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32초

협력 학습을 통한 문제 해결에서 해결 전략의 사용형태에 관한 대화 분석 (A Study on the Pattern of usage of Problem Solving Strategy according to Its Presentation)

  • 정민수;신현성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35-142
    • /
    • 2001
  • The selected questions for this study was their conversation in problem solving way of working together. To achieve its purpose researcher I chose more detail questions for this study as follows. $\circled1$ What is the difference of strategy according to its level \ulcorner $\circled2$ What is the mathematical ability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process concerning its level \ulcorner This is the result of the study $\circled1$ Difference in the strategy of each class of students. High class-high class students found rules with trial and error strategy, simplified them and restated them in uncertain framed problems, and write a formula with recalling their theorem and definition and solved them. High class-middle class studen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yet middle class students tended to rely on high class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trial and error strategy. However, middle class-middle class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finding rules to solve the problem and relied upon guessing the answers through illogical way instead of using the strategy of writing a formula. $\circled2$ Mathematical ability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process of each class.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high class-high class and high class-middle class, but with middle class-middle class was very distinctive. High class-high class students were quick in understanding and they chose the right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 High class-middle class students tried to solve the problem based upon the high class students' ideas and were better than middle class-middle class students in calculating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High class-high class students took the process of resection to make the answer, but high class-middle class students relied on high class students' guessing to reconsider other ways of problem-solving. Middle class-middle class students made variables, without knowing how to use them, and solved the problem illogically. Also the accuracy was relatively low and they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 PDF

메타인지 전략 학습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 연구 (Metacognitive Learning Methods to Improve Mathematical Thinking)

  • 박혜연;정순모;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17-746
    • /
    • 2014
  •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인재는 자기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춘 사람으로, 수학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사고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사고력은 자신의 사고과정을 모니터하고 조절 통제하는 메타인지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메타인지와 관련된 여러 연구결과들의 통합을 통해 '메타인지능력과 수학적 사고력과의 상관관계,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 및 그 효과,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PDF

초등 수학교과서의 문제해결 역량 및 과제 유형 분석: 수와 연산 영역의 도전/생각 수학과 탐구 수학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types of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Challenging/Thinking and inquiry mathematics in the domain of number and operation)

  • 여승현;서희주;한선영;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431-449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서가 반영하고 있는 문제해결 양상을 수와 연산 단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문제해결의 하위요소를 중심으로 수학적 활동에 대해 코딩을 실시한 결과 실행이 강조되는 가운데 학년별로 강조되는 하위 요소들이 다르게 나타났고, 잠재집단분석을 통해서 과제의 유형을 분류해 보았다. 향후 교과서 개발과 교사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수학적 맥락 정보를 이용한 수업 환경에서의 학습자의 문제 해결 활동 (A Study of Students' Mathematical Context Information Accompanied Problem -Solving Activities)

  • 배민정;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44
    • /
    • 2003
  • 수학적 맥락 정보를 이용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학생들의 문제 해결 활동을 관찰하고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수학적 맥락 문제들은 Freudenthal의 수학 교육 이론과 RME에 따라 구성하였다. 그 결과, 개방된 형태의 맥락 문제가 보다 다양한 풀이를 산출해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스스로 형식적 수학을 재발명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그에 걸맞은 인지적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나름대로의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 PDF

중등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선호도와 논리형 문제의 해결능력에 관한 통계적 검증 연구 (A statistical study of mathematical thinking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for logical-type problems with reference to secondary talented students)

  • 박홍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98-204
    • /
    • 2009
  • 수학적 사고의 입장에서 중등학생들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수학교육에서 중요하고도 흥미로운 과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등학교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러한 문제를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이들 중등영재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에 대한 선호도와 논리형 문제의 문제해결능력 사이의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수학적 모델링의 이해 - 국내 연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Understanding Mathematical Modelling)

  • 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1호
    • /
    • pp.65-9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주제로 국내 학회지에 실린 총 11편의 선행 연구 및 22편의 석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그 밖의 국내외 문헌을 참조하여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우선, 수학적 모델링의 의미와 과정을 살펴보고, 수학적 모델링과 문제해결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수학적 모델링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노력 내지 의도 하에 문제해결의 진정한 의미가 다소 축소되고 간과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수학적 모델링의 주요 특징을 탐색해 보고, 수학적 모델링 문제와 문제해결에서 정의되는 문제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이는 문제해결에서의 수학 외적 소재를 수반하는 문제의 의미 내지 범주가 보다 분명히 밝혀질 때 두 문제 사이의 범주 및 관계도 정립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문제와의 비교를 떠나 수학적 모델링 문제 자체가 지니고 있는 특징을 간추려 제시하였다. 끝으로,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폴리아의 문제해결 과정과 연계지어 간략히 제시하였다.

