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bacteria strain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25초

부추 당침액의 유산균 발효에 따른 항산화 및 ACE저해활성 (Antioxidant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Sugared-Buchu (Allium ampeloprasum L. var. porum J. Gay)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중복;배정식;손일권;전춘표;이은호;주우홍;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71-676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국민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식물발효 효소액 중 부추 당침액(부추:설탕 1:3)을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AML 0422, Lactobacillus brevis HLJ 59, Lactobacillus helveticus AML0410,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발효를 통해 발효 부추액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과 항고혈압활성 등의 기능성을 발효 전 후의 유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 부추액은 S. aureus KCTC 1916에 대해 31.43 mm의 높은 항균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총 폴리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활성 소거능이 160.8-178 mg/ml, 100-108 mg/ml, 82.8-93.5%로 각각 조사되었다. DPPH 활성 소거능에 있어서는 Vitamin C 50 ppm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 등 고혈압과 관련이 깊은 ACE 저해활성은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50.4-67%로 발효전인 32.6%보다 좋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유용 유산균을 이용한 부추 당침액의 발효산물은 항균활성, 항산화활성과 ACE 저해활성 등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김치 분리 항진균 유산균의 치즈 스타터로서 이용 가능성 (Potential of Antifunga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s Cheese Starters)

  • 오현희;허창기;최하늘;양희선;배인휴;이재성;정용섭;이남근;정후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33-141
    • /
    • 2013
  • 본 연구는 치즈 숙성 중 오염원인 곰팡이균 제거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치즈 숙성실에서 자생하는 곰팡이와 다양한 지역의 김치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여 곰팡이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이 있는 항진균 활성 유산균을 선발하고, 선발된 유산균의 배양특성을 확인하였다. 치즈와 치즈 숙성실에 자생하는 곰팡이 8종과 다양한 지역의 김치로부터 유산균 44종을 분리 동정하였고,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44종 중 항진균 활성이 있는 유산균 6종을 최종 선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최종 선발된 유산균 6종 중에서 유산균 ALH (L. sakei subsp.)가 곰팡이균 8종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최종 선발된 6종의 유산균의 생육은 배양 5시간부터 20시간까지 활발하였고, 배양시간이 경과할수록 배양액의 pH는 낮아졌다. 유산균 생육의 최적온도는 $30{\sim}37^{\circ}C$였으며, 최적 pH는 7이었다. 단백질 분해력은 6종 유산균 모두 유사하였으며, 단백질 응고력은 ALH, ALL, ALS 균주가 ALD, ALJ, ALT 균주에 비해 좋았다. 또한 ALD, ALH, ALJ 균주는 ALL, ALS, ALT 균주보다 산성조건에서 잘 견디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산균 배양액의 유기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lacic acid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본 실험에서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은 항진균력이 뛰어나고, 배양특성이 유제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다고 사료되므로, 추후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치즈 및 유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인체장모델시스템에 의한 열무김치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선발 (Selec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Yulmoo Kimchi Using a Stimulated Human Intestinal Model System)

  • 강미란;김다람;김태운;박성희;김현주;장자영;한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96-401
    • /
    • 2012
  • 열무김치로부터 김치유산균을 분리하고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 가능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인체의 장관과 유사한 인체장모델시스템(SHIMS)을 이용한 in silico 실험을 수행하였다. 열무김치에서 분리한 5종과 표준균주 12종에 대해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을 시험하여 생존율이 높은 2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균주를 SHIMS에서 시험하여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균주의 16S rRNA를 분석한 결과 Leu.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이 김치유산균을 Leu. mesenteroides K01으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는 SHIMS에서 생존율이 높았기 때문에 프로바이오틱스로 다양하게 이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Phage ${\phi}$ FSV가 Lactobacillus casei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hage ${\phi}$ FSV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casei)

