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at TM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39초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교목연령 추정에 영창을 주는 영상 밴드 및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imber Age, Image Bands and Vegetation Indices for Timber Age Estimation Using Landsat TM Image)

  • 이정빈;허준;손홍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83-590
    • /
    • 2008
  • 본 논문은 Landsat TM 영상을 활용하여 교목연령 추정과 이와 관련이 있는 영상의 밴드값과 식생지수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본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취득시기가 다른 Landsat TM 영상 (1990, 1994, 1998년)과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과 National Elevation Dataset(NED) 영상의 차분영상이 사용되었으며 밴드 4, 5, 7 영상, 태슬모자형 변환을 통한 녹색식생지수, 토양수분지수 영상, 정규식생지수 (NDVI), 적외선지수 (II), 식생상태지수 (VCI), 토양보정식생지수 (SAVI) 영상은 Landsat TM 영상에서 추출되었다. 각각의 영상에서 추출된 값인 총 1992개 자료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 교목연령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높은 결정계수($R^2$)값을 보이는 요소로는 태슬모자형 변환 토양수분지수. 적외선지수 (II), 식생상태지수 (VCI) 영상이며 이들 값이 교목연령을 추정하는데 가장 많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LANDSAT TM DATA를 이용한 솔잎혹파리 피해지역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tracting a Pine Gall Midge Damaged Area Using Landsat TM Data)

  • 안철호;윤상호;박병욱;양경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2-52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데이타를 사용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산림피해를 추출해 봄으로써 인공위성 데이타가 산림의 병충해감지에 유용함을 입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하겠다. 또한 이러한 산림지역 피해지추출에 유용한 Band의 선정과 산림지역에서 나타나는 그림자의 영향을 감소시켜 보다 정확한 분석결과를 얻는 것도 그 목적으로 하고있다. 인공위성 데이타는 LANDSAT-5의 TM을 사용하였으며 분류정확도 향상과 그림자 영향의 감소를 위하여 화상처리기법인 Spatial Filtering과 화상간연산처리를 행하였다. 연구결과 TM 데이타는 산림의 병충해피해지역감지에 유용하였으며 식물에 대한 분류시 Band 4와 Band 5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Spatial Filtering과 화상간연산처리는 그림자영향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화상간연산처리는 산림과 기타 지역과의 분류정확도 향상에도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 PDF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지표면 수문인자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the Surface Hydrological Parameters using Landsat TM Data)

  • 채효석;송영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6-59
    • /
    • 1999
  • 원격탐사는 넓은 지역에 대한 수문학적 상태나 변화량을 관측할 수 있는 시 공간적인 수문인자나 변수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표면 알베도, 식생정보 및 지표면 온도 분포등 유역의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문 인자들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자원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표면 수문인자의 시 공간적인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문인자의 변화 분석을 위해서 1995년도 금강 상류의 보청천 유역에 대해서 획득된 5개의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COST 모델을 이용하여 대기보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토양중에 포함된 수분의 양과 태양고도각의 변화에 따라 알베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andsat TM 자료로부터 추출된 지표면 온도와 기상관측을 통해서 얻어진 대기온도 사이의 차이가 $2.5^{\circ}C$ 내지 $3.86^{\circ}C$로 나타났다.

  • PDF

다중분광 위성영상과 팬크로매틱 위성영상에 의한 변화 검출 (Change Detection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ry and Panchromatic Satellite Imagery)

  • 이진덕;한승희;조현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7-90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1985년 10월 Landsat TM 자료와 팬크로매틱 영상인 2000년 1월 KOMPSAT-1 EOC 자료를 사용하여 각각 토지피복분류를 행하고 도시의 변화 검출을 시도하였다. 다중분광영상인 Landsat TM 자료는 30m 공간해상도로서 토지피복, 식생분류, 도시성장 분석 등의 정보 추출에 유용한 것으로 이미 널리 인식되어 있는 반면, KOMPSAT-1 EOC 자료는 6.6m의 팬크로매틱 고해상도 영상으로서 이 영상으로부터 어느 정도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KOMPSAT EOC 자료가 Landsat TM 자료에 비하여 더 높은 분류도를 나타내었으며, 1985년부터 2000년 사이에 대상도시의 시가지는 4배로 확장된 반면 산림지는 되었고 15~27%, 농경지는 28~45% 축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Landsat TM 영상(映像)을 이용한 충적평가(沖積平野) 미지형(微地形) 분류(分類) -금호강(琴湖江) 유역평야(流域平野)를 대상으로- (Classification of Micro-Landform on the Alluvial Plain Using Landsat TM Image: The Case of the Kum-ho River Basin Area)

