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instruction and learning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4초

배움중심 DIY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on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 안종수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8권2호
    • /
    • pp.215-240
    • /
    • 2022
  • In this study, we proposed a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for students to actively design instructions and developed important competencie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did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affect ma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how did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affect the affective domain? Third, what was the reaction of student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58 students in 2 classes of 2nd grade of 00 High School located in 00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could be seen that the study group that taught the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was very helpful in the change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who taught the explanatory instruction based on traditional textbooks. Second,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ffective domain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ird,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in the research group through the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improved in a positive direction, and there were some negative responses.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의 보충 지도 과정에서 블렌디드 e-러닝과 개별화 교수체제의 효과 비교 분석 (The comparison on the learning effect of low-achievers in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 송다겸;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2호
    • /
    • pp.161-1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n low-achievers in mathematics who studied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fter school. Blended e-learning is defined as the management of e-learning using the e-study run by the education office in local.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was proceeded as follows; (1) all students are given a syllabicated learning task and a study guide, (2) students study the material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ir own p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3) the teacher strengthens the students' motivation through grading and feedback after students study a subject and solve the evaluation problem. The learning materials for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re re-edited the offline education contents provided by the blended e-learning to the level of students. The 118 $7^{th}$ grade students from the D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achievement tests before and after the study, as well as survey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lended e-learning has more positive impacts than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Third, both types utiliz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have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here is not their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열린 수학 수업 모델 구성을 위한 구조적 접근 (A Structural Approac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pen Instruction Model in Mathematics)

  • 백석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01-12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open" instructional model that might be used properly in mathematics classroom. In this study, the core philosophy of "openness" in mathematics instruction is looked upon as the transference itself from pursuing simply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instruction such as effectiveness in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mathematics learning and the pursuing of true effectiveness in mathematics learning. It means,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going to accept the "openness" as functional readiness to open all the possibility among the conditions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maximum learning effectiveness. With considering these concepts, this study regards open mathematics education as simply one section among the spectrum of mathematics education, thus c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model for open instruction in mathematics classroom, constructed i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virtues: This model (1) suggests integrated view of open mathematics instruction that could adjust the individual and sporadic views recently constructed about open mathematics instruction; (2) could suggest structural approach for the construction of open mathematics instruction program; (3) could be used in other way as a method for evaluation open mathematics instruction program.thematics instruction program.

  • PDF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Knowledge of School Mathematics and their Views of Mathematics Learning and Instructional Practice: A Case Study of Taiwan

  • Huang, Hsin-Me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1-28
    • /
    • 2002
  •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n = 219) from northern, central, southern and eastern Taiwan concerning their views about children's learning difficulties, mathematical instruction and school mathematics curricular.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or their instruction method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views of children's learning difficulties. Even though teachers indicated that understanding of abstract mathematical concepts was the most prominent difficulty for children, they tended to employ direct instruction rather than constructive and cooperative problem solving in their teaching. However, teachers' views of children's learning difficulties did influence their instructional practice. Results from in-dept interviews revealed that there were some obstacles that prevented teachers from putting constructiveism perspectives of instruction into teaching practice.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epistemology and teaming psychology as well as to help teachers create constructive learning situations.

  • PDF

일반학급에서의 초등 수학 영재아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f a Teaching Plan for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es)

  • 김명자;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3-19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초등학교 일반학급 수학 영재아를 위한 효율적인 영재교육 방안을 탐색해 보고,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심화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로 일반학급의 교수 학습 환경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일반학급 수학 영재아 지도를 위한 복식수업 형태의 영재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수학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한 학급 6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학급에서 복식수업 형태로 수학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수학 영재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둘째, 수학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은 수학 영재아의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성 계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셋째, 수학 영재아 선발 과정에서 교사의 추천과 영재성 검사는 둘 다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영재교육이 방과후 교육 형태의 특별교육으로만 운영될 것이 아니라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운영함으로써 수학 영재아의 요구에 부합되면서도 영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PDF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cused on Discourse-Based Communication)

  • 김상화;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23-545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수학교육의 목표로 강조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이나 수업 사례 분석 등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중에서 담화 중심 의사소통 수업의 성취 요소와 목표를 고려하여 2 4 6학년 수학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에서 나타난 성취수준을 분석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언어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담화 중심 수업을 실시한 세 교실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담화 중심의 수학수업 구현에 관한 시사점과 논의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Enhancing Geometry and Measurement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Rigorous Problem Solving and Equitable Instruction

  • Seshaiyer, Padmanabhan;Suh, Jennife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201-225
    • /
    • 2022
  • This paper details case study vignettes that focus on enhanc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in the elementary grades with attention to pedagogical practices for teaching through problem solving with rigor and centering equitable teaching practices. Rigor is a matter of equity and opportunity (Dana Center, 2019). Rigor matters for each and every student and yet research indicates historically disadvantaged and underserved groups have more of an opportunity gap when it comes to rigorous mathematics instruction (NCTM, 2020). Along with providing a conceptual framework that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equitable instruction, our study unpacks ways teachers can leverage their deep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learning trajectories to amplify the mathematics through rigorous problems using multiple approaches including learning by doing, challenged-based and mathematical modeling instruction. Through these vignettes, we provide examples of tasks taught through rigorous problem solving approaches that support conceptual teaching and learn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Specifically, each of the three vignettes presented includes a task that was implemented in an elementary classroom and a vertically articulated task that engaged teachers in a professional learning workshop. By beginning with elementary tasks to more sophisticated concepts in higher grades, we demonstrate how vertically articulat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trajectory in geometric thinking can add to the rigor of the mathematics.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 (Effect of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students' questions using question card)

  • 성창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249-26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질문 생성을 강화하기 위해 구안된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업은 학생들의 교실 문화 인식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가? 실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수학 교실 문화 인식과 수학 학습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은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학 교실 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학 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수업 전략이다.

Web 기반 교육을 위한 수학 학습모형의 설계와 실험 (Design and Experiments on Mathematical Learning Model for Web Based Instruction)

  • 고희자;김홍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39-466
    • /
    • 2008
  • 본 논문은 Web을 기반으로 하는 수학의 학습모형을 설계하고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정규 교과학습에 투입했을 때의 효과를 측정함으로서 Web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대체 수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Web을 이용한 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이론적 토대,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와 구성, 정규 수업을 통한 실험 등 세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학습 이론과 학습자 중심의 교수 모형의 개발, 자료 설계 및 구축 과정, 수업 전략 등 Web 기반 교육의 핵심 원리를 살펴본다. 다음, Web 상에서 수학교육과 학습을 구현하기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웹 사이트를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수학의 대체 학습모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평면 2차 곡선을 주제로 수업모형을 설계하여 제작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투입했을 때의 학습효과를 전통적인 수업과 비교 측정함으로서 Web 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모형을 구성하는데 있어 필요한 요소 및 발전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

  • PDF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초.중등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 Comparison of Conceptio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 방정숙;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17-338
    • /
    • 2012
  • 본 연구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 수업을 알아보기 위해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48개 하위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교사 223명과 중학교 수학 교사 151명의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영역을, 중등 교사는 교수 학습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부 요소 별로 살펴보면, 초 중등 교사는 공통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학생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초등 교사는 좋은 수학 수업과 관련된 23개 요소에 대해서 중등 교사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중등 교사는 수학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동기 유발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의 2개 요소에 대해서만 초등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본연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