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confining pressur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9초

평면 변형률 상태에서의 모래의 변형 강도특성의 구속압 의존성 (Confining Pressure-Dependency on Deformation and Strength Properties of Sands in Plane Strain Compression)

  • 박춘식;타츠오카 후미오;장정욱;정성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43-552
    • /
    • 1994
  • 본 연구는 공중낙하법으로 만든 공기건조 상태의 일본의 표준사인 풍포사(豊浦砂)(Toyoura sand)와 영국의 표준사인 Silver Leighton Buzzard sand 공시체를 배수상태에서 평면 변형율 압축시험을 실시하여, 구속압이 모래의 변형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축방향 변위와 수평방향의 변위는 변형율수준(strain level) $10^{-6}$에서 파괴상태까지를 연속적으로 구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정도 높게 측정함으로써 미소변형에서 파괴상태까지의 응력 변형율 특성을 상세히 연구하였다. 그 결과, 극저구속압에서는 구속압이 작아져도 내부마찰각 ${\sigma}^{\prime}{_{max}}=arcsin\{({\sigma}{_1}^{\prime}-{\sigma}{_3}^{\prime})/({\sigma}{_1}^{\prime}+{\sigma}{_3}^{\prime})\}_{max}$가 급격히 크게 되지는 않아, Bolton의 경험식을 사용할 시는 어느 정도 구속압이 클 때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 모래의 강성률은 근사적으로 구속압의 m승에 비례하는데(G or $E{\propto}{\sigma}{_3}^{{\prime}m}$), 이때 m은 변형율수준 $10^{-4}$이하에서는 약 0.4 정도이고 변형율=$10^{-1}$에서는 $m{\fallingdotseq}0.9$ 정도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모래의 종류, 혹은 시험종류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음을 알았다. 이것은 구속압이 작을수록 강성률의 변형율수준 의존성, 응력수준 의존성이 크게 되는 것과 대응한다. 끝으로, Rowe의 응력-다이러턴시 관계는 미소 변형율수준($10^{-4}$ 이하)에서 파괴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성립하고, 구속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 PDF

등입도 투수성 콘크리트 보강 조립토 다짐말뚝의 거동특성 및 침하량 평가기법 (A Estimation Method of Settlement and The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Granular Compaction Pile Reinforced with Uniformly Graded Permissible Concrete)

  • 김정호;황정순;김승욱;김종민;김홍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2-371
    • /
    • 2006
  • The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Granular Compaction Pile(GCP) are mainly governed by the lateral confining pressure mobilized in the matrix soft soil to restrain the bulging failure of the granular compaction pile. The GCP method is most effective in soft soil with untrained shear strength ranging from $15\sim50\;kPa$. However,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is falling down in the more compressible soil conditions, which does not provide sufficient lateral confinement. In the present study, the GCP method reinforced with uniformly graded permissible concrete is suggested for the extension of application to the soft ground. Also, large triaxial compression tests are conducted on composite- reinforced soil samples for verification of availability of the suggested method and the settlement estima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GCP is proposed. Further, for the verification of a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predicted settlements are compared with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Tn addition, parametric studies are performed together with detailed analyses of relevant design parameters.

  • PDF

다양한 단면을 지닌 콘크리트 압축부재의 CFS 보강에 따른 거동해석 (Analysis of the Behavior of Concrete Compressive Member with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trengthened by CFS)

  • 이상호;이민우;김장호;김진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05-61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nalytic model which can describe the behavior or concrete compressive member strengthened by CFS(Carbon Fiber Sheet) with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circular. square, and octagonal and various laminate angles. The failure criterion of laminated CFS is based on Tsai-Wu failure criterion. The stress strain model of confined concrete compressive member is based on an equation proposed by Mander. The effective lateral confining pressure is considered and modified according to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Octagonal cross-section shows the best results in the aspect of ductility, while circular does in compressive strengthening effects. In addition, [0/0/0/0] lamin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fiber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principal stress shows the superior strength and ductility than other laminates. The analytic results show that strength and ductility of the analytic model depend on the cross-sectional shapes as well as the laminate angles.

