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l of mathematics understanding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2초

How to Develop a Scale Measuring an Affective Construct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 Ryang, Doh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75-87
    • /
    • 2014
  • It is central to use a scale to measure a person's level of a construct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This article explains a practical process through which a researcher rapidly can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construct. The process includes research questioning, reviewing the literature, framing a background theory, treating the data, and reviewing the instrument.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includes normality analysis, item-total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 virtual example is give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Foster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e Percent Problem

  • Foong, Pui Y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51-65
    • /
    • 2010
  • Open-ended problems can foster deepe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ideas, generating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in students. High-order thinking tasks such as open-ended problems involve more ambiguity and higher level of personal risks for students than they are normally exposed to in routine problems. To explore the classroom-based factors that could support or inhibit such higher-order processes, this paper also describes two cases of Singapore primary school teachers who have successfully or unsuccessfully implemented an open-ended problem in their mathematics lessons.

대학 입학 예정자들의 함수 및 미분의 기초개념 이해에 대한 오류 분석 (An analysis of errors i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concepts of function and differentiation for matriculants)

  • 임연휘;표용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35-45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수시모집 입학전형에 합격한 대학 입학예정자를 대상으로 P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초수학 특강에서 학습지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기초수학 진단평가에서의 사전 검사를 통해 함수, 함수의 연속 및 미분가능에 대한 기초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와 어떤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초수학 특강 최종평가에서의 사후 검사를 통해 기초개념 이해에 대한 오류유형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연구대상 학생 전체에 대한 오류유형의 변화는 물론, 각 검사문항에 대한 동일 학생의 오류유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도 분석하였다.

  • PDF

흥미유발 학습자료의 개발ㆍ적용이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The Consequence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rest Induced Learning Material on Mathematics Scholastic Achievement - Focused on vocational high school -)

  • 오수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11-122
    • /
    • 2000
  • This study is focused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feel hardly interested in mathematics and are considered to have very limited basic scholastic ability. It analyzes the data obtained by applying the material, extracted from the Internet and literature to school classes from March to July, for the purposes of improving the degree of scholast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interest induce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tudents to bring about their motivation resulting in a positive change in understanding and attitudes to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students' scholastic ability of both the comparative class and the experimental class were too low to become interested in mathematics. However, the experimental class students seemed to feel familiar to the learning materials rather than reluctant, and it appeared that their interest and behavior of learning began to change gradually in an extent. In addition to that, as an aspect of scholastic achievement there was not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lasses, but as time went, some valuable changes were found. Unfortunately, the size of group of the research was small and the period of the experimental classes was not extensively long, and therefore the same result might not occur in other group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in class-time, educating students by putting in learning materials bringing about relevant motivation to the class, will lead them to become interested in mathematics, and change their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After all, scholastic achievement will be effective.

  • PDF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문자 이해에 대한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Comprehension of Letters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소희;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139-154
    • /
    • 2008
  •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 적용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문자에 대한 이해 실태를 조사한 것으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292명의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상위 수준의 문자 사용 유형일수록 정답률이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문자 사용에 제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의 학생들만이 문자를 특정한 미지수로 여기거나 일반화된 수로 여길 수 있었다. 약 40%의 학생들이 문자 이해 수준 3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문자 이해 수준별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수 교수 학습 방향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매개변수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of Parameter Concept)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305-325
    • /
    • 2004
  • 본 논문은 학교수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매개변수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논의이다. 우리나라 수학교과서에서 매개변수 개념은 중학교 수준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대수적 표현에서 자주 다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에 대한 용어 정의는 고등학교 선택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비로소 도입되고 있기 때문에 매개변수개념 이해를 위한 수학교사의 교수학적 노력이 요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현장에서 매개변수 개념의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이끌어 내기 위해 매개변수의 개념 정의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상에서 매개변수가 도입되는 맥락을 외국의 사례와 비교해서 검토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대수학습의 관점에서 매개변수 개념 이해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매개변수 개념이 학교수학에서 의미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학습맥락에 대해 논의해 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매개변수 개념의 교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요약하여 제시한다.

  • PDF

Understanding Student-Centered Teaching Practic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 Pang JeongSu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47-58
    • /
    • 2005
  • Although student-centered teaching practices have been advocated in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implementing them at the classroom level remains challenging. This exploratory case study examined two unevenly successful student-centered approaches to see how teachers understand and characterize reform, and to articulate issues in implementing reform ideas. The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the classrooms showed similar classroom social norms but dramatically different mathematical practices. This affords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the challenges of reform for teachers and other personnel who are attempting to move teaching practices towards the student-centered ideals.

  • PDF

영국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 -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England and Korea, focused on the 'shape, space, and measures' domain)

  • 신항균;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407-438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England, newly revised in 1998, focused on the 'shape, space, and measures' domain among three major domains of the English curriculum. On the basis of its understanding, this domain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In doing so, this study explored its plans and procedures and established a frame of comparison for the curriculum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struct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is composed of programmes of study and attainment targets. The former sets out what should be taught in mathematics at key stages 1, 2, 3, and 4 and provides the basis for planning schemes of work, and the latter sets out the knowledge, skills, and understanding that pupils of different abilities and matures are expected to have by the end of each key stage. Attainment targets are composed of eight levels and an additional level of increas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Korea focuses on the formal and systematic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basis of sound understanding of certain mathematical terms or concepts. On the other hand, England curriculum tends to deal with the content which can be understood more intuitively, flexibly, and naturally through the experience and aquisition based on the concrete manipulation. Particularly, it emphasizes that mathematics be realistic and useful in solving a diverse problems confronted in everyday life.

  • PDF

동적 기하 환경을 활용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변수 이해 및 일반화 수준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Understanding Variables and Enhancing the Level of Generalization in Problem Solving Utilized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 반은섭;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89-1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삼차방정식 $x^3+4x=32$의 기하학적 해법을 사례로 하여 삼차방정식 $x^3+ax=b$를 기하학적으로 해결하는 일반화 과정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동적 기하 환경을 활용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변수를 동적으로 이해하면서 이미 제시한 일반해를 재해석하고, 더 나아가 또 다른 일반해를 제시할 수 있게 되어 일반화의 수준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동적 기하 환경이 변수 이해 및 일반화 수준 향상과 관련해 학생 중심 탐구 수단으로서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겉넓이 학습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에서 나타난 추상화 과정 및 겉넓이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bstraction and Understandings in Children's Learning of Surface Area with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

  • 홍지연;김민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43-6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입체도형의 겉넓이 수업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나타나는 학생들의 추상화 과정을 분석하고 학습에 대한 사전 사후의 겉넓이 이해 검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겉넓이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학생들의 추상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수학적 모델링 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수학적 원리를 포함한 모델을 개발하면서 모둠별로 각기 다른 수준의 추상화 과정을 나타냈으며, 겉넓이 이해 검사 결과 사후 검사에서 학생들의 겉넓이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