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7초

Intervening in Mathematics Group Work in the Middle Grades

  • Tye Campbell;Sheunghyun Yeo;Mindy Green;Erin Rich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17
    • /
    • 2023
  •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strong emphasis on group-centered approaches to mathematics teaching. One primary responsibility for teachers who use group-centered instruction is to "check in", or intervene, with groups to monitor group learning and provide mathematical support when necessary. While prior research has contributed valuable insight for successful teacher interventions in mathematics group work, there is a need for more fine-grained analyse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is study, we co-conducted research with an exemplary middle grade teacher (Ms. Green) to learn about fine-grained details of her intervention practices, hoping to generate knowledge about successful teacher interventions that can be expanded, replicated, and/or contradicted in other contexts. Analyzing Ms. Green's practices as an exemplary case, we found that she used exceptionally short interventions (35 seconds on average), provided space for student dialogue, and applied four distinct strategies to support groups to make mathematical progress: (1) observing/listening before speaking; (2) using a combination of social and analytic scaffolds; (3) redirecting students to task instructions; (4) abruptly walking away. These findings imply that successful interventions may be characterized by brevity, shared dialogue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and distinct (and sometimes unnatural) teaching moves.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 신념 체계 분석 (A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Mathematics)

  • 김리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4호
    • /
    • pp.593-61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와 관련한 신념체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통계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교수와 관련한 신념 체계 중 특정한 요소가 우세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과 학위에 따라 영향을 받는 신념 체계 요소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수학적 개념을 이해시키는 방법,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을 교정하는 방법, 학생들이 수학 수업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방법과 관련한 교사들의 신념과 관련한 대표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모든 학습자가 수학수업에 참여하는 교수.학습 행위 (The teaching-learning practices all learners can participat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1호
    • /
    • pp.13-24
    • /
    • 2010
  • 수학교육개혁론자들은 모든 학습자가 수학수업에 참여하는 수업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고에서는 교사가 이를 실천하기 위한 몇 가지 교수 학습 행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에 앞서, 교사는 학습자는 저마다 다른 지적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저마다 다른 수준에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있다는 정올 인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실환경꾸미기, 좌석배치, 과제 등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모든 학습자들이 수업에 참여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 학습 행위로 "아동들의 반응에 대한 교사의 경청", "왜 그렇게 생각합니까? 어떻게 알았어요? 이것은 무슨 뜻이에요?", "모든 학습자의 의견을 허용적으로 수용하기", "특정 의견을 지지하지 않음", "기다리는 시간 활용하기", 그리고 "오류 또는 실수에 대한 교사의 반응"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효과적인 수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초등 교사의 5가지 관행 분석 (An Analysis of 5 Practices for Effective Mathematics Communi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방정숙;김정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3-164
    • /
    • 2013
  • 최근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관심이 부각되었으나 실제 교사가 수학 시간에 의미 있는 논의를 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는 별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Smith와 Stein(2011)의 효과적인 수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교사의 5가지 관행, 즉 예상하기, 점검하기, 선정하기, 계열짓기, 연결하기를 토대로 20개의 초등학교 우수 수업 동영상 및 지도안을 대상으로 그 실행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바람직하지 않거나 부족한 부분이 포함되어 관행이 이루어지는 1수준과 2수준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관행이 매우 잘 구현되는 3수준에 해당하는 수업은 1~2편에 불과하였다. 관행별로 살펴보면, 점검하기와 선정하기의 경우 2수준의 빈도가 가장 높은 반면, 나머지 관행의 경우 1수준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선행 연구와 관련지어 효과적인 수학적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교사의 관행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Changing the Culture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Sociomathematical Norms and Mathematical Practice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283-304
    • /
    • 2004
  • 본 논문은 1년 동안 학생중심 수학교실문화를 구현하려고 노력하는 3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6개의 수학교실문화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중심에서 학생중심의 문화로 바꿔나가는 과정을 상세하게 탐색한다. 연구대상 교실 모두에서 일반적인 사회적 규범과 관련하여 학생중심 교수법의 전형적인 양상이 구현된 반면에,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수학적 담화와 활동의 중심이 되는 정도에 따라서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실문화 개선의 난제,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의 중요성, 교사의 역할 등에 관해 논의한다.