  • 김경태;이정준;서인영;나석환;백영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2
    • /
    • 1991
  • In order to study effect of the phage ${\phi}$ FSV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casei YIT 9018(wild type strain with prophage) or L. casei HYM 1213 (prophage cured strain) was infec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hage ${\phi}$ FSV (called Lac S21) or wild type virulent phage (called Lac J-1). When L. casei YIT 9018 was infected with Lac S21 under the concentration of $6.0{\times}10^6$ pfu/ml, the growth and lactic acid production of the strain were normal and the number of phages decreased. But L. casei HYM 1213 was susceptible to Lac S21.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the phage infection, the number of phages increased rapidly into $10^9$ to $10^{10}$ pfu/ml at 2 day cultures and was maintained $10^7$ to $10^9$pfu/ml phage until 6 day cultures. The lactic acid production of L. casei HYM 1213 infected with Lac S21 was abnormal. Therefore, phage ${\phi}$ FSV had an evil effect on growth of L. casei HYM 1213, but not L. casei YIT 9018. On the other hand Lac J-1 caused abnormal fermentation to either L. casei YIT 9018 or L. casei HYM 1213.

  • PDF

Pseudomonas sp.에 의한 DL-Iactonitrile로부터 D-lact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D-Lactic Acid from DL-Lactonitrile by Pseudomonas sp.)

  • 김현수;황인균;정남현;방원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3-379
    • /
    • 2002
  • Nitrile 비대칭 가수분해효소를 지닌 미생물을 이용하여 DL-lactonitrile로부터 D-lactic acid를 생산하기 위하여, DL-acetonitrile을 효소유도제로 이용할 수 있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들 중 WJ-003균주가 D-lactic acid의 생산능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Pseudomonas sp.로 부분동정하였다. DL-lactonitrile로부터 D-lactic acid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반응조건을 검토하였으며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반응혼합액은 10mM의 DL-lactonitrile과 20g(wet weight)의 균체를 포함한 11의 20mM 인산완충액(pH7.0)이었으며, 이때 반응온도는 $30^{\circ}C$이었다. 또한, 18시간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0.843 g/l D-lactic acid가 생산되었고, 이때의 전환율은 93.7%,광학순도는 99.8%이었다 한편, 10mM의 DL-lactonitrile을 14시간 후에 다시 첨가했을 때 28시간에 1.64g/l의 D-lactic acid가 생산되었으며 이때의 전환율은 91.1%, 광학순도는 99.8%이었다.

Leuconostoc lactis CCK940의 Glucansucrase 활성에 의한 올리고당 생산 최적화 (Oligosaccharide Production by Leuconostoc lactis CCK940 Which Has Glucansucrase Activity)

  • 이설희;박영서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83-390
    • /
    • 2017
  • 국내 재래시장에서 수집한 발효식품 등에서 우수한 glucansucrase 활성을 나타내는 유산균주를 분리한 후 이 균주를 이용한 올리고당 생성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배추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주 CCK940은 glucansucrase 활성이 918.2 mU/mL로 가장 높아 본 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균주로 선정하였고, Leu. lactis CCK940로 동정 및 명명되었다. 선정된 Leu. lactis CCK940는 배지의 pH를 6.0으로 조정하고 공여체인 sucrose와 수용체인 maltose의 초기 농도를 각각 5% (w/v)와 10% (w/v)로 첨가한 후 배양 4시간과 8시간째에 sucrose를 5% (w/v) 첨가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적 조건에 12시간 배양 시 Leu. lactis CCK940는 중합도가 2-4인 올리고당을 최소 4종류 생성하였다. 본 균주는 수용체 분자로서 fructose와 melibiose를 사용할 수 없었다.

Selection of Lactococcus lactis HY7803 for Glutamic Acid Production Based on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 Lee, Jungmin;Heo, Sojeong;Choi, Jihoon;Kim, Minsoo;Pyo, Eunji;Lee, Myounghee;Shin, Sangick;Lee, Jaehwan;Sim, Jaehun;Jeong, Do-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298-303
    • /
    • 2021
  •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was performed on eight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 (LAB)-Lactococcus (L.) lactis, Lactobacillus (Lb.) plantarum, Lb. casei, Lb. brevis, Leuconostoc (Leu.) mesenteroides, Lb. fermentum, Lb. buchneri, and Lb. curvatus-to assess their glutamic acid production pathways. Glutamic acid is important for umami taste in foods. The only genes for glutamic acid production identified in the eight LAB were for conversion from glutamine in L. lactis and Leu. mesenteroides, and from glucose via citrate in L. lactis. Thus, L. lactis was considered to be potentially the best of the species for glutamic acid production. By biochemical analyses, L. lactis HY7803 was selected for glutamic acid production from among 17 L. lactis strains. Strain HY7803 produced 83.16 pmol/μl glutamic acid from glucose, and exogenous supplementation of citrate increased this to 108.42 pmol/μl. Including glutamic acid, strain HY7803 produced more of 10 free amino acids than L. lactis reference strains IL1403 and ATCC 7962 in the presence of exogenous citrate. The differences in the amino acid profiles of the strains were illumina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 that L. lactis HY7803 may be a good starter strain for glutamic acid production.