  • PDF

내력설계법에 의한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띠철근 기둥의 횡보강근량 산정 (Design of Transverse Steel Amounts of High Strength Reinforced Tied Columns by Axial Capacity Design Method)

  • 한범석;신성우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1-156
    • /
    • 2003
  •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y that "the compressive axial load capacity after spalling of shell concrete should be maintained as that before spalling" by applying the confinement model of high strength concrete proposed in the previous proceeding paper and equivalent lateral confining pressure considering configurations of transverse reinforcement, the amounts of transverse reinforcement from the compressive capacity design method about high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tied columns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ormula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design equation of transverse steel amounts for high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tied columns was quite agreeable with the test results of HSC tied columns conducted by other researchers as well as author.as author.

  • PDF

대규모 굴착공사에 따른 지중연속벽체의 변형특성(II) -수치해석-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Diaphragm Wall Induced by Deep Excavation(II) -Numerical Analysis-)

  • 김동준;이병철;김동수;양구승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07-115
    • /
    • 2001
  • 해성토층 위에 준설매립된 수도권 해안매립지역에서 원형의 대심도 굴착공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중연속벽의 수평변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러한 수치해석결과와 현장측정값을 비교하여 각각의 수치해석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수치해석법으로는 지반반력해석, 선형 유한요소법 그리고 비선형 유한요소법이 수행되었다. 각각의 방법들에서는 미소변형률에서의 지반거동특성인 비선형성과 굴착으로 인한 구속압감소효과를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각각 그 결과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 미소변형률에서의 비선형성과 굴착으로 인한 구속압감소 효과를 고려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법이 가장 정확하게 수평변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장기내구성을 고려한 EPS의 현장 적용성 (Application of EPS Considering Long-term Durability)

  • 천병식;정창희;안진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53-60
    • /
    • 2007
  • EPS는 일반적으로 블록형태로 제조되어 토목공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재료특성상 초경량성 및 내압축성을 가지며 자립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연약지반상 성토재로 적용한 경우 침하 및 측방유동에 대한 대책공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보온 재료로서의 시험 방법 및 품질 규정만이 KS에 규정되어 있고, 공학적 성토 재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로공사의 시험시공 및 제조사의 품질시험을 통하여 EPS 설계 기준을 마련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이것들은 주로 재료의 공장제품 즉, 새 제품에 국한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EPS 장기내구성에 주안점을 두어 교대측방유동 대책공법으로 EPS가 적용된 시공현장에서 채취한 EPS시료와 공장제품에 대해 반복재하시험, 동결융해시험, 흡수율시험 등을 통하여 공학적인 장기내구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축압축시험은 채취시료가 공장제품에 비해서 강도가 다소 작게 나타났으며, 삼축압축시험에서 채취시료와 공장제품 모두 일축압축 시험결과에서와 같이 구속응력은 축방향 변형량에 선형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응력-변형률 관계곡선의 양상은 구속압과 상관없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RC 기둥 보강을 위한 새로운 강판 보강기법 및 수정 연속체 모델 (A new steel jacketing method for RC columns and a modified constitutive model of jacketed concrete)

  • 태기호;최은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75-68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강자켓을 이용하여 RC 기둥을 보강하는 기법으로 분리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자켓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여 횡방향 구속응력을 적용시켜 보강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0, 1.5 및 2.0 mm 두께로 제작된 강판을 변수로 하여 3개의 무보강과 9개의 보강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횡방향 구속응력 도입을 위해 클램프가 사용되었으며 보강된 시 편과 보강되지 않은 시편의 압축실험의 결과가 비교 분석 되었다. 실험결과 보강 강판의 두께가 증가할 수 록 압축강도가 증가했으며, 강자켓과 콘크리트는 복합거동을 하지 않으며, 실린더 중앙부가 팽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험 데이터로부터 얻은 콘크리트 공시체의 응력-변형률을 Li의 연속체 모델로 재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Li의 제안모델은 콘크리트 공시체의 항복 후의 거동에서는 오차가 커 적용이 어려움에 착안하여 수정된 Li 모델을 제안하였다. 수정된 Li 모델은 Li 모델에서 항복 후 영역의 n 값을 수정하여 얻어졌으며, 이 모델은 콘크리트의 항복 전 그리고 항복 후에도 실험값과 유사하게 재현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Li 모델의 n 값을 적절히 조절하면 실험값을 재현하는데 긍정적으로 쓰일 것으로 판단된다.