  • PDF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교사 담론 구조 (The structure of teacher discourse in the process of solving mathematic problems)

  • 최상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273-28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바탕으로 수학적인 의미들을 만들어 가는 교수법을 다년간 실행한 경력 교사의 한 학기 수업을 관찰하였다. 한 학기 수업 중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담론의 구조를 만들어가는 과정들 간의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담론을 시작하는 과정에서는 목표에 집중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담론을 전개하는 과정에서는 문제 이해에 초점을 두고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담론을 정리하는 과정에서는 문제 해결 과정과 결과에서의 핵심을 요약하였다. 교사 담론 구조의 일반화 가능성을 바탕으로 향후 학생들과 소통하여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교수법을 실행하는 과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차함수와 타원의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개발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s for Problem Solving in Quadratic Functions and Ellipses)

  • 김인수;고상숙;박승재;김영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59-71
    • /
    • 1998
  • Recently, most classrooms in Korea are fully equipped with multimedia environments such as a powerful pentium pc, a 43″large sized TV, and so on through the third renovation of classroom environments. However, there is not much software teachers can use directly in their teaching. Even with existing software such as GSP, and Mathematica, it turns out that it doesn####t fit well in a large number of students in classrooms and with all written in English.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solving process and to develop a computer program which integrates the instruction of problem solving into a regular math program in areas of quadratic functions and ellipses.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included two sessions: 1) Learning of basic facts, concepts, and principles; 2) problem solving with problem contexts. In the former, the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definitions of concepts so that students can explore, conjecture, and discover such mathematical ideas as basic facts, concepts, and principles. In the latter, the Polya#s 4 phases of problem-solving process contributed to designing of the program. In understanding of a problem, the program enhanced students#### understanding with multiple, dynamic representations of the problem using visualization. The strategies used in making a plan were collecting data, using pictures,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and creative reasoning to develop abstract thinking. In carrying out the plan, students can solve the problem according to their strategies they planned in the previous phase. In looking back, the program is very useful to provide students an opportunity to reflect problem-solving process, generalize their solution and create a new in-depth problem. This program was well matched with the dynamic and oscillation Polya#s problem-solving process. Moreover, students can facilitate their motivation to solve a problem with dynamic, multiple representations of the problem and become a powerful problem solve with confidence within an interactive computer environment. As a follow-up study, it is recommended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program in classrooms.

  • PDF

Mathematical Thinking and Developing Mathematical Structure

  • Cheng, Chun Chor Litw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33-50
    • /
    • 2010
  • The mathematical thinking which transforms important mathematical content and developed into mathematical structure is a vital process in building up mathematical ability as mathematical knowledge based on structure. Such process based on students' recognition of mathematical concept. Developing mathematical thinking into mathematical structure happens when different cognitive units are connected and compressed to form schema of solution, which could happen through some guided problems. The effort of arithmetic approach in problem solving did not necessarily provide students the structure schema of solution. The using of equation to solve the problem is based on the schema of building equation, and is not necessary recognizing the structure of the solution, as the recognition of structure may be lost in the process of simplification of algebraic expressions, leaving only the final numeric answer of the problem.

중학교 기하단원의 개방형문제에서 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의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s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Using Open-ended Geometric Problems in the Middle School)

  • 고상숙;노지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03-322
    • /
    • 2007
  •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문제는 주로 정형화된 폐쇄형의 문제로 학생의 문제해결력을 육성하거나 학생의 자주적인 학습을 촉구하는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력을 육성하기 위해 개방형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폴리아의 문제해결단계를 따라 학생에게 나타나는 학습변화를 관찰하였다. 학생은 문제를 더욱 신중히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단순화하였고 계획수립과정에선 처음엔 익숙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시도와 체계적으로 되돌아보는 인지과정을 나타냈으며, 실행과정에서는 오류를 통한 계획수립의 재시도가 일어나 통제가 향상되는 과정을 보였다. 반성단계는 점검만하는 수준을 벗어나 다른 해결방법을 무엇인지 등의 반성단계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개방형문제의 실생활 적용과 일반화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력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