담즙산 분해능이 뛰어난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Bacteria Containing Superior Activity of the Bile Salts Deconjugation)

  • 하철규;조진국;채영규;허강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4-170
    • /
    • 2004
  • 건강한 성인의 분변으로부터 담즙산 분해능이 우수한 젖산균의 분리를 위하여 무작위 선별법과 도말법을 사용하여 층 120주의 젖산균을 1차 분리하였고, 그중 5종의 젖산균을 최종 선발하였다. 유용한 젖산균이 갖추어야할 중요한 성질인 내산성, 내담즙산성, 대장균 저해능을 시험한 결과 Lactobacillus sp. CK 102이 가장 우수한 균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p. CK 102 균주는 pH 2.0에서 68% 이상의 내성과 1.0% 담즙산이 함유된 배지에서 90%이상의 내성을 나타냈으며 MRS 배지에서 대장균과 혼합 배양시 18시간 이내에 대장균을 100% 사멸시켰다. 젖산균제로써 기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인 Lactobacillus sp. CK 102를 API kit와 16S rRNA 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tarum 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 CK 102는 생균제로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물류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항세균 활성 유산균의 개발 (From food wastes into useful probiotics: Development of Lactic acid bacteria as useful probiotics for animal feed without antibiotics using food waste)

  • 서정용;송인근;이대규;이기영;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2호
    • /
    • pp.112-120
    • /
    • 2006
  • 음식물류폐기물의 무항생제 액상사료화를 통한 고급자원화를 이루기 위하여 항생제 대체용 항세균 활성 유산균주 13 종을 돼지 장관 및 분변에서 분리하였다. 분리 유산균은 모두 내염성(Nacl 4%), 내산성 (pH4.0) 및 내담즙성 (oxgall 0.8%)을 보였으며, $37^{\circ}C$에서 생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리 유산균주중 Lactobacillus plantarum CJY-22, Pediococcus sp. CJY-41, Lactobacillus brevis CJY-42 및 Lactobacillus arizonensis CJY-3 균주가 가장 높은 항세균 활성 및 광역의 항세균 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냈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 CJY-22 균주의 경우 $25^{\circ}C$에서도 생장이 원활하여 음식물류폐기물에 적용시 가온없이 발효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 균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creening of Indigenous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Development of a Probiotic for Poultry

  • Karimi Torshizi, M.A.;Rahimi, Sh.;Mojgani, N.;Esmaeilkhanian, S.;Grimes, J.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0호
    • /
    • pp.1495-1500
    • /
    • 2008
  • In an attempt to develop a probiotic formulation for poultry feed, a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solated from chicken intestinal specimens and a series of in vitr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ir efficacy as a potential probiotic candidate. A total of 650 LAB strains were isolated and screened for their antagonistic potential against each other. Among all the isolates only three isolates (TMU121, 094 and 457) demonstrated a wide spectrum of inhibition and were thus selected for detailed investigations. All three selected isolates were able to inhibit the growth of E. coli and Salmonella species, although to variable extent. The nature of the inhibitory substance produced by the isolates TMU121 and 094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bacteriocin, as their activity was completely lost after treatment with proteolytic enzymes, while pH neutralization and catalase enzyme had no effect on the residual activity. In contrast, isolate TMU457 was able to resist the effect of proteolytic enzymes while pH neutralization completely destroyed its activity. Attempts were made to study the acid, bile tolerance and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these isolates. TMU121 showed high bile salt tolerance (0.3%) and high cell surface hydrophobicity compared to the other two strains studied, while TMU094 appeared the most pH resistant strain.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ree selected LAB isolates were considered as potential ingredients for a chicken probiotic feed formulation and were identified to species level based on their carbohydrate fermentation pattern by using API 50CH test kits. The three strain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fermentum TMU121, Lactobacillus rhamnosus TMU094, and Pediococcus pentosaceous TMU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