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 achievement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31초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이 학생의 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 분수 및 다각형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aner-Centered Mathematical Instructions on Students' Reasoning Ability and Achievement)

  • 차소정;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43-6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실험처치 중 학습한 내용에 대한 재생능력과 실험처치 중 학습하지 않은 내용에 대한 생성능력) 및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4학년 분수단원과 다각형 단원을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에 적합한 수업자료와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특히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은 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거듭 할수록 학생들의 추론 능력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넷째, 학생들의 추론능력의 함양과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가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ore Competency, Learner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조미경;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61-1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학습법을 적용할 때 대상자의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E대학교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은 2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높았고,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 모두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평균이상인 학생이 평균미만인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3개의 변수로 구축된 핵심역량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1%이었고,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4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동기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7.5%이었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동기 2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만족도 모형의 설명력은 43.4%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핵심역량과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학습 준비도와 함께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고취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하겠다.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n Students' Achievements in Web-Based Learning

  • Park, Jung-Hwan;Lee, Gun-In;Kang, Myung-Se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21-4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uch as definition-oriented/contextoriented/situated context-oriented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cognitive styles of learners and interaction effect on the achievement test score between the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test scores between field-dependent learner group and field-independent learner group.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glish vocabulary achievement test scores among three experimental treatment groups, definition-oriented, context-oriented, situated context-oriented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groups. Finally,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on the achievement test score between the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 PDF

기업 내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 학습양식, 튜터기능, 학습성취도의 상관관계 (Interrelation among Learning Style, Tutoring Fun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n Enterprise e-learning Environment)

  • 유규식;최인준;한성년
    • 산업공학
    • /
    • 제19권4호
    • /
    • pp.324-332
    • /
    • 2006
  • It is believed that each learner has a preferred method to acquire and manage knowledge according to her/his learning style which influences learning achievement direct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atistically analyz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learning styles, tutoring functions,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n e-learning environment. 524 survey results from participants of enterprise e-learning classes are classified into total group and superior group. T-Test and ANOVA analyses are carried between learning style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between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tutoring func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dividual learning styles do not contribute to learning achievement while they are strongly related to preferences for some of tutoring function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identify limitation of current e-learning practice and design better e-learning systems, especially, supporting appropriate tutoring functions for different types of learners.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arning Attitude, Achievement Motivation on Satisfaction of Online Extracurricular Participants)

  • 박혜진;권영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3-21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extracurricular after COVID-19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y,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tracurricula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responses from 163 student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inferred that positive recognition worked in the process of actually applying the learning strategies acquired through the extracurricular to their own learning. Second, learn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e learner's learning attitude to develop necessary skills through experience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tracurricular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learner's active behavior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cts as a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affects satisfaction. Finally, through this study, a plan for effectively operating extracurricular in an online environment was presented.

학습자중심 교육 접근을 위한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업성취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Achievement Goa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for Learner Centered Education Approach)

  • 황기철;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138-2143
    • /
    • 2010
  • 본 논문은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작업치료학과 학생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척도와 학기말 평점을 이용하였다. 성취목표는 Elliot & Church의 3요인 모텔로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로 구분하였다. 여학생이 세가지 성취목표 모두에서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행접근목표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숙달목표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회피목표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일반적으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숙달목표가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인 성취목표 지향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성취목표 지향성 정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특성 파악을 통하여 긍정적인 성취목표에 대한 교육접근이 요구된다.

프로젝트기반 학습과 웹 융합 의사소통 유형별 학습자 상호작용 (Project-based Learning and Learner Interaction by Web Convergency Communication Types)

  • 신명희;최도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5-4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자 상호 작용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했다. 학습자 상호 작용의 경우, 학습의 장(場), 즉 다양한 기술 환경 속에서의 학습자 의사소통 유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3시간 교양영어 수강생 80명을 대상으로 카카오 톡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학습자 상호 작용의 효과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은 카카오 톡 활용 그룹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 그룹 간에는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 2)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학업 성취도 모두 카카오 토크 활용 그룹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요즘 학생들에게 Kakao talk은 학습활동의 문제 해결 및 소통, 자료의 업로드 및 공유의 가장 좋은 환경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

Effects of Learner-created Digital Storytelling on Academic Achievement, Creativity, and Flow in Higher Education

  • 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6권2호
    • /
    • pp.167-18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learner-created DST to communicate academic information on the creativity and flow of university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100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assigned to either the DST group or the expository instruction group. The DST group created digital stories, and the expository group were taught using an expository instructional method. An achievement test, the Creativity Personality Scale (CPS), and the Flow State Scale (FS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hievement scores of the DS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xpository group, and the scores on the patience sub-factor of the CPS of the DST group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ose of the expository instruction group. Finally, the scores on the seven sub-factors of the FSS of the DST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expository instruction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ST can be applied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a university class.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 및 개념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 Activity-centered Science Class on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oncept Sustainability)

  • 김형욱;정소진;이효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2호
    • /
    • pp.106-11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 및 개념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화산과 지진'에 관련한 초등학교 4학년 교과 내용을 12차시에 걸쳐 재구성을 진행하였으며, 두 집단으로 학급을 나눈 다음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과학수업을 적용하였고, 실험집단에는 글쓰기, 만들기, 표현하기 등 학습자중심활동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전과 후 두 집단에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 개념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마인드맵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인드맵 채점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인식, 능력, 가치, 흥미지속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특히 흥미지속성에서 가장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성취도와 관련해서는 사후 성취도 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사전 성취도 검사 결과와 비교할 때에도 실험집단은 평균 점수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후 성취도 검사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성취도 검사 이후 실시한 개념 지속성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마인드맵 분석의 평가 기준인 중심원, 가지, 표현 영역에서 모두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가지 영역을 제외한 두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두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수업은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 및 학생들의 개념 지속성에 효과가 있었다.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수업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한다면 교실수업을 개선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으리라 기대된다.

CAI 에서 학습자의 통제 소재와 학습 주도권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er's Locus of Control and Types of Learning Control on Academic Achievement in CAl)

  • 백미숙;이성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65-76
    • /
    • 2001
  • 본 논문은 학습자의 통제소재와 관련하여 CAI의 학습효과를 검사하고, 학습자의 통제소재와 학습주도권이 상호관련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 대상은 전남 여수 J중학교 1학년 4개반 16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일차적으로 통제소재 검사를 실시하여 내적 외적 통제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집단에 대해 교사 주도형 CAI와 학습자 주도형 CAI로 수업을 실시하여 통제소재에 따른 학업 성취를 조사하였으며 집단간 차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데 ANOVA 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CAI학습결과로서 내적 통제자집단의 학업 성취가 외적 통제자집단에 비해 높았다. 둘째, 학습자 주도형 CAI학습집단이 교사 주도형 CAI학습 집단보다 학업 성취가 높았다. 셋째, 학습자의 통제소재와 CAI의 학습주도권형에 따른 학업성취에는 상호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