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검색결과 625건 처리시간 0.023초

교양수학 교과목 공동관리 운영의 효율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a Joint Managed College Mathematics Curriculum)

  • 문은호;김재덕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5호
    • /
    • pp.3-12
    • /
    • 2019
  • Due to the expansion of rolling admissions and diversification of college admissions,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level of scholastic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is the reality of college education. Thus, based on the incoming class of College A,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incoming students who enrolled in a college mathematics course during their first semester.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searches for a way to efficiently instruct students from various learning backgrounds when enrolled in the same course. Also, this study searches for a solution to lower the deviation of college mathematics' academic performance among engineering majors by examining the efficiency of a joint managed college mathematics curriculum.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과 초등학교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과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Competency and Elementary School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369-385
    • /
    • 2023
  • 역량 함양을 강조한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고시됨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이 구현된 양상을 역량,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연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개정 연구 보고서의 역량과 그 하위요소,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과정·기능', 성취기준 동사 간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의 다섯 가지 교과 역량(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연결, 정보처리)은 대부분 내용 체계의 '과정·기능'으로 구현되고, 이는 성취기준 동사로 더욱 구체화되어 제시되었다. 둘째, 다섯 가지 역량은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비중으로 구현된 것은 아니며, 영역별/학년군별로 다루는 지식·이해의 내용에 따라 적합한 과정·기능이 차별화되어 제시되었다. 셋째, 2022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전에 비해 성취기준에서 동사를 더욱 풍부하게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전체 영역을 통하여 '이해하기'는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문제해결 역량의 의미와 타 역량과의 관계에 대하여 명확히 정립하고 '이해하기'를 보다 구체적인 과정이나 기능으로 개발하여 제시할 것을 논의하였다.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for Everyone: A Design Experiment

  • Quek, Khiok Seng;Dindyal, Jaguthsing;Toh, Tin Lam;Leong, Yew Hoong;Tay, Eng Gu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31-44
    • /
    • 2011
  • An impetus for reviving resear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s the recent advance in methodological thinking, namely, the design experiment ([Gorard, S. (2004). Combining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Maidenhead,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Schoenfeld, A. H. (2009). Bridging the cultures of educational research and design. Educational Designer. 1(2). http://www.educationaldesigner.orgied/volume1/issue21]). This methodological approach supports a "re-design" of contextual elements to fulfil the overarching objective of mak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vailable to all students of mathematics. In problem solving, components critical to successful design in one setting that may be adapted to suit another setting include curriculum design, assessment strategy, teacher capacity, and instructional resourc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over three years, of a problem solving module into the main mathematics curriculum of an Integrated Programme school in Singapore which had sufficient autonomy to tailor-fit curriculum to their students.

Alignment between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nd Mathematics Curriculum Standards: A Comparative Analysis

  • Hong, Dae S.;Bae, Yejun;Wu, Yu-Fe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153-174
    • /
    • 2019
  • Measuring alignment of various educational components is an important issue in educational research because with aligned educational system, we can have clear expectations about what to teach and asses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lignment between mathematics curriculum standards an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from Korea and China. The results indicate that curriculum standards and high stakes assessments from both countries are not well aligned to each other. Their Surveys of Enacted Curriculum (SEC) indices were lower than what previous studies have found and the critical values (Fulmer, 2011; Liu & Fulmer, 2008; Liu et al., 2009). There are several topics that are not assessed in both countries' national assessments. Also, discrepancies between the most frequently covered topics in the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most frequently assessed mathematical topics in the national assessments caused topic level misalignment. We also found misalignment in cognitive level. Both national assessments included more perform procedures and demonstrate understanding items than their respective curriculum standards. Thus, previous findings about the inclusion of more items with higher cognitive demand in assessments is only partially true for either country. With these result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whether mathematical topics in the curriculum standards appropriately represent and support students to do well on the CSAT and the NCEE or that the mathematical items in the CSAT and the NCEE validly assess students' level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비교 연구 - 우리나라,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ntents in mathematics curriculums - focused on Korea, California in USA England, Japan-)

