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3초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eaching Ratio and Rate)

  • 박슬아;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5-2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의 내용 측면에 있어서 교사는 비와 비율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생활 맥락과 연계해서 비와 비율을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PCK의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수 목표를 강화하고 교수 방법에 있어서도 활동 중심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교사들의 PCK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 이해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의 PCK는 교사의 설명 이외에 오류 지도 방법을 다양화하고 정의적 측면을 수업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는 주체적 관점에서 교과서 활동을 재구성하고, 활동의 특성에 맞게 수업 집단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설문과 면담을 통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사의 PCK가 실제 수업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 PDF

중학교 기하에 관한 교사의 인지적 지식 분석 (Analysis of teacher's cognitive knowledge about the middle school geometry)

  • 하영화;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87-200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기하 영역에 관한 친숙도와 이해도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예비 검사와 본검사를 거쳐 중고등학교 교사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검사지를 통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조사 결과 주어진 내용에 대해 알고 있다고 믿는 친숙도와 그 내용이 성립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이해도와의 차이가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등학교 교사와 예비교사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in High School Calculus Lessons)

  • 고희정;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57-185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초임교사들의 교사지식(MKT) 중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인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을 조사하여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서로 다른 학교에 근무하는 고등학교 초임교사 두 명을 연구 참여자로 그들의 미적분 수업을 중심으로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SCKT는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식, 그리고 수학적 규칙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으로 분류되어 조사되었다. 미적분 영역에서 교사의 SCKT는 다양하게 발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냈는데 그것은 학생의 질문에도 SCKT의 개별화된 수학 지식을 제시하지 못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반복하는 모습에서 알 수 있었다. 교사 스스로는 수학내용지식을 가지고 있으나 그 하위구조의 지식을 차별화하여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범대학의 교사교육에서 현장의 수학수업의 실제와 연계된 학교수학을 중심으로 하는 SCKT가 더욱 개발되고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미국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소개

  • 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471-48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for mathematics which is released on June 2, 2010 in the U.S.A.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are aligned with college and work expectations, and include rigorous content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through high-order skills. The most distinguishable differences between the CCSS standards and the NCTM standards are that the CCSS standards considers the mathematical modeling as one of the mathematical content domains such as algebra, geometry, ets, and the standards are designed by working together with school leaders of all states.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Comparative Perspective

  • Wong, Ngai-Ying;Rowland, Tim;Chan, Wing-Sum;Cheung, Ka-Luen;Han, Ngai-Sz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mong England,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n-item test in the SKIMA subject matter audit instrument [Rowland, T.; Martyn, S.; Barber, P. & Heal, C. (2000). Primary teacher trainee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and classroom performance. In: T. Rowland & C. Morg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3-18). ME 2000e.03066] from over 500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rom England performed consistently better, with those from Hong Kong being next and then followed by those from the Chinese mainland.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from Hong Kong and the Chinese mainland were fluent in applying routines to solve problems,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offering explanations or justifications.

예비교사의 원의 넓이에 대한 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he Area of a Circle)

  • 최은아;강향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763-78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내용지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토대로 원의 넓이의 측정에 관련된 기본 개념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검사지를 개발, 53명의 초등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하여 그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원의 넓이의 의미를 단위넓이의 개수보다는 원의 정의나 넓이 공식으로 기술하고 있었다. 또한 분할과 단위반복에 비해 보존과 배열구조에서 불완전한 이해를 보였고, 어림을 무시하는 경향이 컸으며 실무한의 수용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 양성프로그램에서 원의 넓이에 대한 내용지식을 좀 더 명시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사범대학의 이차곡선 영역 교육에 대한 교수 및 교사의 인식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ors and Teachers about the Education on Quadratic Curves in Various Universities)

  • 이승훈;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827-8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차곡선에 관한 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이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에 대한 교수,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수학교육과와 1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이차곡선이 강의되는 강좌의 강의담당 교수와 그 강좌를 수강했던 예비교사, 그리고 경기도 소재 1개 고등학교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육내용과 이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차곡선에 관한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는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이 강의되는 강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강좌에서 이차곡선에 관한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 내용이 충분히 강의되고 있으며, 그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의 66.1%가 이차곡선에 관한 이해도가 좋아졌다고 인식했으며, 현직교사들 또한 대부분의 내용에 대하여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실제 고등학교 교육 현장과의 연결성 강화가 요구된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 크고, 사범대학에서 이에 대하여 배울 필요성 또한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사범대학에서 학습하는 내용들이 현장에서의 활용과는 유리되어 배우고 있다는 인식과 함께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셋째,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지식의 범위를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의 범위로 확대하려는 자발적 노력을 촉진, 장려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지원이 요구된다.

  • PDF

수학교육에서 컴퓨터 활용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Computer-Usage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97-110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ributions of the computer in the method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we investigate how computer introduced in the side of methodology affects the content of mathematics education. Moreover we analyze the transformations of the nature and essence of the mathematical knowledge intented to be taught. Finally, on the basis on this analysis, we propose the important poi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mputer-usage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 PDF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he Area of Plane Figure)

  • 안선영;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25-41
    • /
    • 2006
  • 교사의 지식은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필수적이며, 교수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에 본 연구는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 학습자의 이해에 대한 지식 교수 방법에 대한 지식으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알아보고, 이에 관한 수업 실제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교사가 가진 PCK의 전반적인 특성에 따라 수업의 구현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특히, 평면도형의 넓이와 관련하여 세부적인 PCK의 요소를 교사가 어떻게 내면화했는지에 따라 수업의 초점이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PCK의 중요성을 피상적으로 강조하기보다는 PCK 와 수업 실제 간의 면밀한 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수업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기준 고찰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SMK)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5-67
    • /
    • 2010
  •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이를 독려하기 위한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2001년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좋은 수업 선정을 위한 평가 요소, 수업평가 시행을 위한 평가 기준, 내용 교수 지식에 관한 특징 등에 관한 연구들이 꾸준히 수행하여 왔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비교 분석하여 보다 정련된 수업평가 요소를 탐색해 봄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다만, 모든 영역을 전반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연구의 양이 방대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과 내용 지식에 해당하는 교사 지식 부문에 초점을 두어 수학 교과에서의 수학 수업평가의 기준이 되는 요소들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교과 내용 지식에 초점을 둔 이유는 건전하고 풍부한 내용 지식을 토대로 이를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이 학교 수학 수업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