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Focused on Normal Distribution

중등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분석: 정규분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11.15
  • Accepted : 2020.12.14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KT(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f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n the normal distribu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ub-elements of the MKT. In addition, it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fference of the subjects' MKT. To accomplish this, by the subject of 24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is study the test items of the MKT on the normal distribution were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KT test sheet, the CCK(Common Content Knowledge) of the preparatory mathematics teacher was confirmed as a high score, whereas the SCK(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and KCS(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were confirmed as low scores. In addi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MKT of preparatory mathematicians occurred.

본 연구는 정규분포에 관한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교수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을 수학교수지식의 하위 요소 간 비교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교수지식의 하위 요소 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 수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정규분포에 관한 MKT 검사지를 제작하여 검사를 실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MKT 검사지 분석 결과 예비 수학교사의 일반 내용 지식(Common Content Knowledge)은 비교적 높은 점수의 결과로 확인된 것에 비해 특수 내용 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과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에 관한 결과는 비교적 낮은 점수로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예비 수학교사의 MKT의 차이가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승곤, 양완연(2000). 일반통계학. 서울: 교우사.
  2. 교육부(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3. 권대훈(2018).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통계학. 서울: 학지사.
  4. 권오남 외 14명(2019). 확률과 통계. 서울: 교학사.
  5. 권성룡(2012). MKT 적용과제에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반응 고찰. 학교수학, 14(2), 255-274.
  6. 김민환(2016). 수업에 관한 저경력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과정상의 주요 문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335-358.
  7. 김부미, 김윤민(2019).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통계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495-523.
  8. 김석우, 이정아, 정성아, 조은래, 이서우(2012).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증진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교사교육연구, 51(3), 455-470. https://doi.org/10.15812/TER.51.3.201212.455
  9. 김영옥(2015). 현직수학교사와 예비수학교사들의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한 지식 및 능력에 관한 인식조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1(4), 527-546. https://doi.org/10.7858/eamj.2015.038
  10. 김해규(2012).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 수학교육논문집, 26(1), 71-84.
  11. 문진수, 김구연(2015). 중등 수학교사의 함수에 대한 지식(MKT) 측정 및 분석. 학교수학, 17(3), 469-492.
  12. 송근영, 방정숙(2013).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265-287.
  13. 신보미(2012). 정규분포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117-136.
  14. 안선영, 방정숙(2006).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25-41.
  15. 윤현경, 권오남(201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벡터 개념에 대한 이해. 학교수학, 13(4), 615-632.
  16. 이순아(2015). 한국과 미국의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견해 차이 들여다보기: 문화교류 프로젝트의 온라인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2), 57-92.
  17. 이제안, 이종학, 김원경(2016). 기하학적 확률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 교사의 지식(MKT) 분석. 교원교육, 32(1), 187-220.
  18. 이지연, 강주희(2014). 교육적 경험의 형상화와 예비교사의 자기이해에 관한 연구: 예비 미술교사의 프로젝트 수업에 기반하여. 미술교육논총, 28(2), 129-150.
  19. 장세경(2010). 사범대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서울: 경문사.
  20. 전미현, 김구연(2015).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5(4), 691-715.
  21. 조누리, 백석윤(2013). 수학적 발문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PCK 비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39-65.
  22. 최민정, 이종학, 김원경(2016).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MKT)의 분석. 수학교육, 55(3), 317-334.
  23. 한혜숙(2016).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0(1), 101-120.
  24. 홍찬식(2012). 통계학. 서울: 서울경제경영출판사.
  25. Ball, D. L. (1988). Knowledge and reasoning in mathematical pedagogy: Examining what prospective teachers bring to teache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Lansing.
  26. Ball, D. L., & Hill, H. C. (2008).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measures. Mathematics released items 2008. Retrieved from http://www.umich.edu/-lmtweb/files/lmt_sample_items.pdf
  27.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4554
  28. Barlow et al. (2017). Using video as a stimulus to reveal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Issues in teacher education : A Journal of the California Council on Teacher Education, 26(1), 17-34.
  29. Fauskanger, J., Jakobsen, A., Mosvold, R. & Bjuland, R. (2012). Analysis of psychometric properties as part of an iterative adaptation process of MKT items for use in other countries. ZDM Mathematics Education, 44(3), 387-399. https://doi.org/10.1007/s11858-012-0403-4
  30. Hatisaru, V. & Erbas, A. K. (2017).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the function concept and student learning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5(4), 703-722. https://doi.org/10.1007/s10763-015-9707-5
  31. Hogg, R. V., Tanis, E. A. & Zimmerman (2005). Probability statistical inference. California: Prentice Hall.
  32. 백장선, 손영숙 공역(2015). 수리통계학. 경기도: 자유아카데미.
  33. Ng, D., Mosvold, R. & Fauskanger, J.(2012).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The cases of Indonesia and Norway. The Mathematics Enthusiasts, 9(1/2), 149-178.
  34. Ribeiro, C. M. & Carrillo, J. (2011). Discussing a teacher MKT and its role on teacher practice when exploring data analysis. Proceedings of PME Conference, 35(4), 41-48.
  35. Rowland, T., Huckstep, P. & Thwaites, A. (2005).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The knowledge quartet and the case of Naomi.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8(3), 225-281.
  36. Schoen et al. (2017). Developing an assessment instrument to measure early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18(1), 55-81. https://doi.org/10.1086/692912
  37.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