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5초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Measuring and Analyzing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 전미현;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91-71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 개발을 확장하여서 이를 적용한 측정을 통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수준의 수학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예비교사 5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30.2점으로 나타났는데,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문항에서 나타내는 학습 내용에 관한 지식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등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과 이에 대한 정확한 설명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도 내용의 본질을 충분히 담지 못하며 학습자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특성을 기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 수학교사의 함수에 대한 지식(MKT) 측정 및 분석 (Measuring and Analyz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Functions)

  • 문진수;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69-492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함수 영역에서 현직 중등 수학 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을 영역별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검사를 통해 중등 수학교사들의 함수 영역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등학교 1학년 수준에서 함수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서울 지역의 총 5개의 고등학교 현직 수학 교사 3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67.4점으로 나타났는데, Common Content Knowledge[CCK],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KCT] 영역의 점수에 비해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영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 총점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SCK, KCS 그리고 KCT 영역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와 다르게 CCK와 나머지 영역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Moderates the Effect of Mathematical Attitude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 유승희;김지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9-6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도권 및 강원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500명에게 질문지를 통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학교수효능감의 측정을 위해 Luo(2000)의 도구를 정정희(2001a)가 수정, 번안한 영유아교사용 수학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학적 태도의 측정을 위해 Smith(2000)의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측정을 위해 홍희주(2012)가 개발한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를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을 반영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을 통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한다. 즉,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을 경우 수학적 태도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밝혀 영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2022)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49-166
    • /
    • 2024
  •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omains and the standards of instructional evaluation on the teacher knowledge dealing with the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 assessment standards are developed focused on the five type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such a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reason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handling,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mathematical curriculum revised in 2022. By the result, ten domains such as an instruction involving instruction goal and content, problem-solving competency, data treatment competency,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attitude, communication competency, reasoning competency, connection competency, the assessment method and procedure based on the competency, th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based on the competency, assessment result based on the competency were new established. According to those domains, the total 20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limited to consider the domai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mong th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while dealing with the element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in the standards. However,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reflecting these competenc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other divers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수학교사의 대수식 쓰기 지도를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 (Mathematics teachers' Key Developmental Understandings for teaching equation writing)

  • 최윤형;이수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97-319
    • /
    • 2021
  • 본 연구는 Gess-Newsome(1999)의 변형적 관점에서 수학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잠재적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지도방법 간의 관계를 면밀히 이해하고자 중등 수학교사 4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수식 쓰기 문제해결을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를 조사 후, 연구 참여자들이 이에 주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지 분석하였다. 나아가 대수식 쓰기를 지도하기 위한 수업을 예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수적 행동과 수학적 이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KDU에 주목한 2명은 대수식 쓰기 문제해결에 성공했으나, 다른 2명은 가분수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내거나 상호적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를 어려워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구상한 대수식 쓰기를 지도하는 방법에서 확인된 교수적 행동은 그들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주목했던 수학적 이해가 투영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수학 내용에 대한 교사의 KDU와 교수 활동을 위한 지식과의 연결 사례를 제시함으로 교사교육 연구에 기여한다.

수학 수업에서 드러나는 교사 지식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서의 '교사 지식의 사중주(Knowledge Quartet)' ('The Knowledge Quartet' as a framework of analyzing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정유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567-58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Knowledge Quartet (KQ) framework by which we can analyze teacher knowledge revealed in teaching mathematics. Specifically, this paper addressed how the KQ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and employed in the context of research on teacher knowledge. In order to make the framework accessible, this paper analyzed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in teaching her fifth grade students how to figure out the area of a trapezoid using the four dimensions of the KQ (i.e., foundation, transformation, connection, and contingency).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mathematics educators with a basis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eacher knowledge in teaching mathematics and to induce further detailed analyses of teacher knowledge using some dimensions of the KQ framework.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Responses to a Student's Mistaken Mathematical Conjecture and Justification

  • Kim, Young-Ok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09-135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al conjecture and justification. Data in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ing nine Chinese and te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he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 that was designed in the form of a scenario that presents a teaching task related to a geometrical topic. The teachers' oral response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and their written not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mpared to the analysis of American and Chines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responses to the same task in Ball (1988) and Ma (1999).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approaches to explaining and demonstrating a mathematical topic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knowledge of learners and knowledge of the curriculum they teach. One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that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advantages of learn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 mathematical topic. It allows the teachers to have the flexibility to come up with meaningful mathematical approaches to teaching the topic, which are comprehensible to the learners whatever the grade levels they teach, rather than rule-based algorithms.

중등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분석: 정규분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Focused on Normal Distribution)

  • 황혜정;채준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27-448
    • /
    • 2020
  • 본 연구는 정규분포에 관한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교수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을 수학교수지식의 하위 요소 간 비교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교수지식의 하위 요소 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 수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정규분포에 관한 MKT 검사지를 제작하여 검사를 실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MKT 검사지 분석 결과 예비 수학교사의 일반 내용 지식(Common Content Knowledge)은 비교적 높은 점수의 결과로 확인된 것에 비해 특수 내용 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과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에 관한 결과는 비교적 낮은 점수로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예비 수학교사의 MKT의 차이가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분석 (Analysis on the Belief about Mathematics Teach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Mathematics Teachers)

  • 이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201-21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초등교사들과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과 수학적 활동에 대해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에 대한 15개 문항과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수학적 활동에 대한 19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만들었고, 초등교사 114명과 예비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개념적 지식에서 초등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초등교사들은 절차적 지식과 메타 인지적 지식, 인식적 지식에서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수학적 활동에서는 지식의 표현, 지식의 생성, 지식의 심의, 지식의 발표에서 예비교사들이 초등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지식(구문)의 사용에서 만 초등교사들이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초등교사들과 예비교사들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수학적 지식과 활동의 항목이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예비교사들과 초등교사들은 다양한 수학적 지식과 활동을 강조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