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scular Plants of the Bulyeong Valley in Uljin-gun, Gyeongbuk

경북 울진군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상

  • Oh, Hyun-Ky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Hyun-Tak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 Published : 2006.12.01

Abstract

The vascular plants of this site were identified as 641 taxa through field investigation; 101 families, 340 genera, 547 species, 80 varieties, 12 forms, 1 subspecies and 1 hybrid. Based on the Rare plants of the Forest Service an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9 taxa were listed except implanted species; Loranthus tanakae, Aristolochia manshuriensis, Aristolochia contorta, Viola albida, Cypripedium macranthum, Schpolia japonioa, Acanthopanax chiisanensis, Rhododendron micranthum. Based on the Korean endemic plants, 18 taxa were listed; Salix purpurea var, japonica, Asarum sieboldii var. mandshuricum for. misnadrum, Persicaria lapathifolia for. alba, Pseudostellaria sylvatica,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Corydalis maculata, Corydazis albipetala, Corydalis grandicazyx, Cardamine amaraeiormis, Chrysosplenium barbatum, Filipendula glaberrima, Lespedeza x tomentella, Acanthopanax chiisanensis,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Weigela subsessilis, Adenophora triphylla var. hirsute, Cirsium setidens, Saussurea pseudogracili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81 taxa (12.6%); Prunus yedoensis in class V, 13 taxa (Thuja orientalis, Cimicifuga heracleiiolia, Sedum middendorffianutn, Rhododendron micranthum, etc.) in class IV, 17 taxa (Equisetum palustre, Aceriphyllum rossii, Angelica gigas, Cirsium setidens, etc.) in class III, 15 taxa (Heloniopsis orientalis, Lychnis cognata, Saxifraga oblongifolia, Viola orientalis, etc.) in class II, 35 taxa (Hosta capitata, Cimicifuga simplex,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Campanula punctata, etc.) in class I. So, the naturalized plants were listed 53 taxa and the naturalization index was 8.2%, urbanization index was 20.7%.

