    • 2015
  • 본 논문은 k-pop의 세계화를 위한 장기적 방안의 일환으로, 현 실용음악 교육체제의 변화를 촉구하는 논문이다. 한국의 대중음악은 이전에 비해 음악적으로는 물론 음향적으로도 크게 발전하였고 k-pop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아이돌 음악이라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음악적인 자질 문제와 관계하여 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수많은 아이돌이 나타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최근 공개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인해서 전체적으로 실력이 상승하는 추세이지만 아직도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저 기획사와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 등에 유망주 발굴을 맡기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러므로 대중음악도 클래식이나 국악과 같이 특성화된 중 고등학교를 설립하여 기초교육 부터 철저히 이행하여야 한다. 그러면 더 이상 어린나이에 학교생활에는 부진한 채로 소속사에 들어가거나 학원에서 높은 수업료를 지불하고 검증되지 않은 강사에게 음악을 배우는 것은 사라질 것이다. 또한 학업의 부진도 면하게 하여 지성인으로써의 면모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다. 그와 더불어 대학의 교직과정 설치와 교육대와 사범대에 실용음악교육과정의 개설을 통해 본격적으로 음악교육자 양성을 실시해야 한다.

국내 일반 및 장애 아동 관련 음악치료 학위논문 유형분석 (The Analysis on Domestic Thesises Related with Music Therapy for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 이미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2호
    • /
    • pp.15-28
    • /
    • 2006
  •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음악은 의미 있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아동들은 음악을 통한 여러 활동에 참여함으로 발달 영역별 기술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음악적 환경은 아동들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동의 치료나 교육에 음악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며, 우리나라 음악치료 영역에 있어서 주 임상 대상은 발달 영역의 지연이나 장애를 가진 아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의 주 임상 대상인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연구되어진 논문들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아동관련 음악치료 연구의 경향과 흐름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대상 논문은 음악치료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의 논문으로 일반 및 장애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 90편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의 목표 영역, 음악적 개입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별로 살펴보면 장애 아동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장애 아동 중에서는 자폐 아동 위주로 연구가 치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에는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 대상의 연구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유형별로 살펴보면 기술연구에 비해 실험연구가 많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의 목표 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 영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정서 영역, 언어 영역, 인지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적 개입별로 살펴본 결과 많은 연구에서 특정한 음악적 기법을 사용하기 보다는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 위주의 음악적 개입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의 주 임상 대상인 아동과 관련된 연구의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지금까지의 학문적 연구 성과와 보완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의 아동 대상 음악치료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가정과 "아동발달.부모교육"영역 학습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in Home Economics for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in High School)

  • 이경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63
    • /
    • 1999
  • For Korean education to be able to handle increasing knowledge and new values in the 21st century, it needs to change. Korean education needs various teaching methods. At the present, CAI, multimedia, interact video system and computer communication are being us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computer-assisted instructions were reported to be more effective. The students’demands for these kind of lessons are adamant and increasing.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child-development and parent education”using CAI program. This chapter is in high demand for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model was developed help the students’understanding and make their learning easier. A lesson plan was proposed using CAI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authors with assistance of professional computer programmers. The CAI program includes following curriculum contents:1. Child development, 2. the meaning of parenthood, 3. pregnancy, 4. delivery, 5. abortion. The CAI program was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participated activity in several current issue related with parenthood and aborting problems. This study ultimately aimed to show students moving pictures, animation, vivid photos, and music to motivate them. Another goal was to help the Home Economics teachers give lessons using CAI and to show an example of the teaching model.

  • PDF

여성 노인 합창단원의 합창단 유형에 따른 청지각적 음성평가(GRBAS) 및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비교 (A comparison of the perceptual-auditory voice quality evaluation (GRBAS)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ccording to choir type of elderly women choir members)

  • 이현정;강빈나;김수지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2호
    • /
    • pp.51-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의 청지각적 평가도구(GRBAS)와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척도를 통해 합창활동에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음성 특성과 음성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부산 소재의 합창단에서 활동 중인 만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으로 총 77명이었다. 합창단은 참여 유형에 따라 합창단(Regular choir)과 찬양단(Church choir)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청지각적 음성평가는 /a/ 모음을 발성하는 음성을 듣고 전문가가 청지각적 평가(GRBAS)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합창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비교했을 때 찬양단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인에 비해 합창단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인의 경우 주관적 음성 인식 수준에서 대화 시 음성 사용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척도의 신체 기능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합창활동이 노년기 음성기능의 개선뿐 아니라 음성사용의 주관적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노인 음성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대학생의 소리자 비윤리 지각과 행동 및 관련 변수 -김해시 대학생소비자를 중심으로- (College Students' Consumer Non-ethics and Related Factors)

  • 제미경;서정희;김영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91-901
    • /
    • 2004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sumers' non-ethical perceptions and behaviors, and to explore related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variables, idealism and relativism.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by surveying 237 college students from 10th through 24th of October, 2002 in Kimhae city. We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using percentiles, frequencies, mean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Consumers' non-ethical perceptions and behaviors were measured by modifying Consumer Ethics Scale(CES, Muncy & Vitell, 1992). The CES scale comprises 4 sub-factors: actively benefiting from illegal activity(CES1), passively benefiting(CES2), actively benefiting from questionable action(CES3), no harm/no foul(CES4). Average scores of consumers' non-ethical perceptions and behaviors marked below a mid-value, which means that most of the students are basically ethical. The related variable of consumers' non-ethical perceptions was idealism. The related variables of consumers' non-ethical behaviors were idealism and the amount of discretionary money.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are basically ethical as a consumer. However, the results related with the CES4 sub-factor which includes consumer attitudes toward copyrights of consumer softwares and music CDs tell us that they are relatively non-ethical. This claims an importance of consumer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in regards to intellectual proper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