  • PDF

The Goal of Mathematics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CHENG, Lu Pien;KO, Ho K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155-174
    • /
    • 2015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ree components of a laboratory class cycle that empowered teachers to change their teaching practices. Six teachers and their administrator in an elementary school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the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eir mathematics lessons were observed at the end of each cycle of laboratory classes. The study revealed how planning, observing, and critiquing mathematics lessons as a team assisted the teachers' learning and teaching. We identified opportunities for the teachers to experiment with different teaching approaches, and we found that support from the team and from the school were key factors for the laboratory class cycle to function effectively.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와 학생 상호 주목하기(Noticing)에 관한 이해 (The Understanding on the Teacher and Student's Notic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슬비;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8권4호
    • /
    • pp.397-414
    • /
    • 2022
  • This study tri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properties of notic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difference in mathematical noticing is distinguished in either the object which is paid attention is different or the object is same but differently interpreted or react. The cause of each difference could be described as mathematical objects such as conceptual objects and perceptual features. Second,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which narrow the gap in attention and play a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mathematical meaning, appeared in various places. This teaching strategy was implemented to distract students' atten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thematical atten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ath classe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object to which they pay attention, and that difference will be narrowed through teacher's discourse practice and teaching strategies through communication strategies.

An Analysis of the Practice of Proof Education in Korea - Focused on the Middle School Geometry

  • Na, Gwi-So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권2호
    • /
    • pp.71-78
    • /
    • 1998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actices of proof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roofs in classe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and deficiencies of the ways of teaching proofs and investigates the difficulties which students have in learning them. Furthermore, it suggests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oofs.

  • PDF

Interdisciplinary Knowledge for Teaching: A Model for Epistemic Support in Elementary Classrooms

  • Lilly, Sarah;Chiu, Jennifer L.;McElhaney, Kevin W.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37-173
    • /
    • 2021
  • Research and 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in the United States, promot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K-12 interdisciplinary curricula integrating the discipline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STEM+C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plored how teachers provide epistemic support in interdisciplinary contexts or the factors that inform teachers' epistemic support in STEM+CS activitie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rticulate how interdisciplinary instruction complicates epistemic knowledge and resources needed for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making. Toward these ends, this paper builds upon existing models of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making in individual STEM+CS disciplines to highlight specific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on classroom epistemic supports. First, we offer considerations as to how teachers can provide epistemic support for students to engage in disciplinary practices across mathematics, science,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We then support these considerations using examples from our studies in elementary classrooms using integrated STEM+CS curriculum materials. We focus on an elementary school context, as elementary teachers necessarily integrate disciplines as part of their teaching practice when enacting NGSS-aligned curricula. Further, we argue that as STEM+CS interdisciplinary curricula in the form of NGSS-aligned, project-based units become more prevalent in elementary settings, careful attention and support needs to be given to help teachers not only engage their students in disciplinary practices across STEM+CS disciplines, but also to understand why and how these disciplinary practices should be used. Implications include recommendations for the design of professional learning experiences and curriculum materials.

수학수업에서 공평성에 관한 한국과 미국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A Cross-National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Equitable Mathematics Teaching)

  • 이지은;김진호;임웅;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4호
    • /
    • pp.349-360
    • /
    • 2016
  • 이 연구는 공평한 수학 수업에 대하여 한국과 미국 예비초등교사들이 보는 관점을 밝히고자, 공평한 수학 수업, 교사의 역할, 공평성 관련한 주장 등에 대한 입장들을 비교하였다. 공동연구자 중 2명이 2015학년도 2학기에 담당한 강좌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 참여에 동의했던 한국 예비교사 51명과 미국 예비교사 33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설정하였다. 설문 문항은 공평성의 관점에서 수학적 능력, 수업 상황, 학습 기회와 학습성취, 집단 구성, 도전적인 과제, 학생의 문화 등의 측면을 묻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학적 능력을 타고 난다는 생각, 동일한 기회 제공이 중요하다는 생각, 학습성취에 따라 동질 집단 구성을 해야한다는 생각 등과 같은 공평성의 추구에서 지양하고 있는 입장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한국 예비교사교육과 교육정책과 관련된 것으로서, 예비교사교육에서 공평한 수학수업 실천을 위한 쟁점에 대하여 논의가 요구되며 교육정책 설정에서 공평성 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