본 연구는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을 조사한 후 무분별한 개발과 채취로 인해 점점 멸종되어가고 있는 희귀식물과 한국특산식물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제시함으로써, 식물자원과 식생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101과 340속 547종 80변종 12품종 1아종 1교잡종으로 총 641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희귀식물에는 식재수종을 제외한 창포(보존우선순위 54번), 꼬리겨우살이 (170번), 등칡 (57번), 쥐 방울덩 굴 (151번), 태 백제 비꽃 (202번), 지리산오갈피(58번), 꼬리진달래 (140번), 개불알꽃 (29번), 미치광이풀(208번)등 총 9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에는 키버들, 각시족도리, 흰명아주여뀌, 숲개 별꽃, 진범, 점현호색, 흰현호색, 갈퀴현호색, 꽃황새냉이, 흰털괭이눈, 터리풀, 틸조록싸리, 지리산오갈피, 새며느리밥풀,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가야은분취 등 총 1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식재종인 왕벚나무, IV등급에는 측백나무, 승마, 애기기린초, 꼬리진달래 등 13종류, III등급에는 개쇠뜨기, 돌단풍, 참당귀, 고려엉겅퀴 등 17종류, II등급에는 처녀치마, 동자꽃, 참바위취, 노랑제비꽃 등 15종류, 그리고 I등급에는 일월비비추, 촛대승마, 애기괭이눈, 초롱꽃 등 35종류로 분석되어 총 81종류(12.6%)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2과 40속 51종 2변종으로 총 53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2%, 도시화지수는 20.7%로 분석되었다. 최근 들어 불영계곡 일대는 도로 확장 등의 개발계획과 무분별한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빠른 시일에 생태계복원계획에 대한 다양한 대책과 제한적인 국토개발계획의 재수립이 필요하며, 희귀식물이나 특산식물 등이 분포하고 있는 서식처를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길봉섭, 김영식, 김창환, 김용범, 유현경, 김현철, 두병인. 2000. 경북 울진군 소광리 천연보호림 일대의 식생.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연구보고서 .40:31-56
  2.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서울 .247-351pp
  3. 김용식. 오현경, 고명희, 변무섭 .2004. 지리산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거림계곡, 백무동계곡, 한선계곡, 중산리계곡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15-436
  4. 김용식, 임동옥, 오현경, 고명희. 2003 백두대간의 고남산과 시리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45-358
  5. 김주환, 도재화. 2001 장군봉 . 974.2.통고산 . 천축산(경북 봉화 . 울진)의 식물상.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5차년도). 환경부. 92-102pp
  6. 김진수, 이석우, 황재우, 권기원. 1993. 금강소나무-유전적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7- 동위효소분석 결과에 대한 고찰. 한국임학회지 82:166-175
  7.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63-198
  8. 김현숙, 김호준, 이규석, 송호경. 2004. 계룡산 동학사계곡 남사면과 북사변의 산림식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52-61
  9. 도재화, 김동갑, 태경환, 김주환 .2005. 계룡산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85-116
  10. 박광우, 권영한, 최 경, 오승환, 김동갑, 도재화, 태경환, 김주환 .2005 덕유산 국립공원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32-56
  11. 박수현. 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85:39-50
  12.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 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 국립수목원 .184pp
  13. 박완근, 백원기, 이우철, 안상득 .1997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64-85
  14. 백원기. 1994 한극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3:5-84
  15. 백원기. 1999. 특산식물의 현황과 21세기 우리의 책무. 식물분류학회지 .29:263-274
  16.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빛 멸종위기식물 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140pp
  17. 유영한, 송민섭 .2003. 울진 왕피천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식생분야-. 환경부. pp. 61-75
  18.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이동우, 윤희빈, 이귀용, 이철희. 2003a.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10-223
  19. 유주한, 진연회,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 2004a. 충청북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 122-134
  20.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이동우, 윤희빈, 이철희. 2004b. 충청북도 박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169-182
  21.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한주환, 이철희. 2003b. 충청북도 미동산의 관속식물상. 한극환경생태학회지. 17: 112-122
  22.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269 pp
  23.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624pp
  24.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8:1-33
  25. 이일구, 양인석, 박만규, 박종욱 1976. 불영사계곡의 식물,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 10:33-38
  26. 이창복. 1983. 우리나라 특산식물 개관-한국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관한 워크샵-. 한국식물학회. 34-41pp
  27. 이창복. 1983. 우리나라 특산식물 개관-한국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관한 워크샵-. 한국식물학회. 34-41pp
  28. 임동옥, 김용식. 2002. 구룡산과 청옥산 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19-329
  29. 임동옥, 김용식, 박양규, 유윤미 .2003. 백두대간 만복대 . 고리봉 . 수정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87-403
  30. 임동옥, 김용식, 박양규, 유윤미, 고명희. 2004 백두대간 덕유산 지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07-122
  31. 임동옥, 김용식, 황인천. 2005 월악산국립공원의 식물구계학적 특성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112-118
  32. 임동옥, 박양규, 유윤미 2004a.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346-359
  33. 임동옥, 유윤미, 황인천 2004b.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88-296
  34.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69-83
  35. 전승훈. 1997. 특정식물종 평가 및 조사지침. 환경부. 216pp
  36. 정규영, 김미경. 2003. 울진 왕피천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식물상분야-. 환경부. 25-31pp
  37. 정규영, 김윤식, 김성식, 김미숙, 서정수. 2000. 경북 울진군 소광리 천연보호림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연구보고서. 40:9-15
  38. 정규영, 정형진, 남기흠, 박재호. 2005. 일월산(경북)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131-147
  39. 조영호, 김선혜. 2001. 봉화 . 울진 (통고산)지역의 식생. 제2 차 전극자연환경조사 (5차년도). 환경부. 145-170pp
  40. 최송현, 김정호. 2003. 울진군 왕피천 주변지역의 산림생태계 분석-식생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53-168
  41. 환경부. 1999. 제2차 전극자연환경 조사 지침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62-89pp
  42. 환경부. 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62-89pp
  43.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り-13. 大日本圖書. 160pp
  44. Lee TB. 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 J. PI. Tax. 14:22-32
  45.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 Tokyo. 31:1-52
  46. Takhtajan A. 1986.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pp. 522. University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