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ndemic plants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고유식물의 종속지 III. 노루오줌속 식물의 분류와 종간유록관계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III.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Astilbe)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6권2호
    • /
    • pp.73-90
    • /
    • 1983
  • The analysis in external morphology of Astilbe including three endemic species in Korea was undertaken. From this study, five species and three varieties of Astilbe in Korea were redescribed. Their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 were also consulted. Korean Astilbe could be grouped in two Series-Series 1. Simplicifoliae; Astilbe simplicifoliae and Series 2. compositae; A. taquetii, A. microphylla, A. chiensis var. chinensis, A. chinensis var. paniculata, A. chinensis var. davidii, A. divaricata, A. koreana.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eight taxa were represented as a toxonomic model by the considering their external morphology-pubescence on floral axis and surface of leafblade, inflorescence type, ratio of petal and stamen length-and distributional range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 PDF

진노랑상사화 Lycoris chinensis Traub var. sinuolata K. Tae et S. Ko ex K. Tae et S. Ko (Amaryllidaceae)에 대한 기재 (Description of Lycoris chinensis Traub var. sinuolata K. Tae et S. Ko ex K. Tae et S. Ko (Amaryllidaceae))

  • 태경환;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87-392
    • /
    • 2003
  • 본 연구는 신종 발표시 기록하지 않았던 진노랑상사화 Lycoris chinensis Traub var. sinuolata K. Tae et S. Ko에 대하여 라틴어 기재를 추가하였고, 또한 근연관계에 있는 L. chinensis Traub와 L. aurea Herb를 포함한 새로운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 고유식물의 종속지 V. 터리폴속 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V.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Filipendula)

  • 김기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19-40
    • /
    • 1986
  • A study on the species description, enumeration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genus Filipendula was undertaken for four Korean and two Japanese species. The use of scanning electron miroscope(SEM) has made possible a detailed study of foliar trichomes, pollen grains and fruit surface features. A new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EM sample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Filipendula glaberrima, F. formosa, and F. korean were reliable endemic species. Among them, F. glaberrima shares many characteristics with F. formosa. F. gloaberrima can be divided into tow types based on leaf, seed, flower and pollen characters. Type I is characterized by ciliated fruits, many branched vascular bundles on the petal, dense trichomes on the leaf vein of abaxial surface, and many foveolate pollen surface. Type II possesses glabrous fruits, a few vascular bundles on the petal, rare trichomes on the leaf vein and a few foveolate pollen surface. The significant taxonomic characteristics in the classification of genus Filipendula are their lengths of fruit stalks, the densities of marginal trichomes of fruits, and textures of stipules.

  • PDF

DMZ에 인접한 광치령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Gwangchiryeong Area Adjacent to the DMZ)

  • 허태임;신현탁;김상준;이준우;정수영;안종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3
    • /
    • 2017
  • DMZ에 인접한 광치령은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군을 이어주는 고개인 동시에 두 지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지표점이기도 하다. 해발고도 800m의 광치령은 대암산(1,304m)에서 뻗어 나온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짙은 활엽수림과 깊은 계곡부에는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광치령의 지리적 입지는 DMZ와 그 이남지대를 연결하는 완충지대로 기능하고 있기에 광치령의 식물자원을 조사하는 것은 DMZ의 식물상을 이해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DMZ의 인근지역인 광치령에 분포하는 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가치를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88과 297속 441종 4아종 62변종 6품종 총 51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금강초롱꽃, 백작약, 구실바위취를 포함하여 22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고려엉겅퀴, 처녀치마, 참배암차즈기 등을 포함하는 특산식물은 2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귀화식물은 18분류군, 그들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 5.6%로 나타났다. 확인된 513종의 식물을 유용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식용과 약용을 포함하여 목축, 관상, 목재, 염료, 섬유, 산업용 등으로 이용되는 식물은 각각 197종, 154종, 180종, 49종, 24종, 8종, 4종, 3종으로 분석되었다.

속리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Songnisan National Park in Korea)

  • 최혁재;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77-291
    • /
    • 2009
  • 속리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circ}28^{\prime}05^{{\prime}{\prime}}{\sim}36^{\circ}46^{\prime}38^{{\prime}{\prime}}$, 동경 $127^{\circ}47^{\prime}06^{{\prime}{\prime}}{\sim}127^{\circ}57^{\prime}50^{{\prime}{\prime}}$)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0년 4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총 26회에 걸친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속리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은 115과 392속 629종 4아종 72변종 18품종의 총 72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에서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93분류군이었다. 속리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서 한국 특산식물 27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19분류군, 환경부 지정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에서 등급III 이상에 해당하는 45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으며, 29분류군의 한국 귀화식물이 밝혀졌다. 속리산 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특기할만한 식물들 중에서 특히, 고란초, 백작약, 깽깽이풀, 등대시호, 가지더부살이, 솔나리, 천마, 꼬마은난초는 개체수가 적거나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식물로서, 자생지보전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남정맥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 - 문수산, 계양산, 수리산, 광교산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annam-Jeongmaek - Focused on Mt. Munsu, Mt. Gyeyang, Mt. Suri and Mt. Gwanggyo -)

  • 오현경;김동필;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2호
    • /
    • pp.140-159
    • /
    • 2017
  • 본 연구는 한남정맥의 중점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객관적으로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자연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자연자원 정보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상은 102과 300속 428종 4아종 50변종 6품종 등 488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왜박주가리 등 4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고광나무, 오동나무,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등 7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9분류군으로, IV등급은 1분류군, III등급은 3분류군, II등급은 5분류군, I등급은 20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큰닭의덩굴, 돌소리쟁이, 뚱딴지, 오리새, 큰조아재비 등 52분류군이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등골나물, 가시상추 등 7분류군이다.