  • 조명희;조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97-204
    • /
    • 1996
  • 낙동강의 대지류중의 하나인 금호강 유역분지를 대상으로 하여 Landsat TM 영상의 false color composite를 육안분류하여 충적평야상의 자연제방, 후배습지, 합류선상지 등의 미지형 분류를 시도해 보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2년 11월 11일에 탐지된 Landsat TM 영상중의 band 2, 3, 4에 blue, green, red filter를 각각 씌워 조합한 false color 영상이 가장 효과적이었음이 규명되었는데, 시기(時期)적으로는 미지형 별로 녹색식물(綠色植物)의 밀도차가 가장 두드러지는 11월 중순(中旬)의 영상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즉 배후습지의 논은 벼가 막 수확된 때이므로 나지(裸地) 상태이었으나 자연제방 상에는 김장채소, 과수원의 하층(下層) 초본식물 등의 녹색식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 있으며 합류선상지 부분은 논과 밭이 혼합되어 녹색식물의 밀도가 중간 정도로 분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false color composite의 색조 차이를 이용한 미지형 분류결과에 대해 sample 지역에서 현지 지형 조사와 퇴적물 입도분석(粒度分析)을 실시하여 검증해 본 결과 충적평야 미지형 분류에 있어서 탐지시기와 band 조합의 대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TM 영상이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다시기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소유역의 토지이용변화분석 (A Study on the Land-Use Changes on the Balan Water sheds Using the Multi-temperature Landsat TM Images)

  • 강문성;박승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473-478
    • /
    • 1999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detect and evaluate the land use and changes on the Balan Watersheds, located southwest of Suwon, using the Thematic Mapper(TM) data. Three sests of TM taken in 1985 , 1993 and 1996 were used and the changes in the land use analyzed and compared. The suupervised and unsuperivised classification methods were adoppted to classify five land-cover categories ; Paddy , upland , forest , residential , and water. Future ladn use patterns were simulated using a Markow chain method, and the change ratios presented.

  • PDF

Landsat TM영상을 이용한 호수의 수질분포도 작성 (Mapping of the water Quality of lake by using Landsat TM Images)

  • 박종선;최승필;최철순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85-290
    • /
    • 2004
  • Sensors of Landsat detect different objects with different waves, so the range of water quality conditions can be accurately checked, and their images can be displayed in color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egree of clearness and depth and to detect elements from the surface water of Hwajinpo Lake. Based on these results, water quality of the lake was analyzed, and the range of water quality was drawn graphically. According to comparison outcomes, the new technique of detecting water elements from DN of Landsat TM images and drawing the range of water quality produced a far more accurate pattern for a wide area than the direct measurement. To display the pattern more clearly, the stretching technique in particular was very effective in the pattern analysis.

  • PDF

Landsat TM과 $ETM^+$ 영상자료를 활용한 도시지역의 토지피복과 도시열섬의 변화 검출 (Change Detection of Land Cover and Urban Heat Island from Landsat TM and $ETM^+$)

  • 이진덕;최용진;박진성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6년도 GIS/RS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169-174
    • /
    • 2006
  • 도시지역의 급변하는 토지이용의 패턴 및 토지피복상태 등의 도시환경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도시계획 및 개발계획을 기획, 입안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미시를 대상지역으로 하는 Landsat TM과 Landsat $ETM^+$ 인공위성 영상데이터로부터 토지피복/토지이용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18년간의 광역적 도시변화를 탐지하였다. 또한 도시의 발전과 지표면 온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열적외선 파장영역을 이용하여 온도를 추출하였다. 시가지 확장으로 인한 지표면 온도의 상승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토지이용/토지피복의 상관관계 분석 및 식생지수분포를 비교하였다.

  • PDF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hanges in an Alluvial Low Land Using Multitemporal Landsat TM Data

  • M.A., Mohammed Aslam;Harada, I.;Kondoh, A.;;Y, Shen;Tj, Ferry 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12-714
    • /
    • 2003
  • The modifications taking place within the alluvial plains impart a larger extent of disturbances to hydrologic system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detect the sensitivity of multi-temporal image data from Landsat TM (Thematic Mapper) for finding out the land-cover/land-use changes associated with alluvial low land. The eastern coast of Chiba Prefecture, Japan, forms a very important geographic unit owing to the existence of a unique alluvial landform. The alluvial plain occupied in the study area is widely known as 'Kujukuri Plain'. The TM images have been classified by means of maximum likelihood supervised classifier and the extent of changes has been estimated.

  • PDF

Estimating the Heat Island Development Using Landsat TM and AMeDAS Data

  • Harada, Ippei;M.A., Mohammed Aslam;Kondoh, Akihik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450-452
    • /
    • 2003
  •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an estimation of the growth of heat island development of Tokyo metropolis which accounts nearly 100 sq. km of areal spread has been carried out. Band 6 data of LANDSAT TM (Thematic Mapper) data acquired on August 1984 and 1994 have been used for estimating the expansion of the heat island development. Since the vegetation decrease is usually associated with the heat island development, a ratio of green covering has also been assessed using TM data.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the air temperature, AMeDAS(Automated Meteorological Data Acquisition System) data have been correl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