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domains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4초

Domain Adaptation for Opinion Classification: A Self-Training Approach

  • Yu, Ni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1호
    • /
    • pp.10-26
    • /
    • 2013
  • Domain transfer is a widely recognized problem fo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because models built upon one data domain generally do not perform well in another data domain. This is especially a challenge for tasks such as opinion classification, which often has to deal with insufficient quantities of labeled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of self-training in dealing with the domain transfer problem in opinion classification via leveraging labeled data in non-target data domain(s) and unlabeled data in the target-domain. Specifically, self-training is evaluated for effectiveness in sparse data situations and feasibility for domain adaptation in opinion classification. Three types of Web content are tested: edited news articles, semi-structured movie reviews, and the informal and unstructured content of the blogospher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hen there are limited labeled data, self-training is a promising approach for opinion classification, although the contributions vary across data domains. Significant improvement was demonstrated for the most challenging data domain-the blogosphere-when a domain transfer-based self-training strategy was implemented.

An Instructional Method for Mobile Technology-Enhanc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a Complex Engineering Course

  • LEE, Youngm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2호
    • /
    • pp.69-85
    • /
    • 2005
  •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address a new instructional approach to a complex engineering course. We design a novel instructional method that combines mobile technology, simulation program, collaborative teamwork, problem-solving process, and a variety of evaluation techniques. We suggested five instructional principles that might be required to change the fundamental educational process by which learning is done. The proposed instructional method is expected to aspire for new perspectives on complex learning environment. Nevertheless we solely began by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plex problem-solving performance in a complex engineering course, the new instructional method in the article can promote the adoption of new instruc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across different knowledge domains. In addition, the instructional method can provide a valuable bridge to acquisition and transfer of problem solving, motivation, and meaning learning.

신문을 활용한 토의 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scussion Using Newspapers on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 박미애;오창호;김효남;박국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59-6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discussion using newspapers on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Additionally,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students' ideas about newspaper utilization, discussion based learning and science with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59 fifth 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NIE was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the control group. In pretest and posttest sessions, both groups were evaluated by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an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scienc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discussion using newspap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ich applied traditional instruction, especially in term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dditio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discussion using newspapers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domains such as perception, interest and attendance for science classes. In particular, the post-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pre-results,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were lower than preresults in all affective domains. It appeared that students had positive thoughts about newspaper utilization, discussion based learning, and science. The half of students who had low academic achievement showed negative reactions for discussion based learning.

  • PDF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Learner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69-594
    • /
    • 2010
  •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취지하에, 좋은 수업, 교사 지식,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등에 관한 연구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을 통해 지난 십년간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교사 지식의 핵심 요소로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수업 상황' 등의 지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두고 이에 관한 수학 수업에서의 평가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관한 의미를 재 탐색하고, 또한 학습자 이해와 관련된 몇몇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학습자인지 수준, 학습자 오 개념, 학습 동기, 수학적 태도, 학습 방법 등의 5개 영역에 따른 수업평가 요소(안)를 마련하였다.

  • PDF

일대다 튜토링 수학 협동학습이 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to-Many Tutoring Mathematics Cooperative Learning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High School Students)

  • 유기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61-177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일대다(一對多) 튜토링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점수 차이와 집단별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비모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조사 2회와 개별 면담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세 집단의 사전·사후 수학 점수 차이 검증 결과는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생교사는 일반학생을 가르치는 동안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일반학생은 학생교사에게 도움을 받음으로써 수업에 대한 재미와 관심을 더 두게 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수학 교과 역량 측면은 의사소통, 문제해결, 추론, 태도 및 실천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변 람다값을 이용한 EWC에서의 치명적 망각현상 개선 (Improvement of Catastrophic Forgetting using variable Lambda value in EWC)

  • 박성현;강석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7-3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인공 신경망이 과거 학습 데이터의 정보를 망각하는 치명적 망각(Catastrophic Forgetting)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학습할 데이터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정규화 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과거에 학습된 데이터와 현재 학습할 데이터들의 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해 MNIST, EMNIST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3가지 시나리오에서 실험한 결과, 같은 도메인을 갖는 데이터의 경우, 이전 태스크의 정확도가 0.1~3%, 다른 도메인을 갖는 데이터의 경우 이전 태스크(Task)의 정확도가 10~13%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이는 본 논문의 방법으로, 도메인이 다른 경우, 망각률이 줄어든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도메인을 가진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학습할 경우, 이전 태스크들의 정확도가 모두 50% 이상을 달성하였고 평균 정확도가 약 7% 향상되었다.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ca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on Career Adaptability)

  • 천경희;박은아;송영명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161-177
    • /
    • 2011
  •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들의 진로적응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구지역 K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25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과 진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진로적응 수준에 따라 고 저 집단으로 나눈 후 이들 집단 간 자기조절학습 정도에 대하여 집단 간 차이검증(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험불안을 제외한 모든 자기조절학습 영역에서 진로적응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집단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적응의 하위요인인 책임감, 대인관계, 주도성, 긍정적 태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전체 진로적응점수에 대하여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동기조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적응의 하위요인인 책임감과 대인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주도성과 긍정적 태도에 대해서는 동기조절의 유의한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자들은 개인적인 메타인지, 동기, 행동 전략의 구사와 조절능력이 개인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의과대학에서의 학생적응을 돕기 위한 자기조절과 관련된 중재의 필요성과 진로적응을 돕기 위한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Learning Program Utilizing App Inventor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재준;유인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
    • /
    • 2016
  • 우리나라는 영재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을 매우 중요한 목표로 내세운다. 최근에는 다양한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영재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기도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활용 영재 학습 프로그램은 정보 영재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를 활용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해 탐구하였다. 4, 5학년으로 이루어진 초등 수학 영재 1개 학급을 대상으로 모둠별로 앱인벤터를 활용해 수학 퀴즈를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 적용 후 실험집단의 내재적 동기, 자율성, 개방성 등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의 사후 검사 값이 유의도 .002이하로 매우 유의하였다. 따라서 앱인벤터의 활용을 통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수학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전 영역에서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의 SW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 교구 평가 준거 개발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Physical Computing Based Learning Tools for SW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Education)

  • 전형기;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7-48
    • /
    • 2018
  • 2015 개정교육과정은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고자 SW교육과정이 포함되었으며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다양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의 교구가 판매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수 상황과 교수 목적에 적합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의 학습도구를 선정하는데 필요한 준거를 마련하여 현장의 도구 선택에 합리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평가 준거 마련 방법으로는 25명의 전문가 패널을 통해 델파이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7개의 영역에 대해 40개의 필수 준거와 11개의 선택 준거로 구성되는 교구 평가 준거가 제시되었다. 또한 도출된 학습 도구 평가 준거를 통해 현재 상용화된 5종의 학습 도구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구 평가 준거는 교사들의 합리적인 교구 선택과 교구 개발자의 교구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거꾸로 학습 전략에 있어서 교양영어와 교양스페인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of General English and Spanish Learners in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 신명희;강필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3-8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전략에 있어서 교양영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전통 학습(Traditional Learning) 있어서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양영어와 교양스페인어에 있어서 거꾸로 학습 전략이 학습자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해보았다. 2018년 9월 10일부터 2018년 12월10일까지 교양 영어와 교양스페인어 수강생 총 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 사후 자기조절 테스트를 통해서 1) 인지조절능력, 2) 동기조절능력, 3) 행동조절능력 세 개의 영역의 변화를 고찰했고 3개의 영역은 6개 하위영역, 총 65개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 동기 조절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영어와 스페인어 수업 모두 인지 및 행동조절 학습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