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R-23a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35초

Practice of causal inference with the propensity of being zero or one: assessing the effect of arbitrary cutoffs of propensity scores

  • Kang, Joseph;Chan, Wendy;Kim, Mi-Ok;Steiner, Peter M.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3권1호
    • /
    • pp.1-20
    • /
    • 2016
  • Causal inference method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ast decade to estimate the unconfounded effect of an exposure under several key assumptions. These assump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stable unit treatment value assumption, the strong ignorability of treatment assignment assumption, and the assumption that propensity scores be bounded away from zero and one (the positivity assumption). Of these assumptions, the first two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literature. Yet the positivity assumption has been recently discussed in only a few papers. Propensity scores of zero or one are indicative of deterministic exposure so that causal effects cannot be defined for these subjects. Therefore, these subjects need to be removed because no comparable comparison groups can be found for such subjects. In this paper, using currently available causal inference methods, we evaluate the effect of arbitrary cutoffs in the distribution of propensity scores and the impact of those decisions on bias and efficiency. We propose a tree-based method that performs well in terms of bias reduction when the definition of positivity is based on a single confounder. This tree-based method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R. R code for the studies is available online.

병원 간호사의 의료진 간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in the Medical team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 손현미;성경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0-309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진 간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 두 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correlation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 & Kenny의 3단계절차를 이용한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여 Sobel test로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간에 부적상관(r=-.22, p=.001)이 있었으며,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정적상관(r=.61, p<.001), 자기효능감과 이직의도 간에는 부적상관(r=-.25, <.001)이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1단계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지만(${\beta}=-0.22$, p<.001), 3단계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beta}=-0.11$, p=.194)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완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z=-2.15, p=.032).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tress,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 이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67-8775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5월 6일부터 5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선택몰입(r=-.731, p<.001)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449,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beta}$=.99, p<.017)과 진로선택몰입(${\beta}$=-.707, p<.001)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진로선택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한국에 거주하는 한.중.미.일 성인의 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과 암 예방행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mistic Bias about Cancer and Cancer Preventive Behavior of the Korean, Chinese, American, and Japanese Adult Residing in Korea)

  • 이설희;함은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2-5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cancer by identifying the relation between optimistic bias about cancer and cancer preventive behavior in Korean, Chinese, American, and Japanese residents in Korea. Methods: Using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by the resear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600, 19 to 64-yr-old male and female Korean, Chinese, American, and Japanese residents in Korea. Data was collected between February 6 and 28, 2009. Results: Scores for optimistic bias about cancer by nationality were: Koreans, -1.03; Chinese, -0.43; Americans, -0.23; and Japanese, 0.05. The cancer preventive behavior scores were: Koreans, 43.17; Chinese, 71.84; Americans, 71.71; and Japanese, 73.97. Optimistic bias about cancer and cancer preventive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participants: Koreans (r=.223, p=.006); Chinese (r=.178, p=.029); Americans (r=.225, p=.006); and Japanese (r=.402, p<.001). Conclusion: The greater the optimistic bias about cancer is, the lower the cancer preventive behavior.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reduce optimistic bias about cancer an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s cancer prevention because an optimistic bias about cancer adversely affects cancer preventive behavior.

영아기 어머니의 산후 우울과 아기 기질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emperament of Infant on Child-care Stress among Mothers of Newborn Infants)

  • 권혜진;김경희;최미혜;조주연;안영미;김기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69-7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mother and infant 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child-care stress among the mother of newborn infa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data survey was conducted with 957 conveniently selected mothers of infants when they visited a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to have their children immunized. Results: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Childcare Stress Inventory was 38.03, for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9.31 and for the Degree of Bother Inventory, 23.42. The CSI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EPDS (r=.44, p<.001) and DBI (r=.40, p<.001). Also these two variables explained 30.0% of CSI in infants' mothers. Conclusio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about postpartum mothers' child-care stress and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interventions based on community health nursing.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competence of new nurses)

  • 김경희;김선미;권명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09-118
    • /
    • 2020
  • 신규간호사의 경우 간호수행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실제 업무수행에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 간호업무수행능력향상 중재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신규간호사 182명이며,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업무수행능력은 간호사 수, 근무병원이 실습을 했던 병원인 경우, 간호사 이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업무수행능력은 회복탄력성(r = .50), 감정노동(r = .62)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 <.001), 신규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의 유의한 영향 요인은 회복탄력성(β = .567)과 감정노동(β = .332)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50.5%(p <.001)이었다.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맞춤식 중재가 필요하다.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건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ceived healthcar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 한수정;김미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39-46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건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 고등학생 최종 119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7일부터 9월 17일까지 진행하였다.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일원 분산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건강관리능력은 가족기능의 하위영역인 가족결속력(r=.65, p<.001), 가족적응력(r=.54,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등학생의 건강관리능력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β=.17), 자신의 건강상태 인식(β=.23), 가족결속력(β=.45)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0%로 나타났다. 추후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고등학생의 건강관리의 실천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성인기를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 중재 및 효과 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효능감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 나은하;김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19-427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다문화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J도와 G시의 2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179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하였고,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효능감은 다문화인식(r=.596, p<.001), 감성지능(r=.620, p<.001)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문화인식과 다문화효능감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이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β=.471,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효능감을 강화하기 위해 다문화인식과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pression, Self-efficacy, and Life Stress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강은희;박효진;김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35-442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우울 15.85점, 자기효능감 3.19점, 생활스트레스 2.47점, 스마트폰 중독 39.23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을 분석한 결과는 연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t=-2.540, p=.014), 학년(F=3.080, p=.029), 스마트폰 중요도(F=16.192, p<.001), 스마트폰 사용시간(F=6.938, p<.001)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은 우울(r=.351, p<0.01), 생활스트레스(r=.321, p<.001)와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r=-.383, p<.001)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우울과 자기효능감(r=-.529, p<.001)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생활스트레스(r=.568,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생활스트레스는(r=-.434, p<.001)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이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ental-adolescent Communication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 김유정;이은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6-33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Method: A total of 154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high school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 to 18, 2015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r=.35, p<.001), and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r=.22, p=.006).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cademic stress (r=-.23, p=.004), and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cademic stress(r=-.17, p=.039).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rograms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