횡방향 구속응력에 의한 자켓팅-콘크리트 공시편 거동 (Behavior of concrete cylinders confined by jacketing with lateral confining stress)

  • 조성철;최은수;정영수;조백순;최지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57-160
    • /
    • 2008
  • 국내에는 내진설계가 적용되어지지 않고 설계 시공된 교량과 교각이 상당수 존재하며 지진 발생 시 취약한 소성흰지구간에서 충분한 횡구속 없이 주철근 겹침 이음을 가지고 있는 교각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내진 성능향상을 위한 국내 많은 보강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며 보다 효과적인 콘크리트 보강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횡방향 구속응력을 도입한 자켓팅 보강공법을 제시하였다. 자켓팅-콘크리트 공시편 압축 실험에서 강도 및 연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콘크리트은 압축강도, 보강량 및 보강재의 강도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콘크리트 비선형 재료를 사용한 해석적 연구를 추가로 실시하여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 값과 비교하고 실험 변수와 보강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횡방향구속응력을 사용한 자켓팅 보강공법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하여 서술 하였다.

  • PDF

그라우팅이 필요 없는 RC기둥 강판보강 기법 (Steel Jacketing Method without Grouting for RC Columns)

  • 최은수;조성철;정영수;조백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55-6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주철근의 겹침이음으로 인해 효과적인 내진성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RC기둥 보강 기법의 개발을 위해 횡방향외부압력을 도입한 강판으로 RC기둥을 보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기법의 성능 검증을 위해 설계강도를 변수로 하여 콘크리트 공시체 45개를 제작하여 외부압력을 도입하여 강자켓으로 보강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강자켓팅 기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강판과 콘크리트 사이에 그라우팅이 필요 없는 기법이다. 보강된 시편과 무보강 시편의 압축실험을 수행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해 횡방향 외부압력을 도입한 강판보강은 콘크리트 시편의 강도 및 연성도 증가에 매우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설계강도가 낮은 시편에서 강도증가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두꺼운 강판은 더 큰 강도 증진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보강기법은 RC기둥에 적용하여 강도 및 연성도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onlinear rheology of linear polymer melts: Modeling chain stretch by interchain tube pressure and Rouse time

  • Wagner, Manfred H.;Rolon-Garrido, Victor H.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203-211
    • /
    • 2009
  • In flows with deformation rates larger than the inverse Rouse time of the polymer chain, chains are stretched and their confining tubes become increasingly anisotropic. The pressures exerted by a polymer chain on the walls of an anisotropic confinement are anisotropic and limit chain stretch. In the Molecular Stress Function (MSF) model, chain stretch is balanced by an interchain pressure term, which is inverse proportional to the $3^{rd}$ power of the tube diameter and is characterized by a tube diameter relaxation time. We show that the tube diameter relaxation time is equal to 3 times the Rouse time in the limit of small chain stretch. At larger deformations, we argue that chain stretch is balanced by two restoring tensions with weights of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due to a linear spring force) and 2/3 in the lateral direction (due to the nonlinear interchain pressure), both of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Rouse time. This approach is shown to be in quantitative agreement with transient and steady-state elongational viscosity data of two monodisperse polystyrene melts without using any nonlinear parameter, i.e. solely based on the linear-viscoelastic characterization of the melts. The same approach is extended to model experimental data of four styrene-butadiene random copolymer melts in shear flow. Thus for monodisperse linear polymer melts, for the first time a constitutive equation is presented which allows quantitative modeling of nonlinear extension and shear rheology on the basis of linear-viscoelastic data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