  • 나귀수;황혜정;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403-428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미국, 영국,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들의 양, 깊이. 학년 수준에서,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일본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미국, 일본, 영국의 교육과정보다 더 많은 주제를 더 빨리 도입하여 더 높은 수준까지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대수, 해석, 기하 영역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IMSS-R 국제성취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분석-교육과정, 교과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Korea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IMSS-R international benchmarks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 -)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383-40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TIMSS-R 국제성취수준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도를 살펴보았을 때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살펴볼 구체적인 내용은, 첫째, TIMSS-R에서 설정한 국제성취수준 상위 10%, 상위 25%, 상위 50%. 하위 25%에 비추어 볼 때 나타나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의 특징과 수학적 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둘째, TIMSS-R에서 설정한 각각의 국제성취 수준별 예시문항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과 오답 유형을 교육과정과 교과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도가 미흡한 수학 주제는 어떤 것이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를 조사함으로써 수학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함수 단원 평가 과제의 실천예시 (Exemplary Mathematics Assessment Tasks in Quadratic Functions)

  • 고상숙;이석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163-175
    • /
    • 2004
  • We believe new assessment strategies and practices need to be developed that will enable teachers and others to assess students' performance in a manner that reflect the 7th Korean curriculum reform vision for school mathematic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assessment tasks based on the current literatures such a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9) and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KICE, 2002, 2003) in quadratic functions of the secondary school and to find the effect of these tasks by classifying students' responses. The research instrument were composed of three criteria, the previous knowledge, the application of quadratic functions, and the general properties in function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32 high school students in a suburb of Seoul and sorted by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research, we could know more than ever before about how the students learned mathematics and about how to improve teachers' mathematical instruction.

  • PDF

가르칠 지식으로서 무게에 대한 분석: 교수학적 변환 이론을 중심으로 (Weight as Knowledge to be taught according to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 최지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377-394
    • /
    • 2022
  • 초등학교 3~4학년군에서 무게를 지도하는 방식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상이하여, 초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의 혼란이 야기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사용된 지식이 가르쳐질 지식으로 교수학적 변환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회적 인정성을 확인하고, 교수학적 의도에 따라 다르게 변환된 정도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상적 의미에서의 무게의 의미, 국제단위계에 따른 무게의 정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구현된 무게,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구현된 무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가르칠 지식으로서의 무게를 어떻게 정의하고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교수학적 관점을 도출하였다.

기계공학수학의 현황 분석을 통한 개편안 제시 (Suggestions for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by Analysis of Current Mechanical Engineering Mathematics)

  • 강주석;박찬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0-56
    • /
    • 2017
  • Because all areas of mechanical engineering involves the use of mathematics, mechanical engineers need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skill enhancement. To achieve the effective mathematics education for mechanical undergraduate students, it should reorganize the important subtopics of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mechanical engineers by analyzing the teaching hours of each topics in the mathematics an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significance analysis of expert survey. To do so, syllabuses of mathematics courses of the selected mechanical engineering departments were analyzed and the survey responses of professionals in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were also investigated. Finally, the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mechanical engineering was proposed.

중등학교 상관관계 지도 내용 개선을 위한 가추적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for a better curriculum reform of statistical correlation based on an abduction)

  • 이영하;김소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71-386
    • /
    • 2012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3과정의 상관관계 내용변화가 삭제보다는 개선이 더 나았을 것이라는 점과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중에서 논리적 사고 유형 6가지의 발달 모두를 학교 교육이 도와야 한다는 가정의 두 전제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 이전에 다루던 상관관계는 피아제가 생각했던 6가지 중의 하나가 아님을 밝히고, 그 주된 원인이 심리학, 교육학, 통계학 등의 학문간 용어 차이로 인한 소통 오류였다고 추측 판단할 수 있는지 해당 학문 분야들의 대학 교재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얻어진 지식과 결과를, 앞의 두 가지 전제에 비추어 보아, 장차 상관관계가 우리 교육과정에 다시 도입될 경우를 대비하여, 외국 교과서와 비교 검토를 통해 상관관계의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예측했던 대로 교육학에서 상관관계의 개념은 지나치게 포괄적이어서 거의 모든 관계가 다 상관관계라고 할 수 있었고, 통계학에서는 그 구분이 매우 엄격하였다. 가장 중요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용어의 차이들을 반영하여 우리는 상관관계와 종속관계, 그리고 기타관계 등을 엄격히 구분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외국교과서와 같은 상관관계의 재도입을 생각한다면 회귀직선 활용을 도입하여 일차함수 단원과의 연계를 고려하자는 것이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제안 사항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