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affective domain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3초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교수 수업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nd affective domain by meta-analysis)

  • 조창호;최송희;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4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있다. 이에 총 61편의 개별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또래교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교육효과가 전반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교 급, 학생 유형, 학습 장소, 수업 시간, 또래교수자 훈련 또는 사전교육 실시 유·무를 중요한 변수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수학 수업에서 또래교수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바탕으로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수학적 의사소통 기반의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ing Mathematics Focused on Establis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Based Classroom Culture on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 오미희;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수학교실문화 형성을 위한 규범 협의 및 수학적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2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고 경청 자기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인지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학교실문화 형성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학 교과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실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의 필요성과 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이 연계된 수학교실문화의 형성을 제안하였다.

  • PDF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A Study on Understanding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ts Instructional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 최승현;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9-44
    • /
    • 2014
  •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2013년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의 가치인식의 세 가지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각 요인에 대한 의미 및 교육적 함의를 간략히 살펴보고, 또 지금까지 수학교육 분야에서 수행되어 왔던 몇몇 주요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학 교과에 적용 가능한 흥미, 자아효능감, 가치인식의 세 가지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각각에 대한 수업 지도 방안을 탐색하여 마련하였다.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 최승현;박상욱;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3-43
    • /
    • 2014
  •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 요인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의 성취 실태 및 사례를 파악하여 이의 실천적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최승현 외, 2013). 본고에서는 PISA와 TIMSS에 관한 선행 연구 재분석 및 통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에 초점을 두어 수학 교과에서의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s and Relational Analysi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nitiative in Mathematics Learning)

  • 권나영;전미현;황규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75-492
    • /
    • 2014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조사하고 수학 학습 주도권과 정의적 특성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 지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1개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은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자기조절력, 수학 불안의 다섯 가지 영역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참가 학생들은 학년에 따라 정의적 특성이 나빠지고 있는 경향을 보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도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주도권과 관련해서는 타인 의존적인 학생들에 비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하는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가 일반적으로 더 좋다는 결과를 보였다.

일대다 튜토링 수학 협동학습이 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to-Many Tutoring Mathematics Cooperative Learning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High School Students)

  • 유기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61-177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일대다(一對多) 튜토링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점수 차이와 집단별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비모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조사 2회와 개별 면담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세 집단의 사전·사후 수학 점수 차이 검증 결과는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생교사는 일반학생을 가르치는 동안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일반학생은 학생교사에게 도움을 받음으로써 수업에 대한 재미와 관심을 더 두게 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수학 교과 역량 측면은 의사소통, 문제해결, 추론, 태도 및 실천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An Instruction of the Underachieved Student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 홍진곤;조승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327-335
    • /
    • 2003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instruction of the underachieved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teaming tended to exert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interest, self-confidence, motivation) domains. In the cooperative teaming, the underachieved students were encouraged in mathematics teaming and improved the efficiency of loaming in mathematics.

  • PDF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신장을 위한 수학교육 개선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to improve the affective achievement of students)

  • 이화영;고호경;박지현;오세준;임미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631-651
    • /
    • 2022
  •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도가 낮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하는 비율이 증가한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어 왔다. 이에 국가 기관이나 교육청, 학교 차원에서 다양한 수학 정의적 영역 관련 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나, 더욱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을 위해 기존의 여러 정책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성장 마인드셋이 정의적 성취의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학생의 수학에 관한 성장 마인드셋을 향상시켜서 궁극적으로 수학 정의적 성취를 신장시킬 수 있는 정책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에,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 실태 및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수학 정의적 영역 관련 정책 및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키워드를 설정하여 수학 마인드셋 향상과 정의적 성취 신장을 위한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예비 수학교사의 멘·튜터링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Men-tutoring Activities of Pre-Service Math Teacher)

  • 허유진;고호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97-221
    • /
    • 2021
  • In this study, a men-tutoring model was applied to four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that could cultivat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cas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o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ntoring applied to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reinforcing prerequisite learning,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rengthening mathematical strategies, and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and maintaining interest. We are looking forward to that men-tutoring can be used effectively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learning mathematics.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 대한 측정의 동등성 분석 (An Analysis of Measurement Equivalence in a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 김성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79-19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nd to suggest application ways i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result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cores of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of 36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nrolled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111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a college of education by performing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han that of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total scores. In addition,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d higher levels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han those of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cept for a creativity application domain based on the sub-domain scores. Second, cognitive domains were measured more precisely but affective domains were measured less precisely for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an for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ird, regardless of school levels, Cronbach's ${\alpha}$ values, which might be overestimated by applying the classical test theory, were higher than dependability coefficients. Fourth, this study showed a somewhat negative result in ensur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for a problem solving exploration domain. However, regardless of school levels,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verall measurement was generally reliable on composite scor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methodologies' approach can be useful for explor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issu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how to utilize the results of the test, how to apply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for detect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nd how to develop future research based on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