경북 울진군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the Bulyeong Valley in Uljin-gun, Gyeongbuk)

  • 오현경;신현탁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59-367
    • /
    • 2006
  • 본 연구는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을 조사한 후 무분별한 개발과 채취로 인해 점점 멸종되어가고 있는 희귀식물과 한국특산식물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제시함으로써, 식물자원과 식생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101과 340속 547종 80변종 12품종 1아종 1교잡종으로 총 641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희귀식물에는 식재수종을 제외한 창포(보존우선순위 54번), 꼬리겨우살이 (170번), 등칡 (57번), 쥐 방울덩 굴 (151번), 태 백제 비꽃 (202번), 지리산오갈피(58번), 꼬리진달래 (140번), 개불알꽃 (29번), 미치광이풀(208번)등 총 9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에는 키버들, 각시족도리, 흰명아주여뀌, 숲개 별꽃, 진범, 점현호색, 흰현호색, 갈퀴현호색, 꽃황새냉이, 흰털괭이눈, 터리풀, 틸조록싸리, 지리산오갈피, 새며느리밥풀,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가야은분취 등 총 1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식재종인 왕벚나무, IV등급에는 측백나무, 승마, 애기기린초, 꼬리진달래 등 13종류, III등급에는 개쇠뜨기, 돌단풍, 참당귀, 고려엉겅퀴 등 17종류, II등급에는 처녀치마, 동자꽃, 참바위취, 노랑제비꽃 등 15종류, 그리고 I등급에는 일월비비추, 촛대승마, 애기괭이눈, 초롱꽃 등 35종류로 분석되어 총 81종류(12.6%)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2과 40속 51종 2변종으로 총 53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2%, 도시화지수는 20.7%로 분석되었다. 최근 들어 불영계곡 일대는 도로 확장 등의 개발계획과 무분별한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빠른 시일에 생태계복원계획에 대한 다양한 대책과 제한적인 국토개발계획의 재수립이 필요하며, 희귀식물이나 특산식물 등이 분포하고 있는 서식처를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MZ에 인접한 봉화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연구 (The Floristic Study of Mt. Bonghwa (Yanggu-gun, Gangwon-do) Area Adjacent to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 김상준;신현탁;안종빈;윤정원;정수영;이준우;허태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54-574
    • /
    • 2018
  • 본 연구는 강원도 양구군 DMZ 접경지역에 위치한 봉화산(874.9m)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보전이 필요한 주요 식물과 자원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5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총 10차례에 걸쳐 조사된 관속식물은 93과 309속 358종 4아종 58변종 5품종으로 총 525종이 파악되었다. 그중 산림청에서 지정한 희귀식물은 개느삼, 삼지구엽초, 쇠채 등 총 12분류군, 한국 특산식물은 진범, 요강나물, 고려엉겅퀴 등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해당하는 삼지구엽초, 개느삼 등을 포함하여 총 80분류군이 분석되었다. 외래식물은 31분류군으로 파악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5.8%, 7.25%로 나타났다. 조사된 525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으로 분류되는 식물 213분류군(40.9%), 목축및 사료 자원으로 이용되는 식물 196분류군(37.2%), 약용식물 172분류군(32.6%), 관상용 50분류군(9.5%), 목재용, 염료용, 섬유용으로 이용되는 식물이 각각23분류군(4.3%), 10분류군(1.9%), 6분류군(1.1%)으로 분석되었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in Korea)

  • 임효선;한세희;장현도;김윤영;소순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27-452
    • /
    • 2020
  •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18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3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증거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관속식물은 141과 458속 748종 16아종 59변종 6품종의 총 829분류군으로 기록되었다. 이 중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붓꽃, 삼백초(식재)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희귀식물은 미선나무, 금털고사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붉노랑상사화, 변산향유, 변산바람꽃 등 1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9분류군으로 생태계교란종은 돼지풀, 가시상추, 양미역취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9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2분류군, 남방계 10분류군, 관심식물은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분류군은 186분류군이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 지구의 식물상과 생태계교란 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Introduced Disturbing Plants in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 이종원;이수홍;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3-113
    • /
    • 2021
  •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전체 식물상 및 특기 할만한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의 유입요인 및 관리방안을 모색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9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식물상은 107과 349속 531종 57변종 5아종 10품종 총 603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881 분류군의 약 12.33%로 나타났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에서 출현한 희귀식물은 총 15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멸종위기종(CR)은 목련, 위기종(EN)은 댕강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취약종(VU)은 개박하, 나도옥잠화, 땅나리 그리고 주목이 관찰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50과 73속 81종 3변종 1아종으로 총 85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V등급은 승마 등 3분류군, IV등급은 선주름잎, 고로쇠나무, 털조장나무 등 5분류군, III등급은 청시닥나무, 산황나무 등이 관찰되었고, 특산식물은 노각나무, 닥나무, 각시서덜취, 백운산원추리, 병꽃나무, 검팽나무, 진범 등 총 13 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방가지똥 등 16과 36속 45종 총 45 분류군으로 관찰되었고, 귀화율은 7.46%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는 14.01%로 계산되었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돼지풀,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및 양미역취 총 4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신선대억새평전에 생육하는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인 애기수영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특히 물리적이고 생물학적인 방제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