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27초

도서관학 교육의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으 교과과정분석을 중심으로-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1-29
    • /
    • 1981
  • Educational chang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 & IS) at Keio university in Japan, standard of L & IS established by Japanese university educational committee, and trend of library science education in three Korean university were comparatively studied. For the efficient conduct of investigation, the art of states of L & IS was also considered. By the influence of American education, public library-oriented Japanese curriculum had changed to special library-oriented curriculum. Late 60's information science was introduced to their curriculum, library science which based upon information science theory endeavor to make its own field in a n.0, pplied science as harmoniz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w. Korean library science education begun with university library-oriented curriculum, accepted speci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t almost same time in late 60's. It gave rise to many problems to organized systematic library science. Consequently, it have needed to harmonize these two fields in near future, reorganize curriculum based on this harmonized knowledge and acquire the consensus about fundamental essence of library science education further.

  • PDF

정보능력 개발을 위한 컴퓨터${\cdot}$정보 이용 교육과정 -교과 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 $Computer{\cdot}Information$ ] Use Curriculum toy Information Literacy Development)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7-144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이용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미국의 정보 이용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우리 나라 초${\cdot}$중등 학교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정보 이용 교육과정을 개발, 실천한 사례를 교과 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있다. 정보 사회의 학교 교육은 정보능력의 개발과 이를 위한 정보 이용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급속히 변화하는 정보 사회에서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은 그 유용성이 짧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다루는 정보능력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정보능력은 문헌 정보, 영상 정보, 전자 통신 정보 체험 정보 등 각종 정보 매체를 통한 정보의 접근, 분석, 적용, 평가 능력을 의미한다. 정보이용 교육과정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새로운 정보를 탐구하여 모든 정보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조할 수 있는 정보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PDF

2007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llustration on the Grade 5 and 6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7 Curriculum and 2009 Revised Curriculum)

  • 김용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1호
    • /
    • pp.80-8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whether current science textbook is designed to let children properly obtain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research stud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implication to help development of science textbook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of illustration in science textbooks of grade 5 and 6 published based on the 2007 curriculum an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illustration of the grade 5 and 6 science textbooks in the 2007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 on in the textbook, science textbook of year 2009 revised for grade 5 and 6 had 1.65 illustration per page and for the 2007 curriculum, it had 1.98 illustrations per page having 0.83 times more illustrations than that of the previous one. Second, the types of illustrations both textbooks had a higher ratio of pictures that are very detailed and objective which can identify scientific facts. In terms of role of illustration, illustrations providing various and realistic data related to the learning for students to have enough scientific experiences accounted for the most ratios.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9-5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의 위상을 분석하고,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은 교육적 인간상 중 하나인 창의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지식 측면에서는 새로운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적 지식이며,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학제 간 연계성을 갖는 사고 능력이다. 따라서 미디어 교육과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을 포괄하는 정보 활용 교육이 선택 과목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범 교과 학습 주제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보 활용 능력의 정의가 정보 탐색과 접근, 정보 분석과 해석, 정보 종합과 표현과 같이 구체적인 학습 기술로 명문화되어야 한다.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of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박기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284-300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을 분석하여 곧 적용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해 초등학교 전체 성취기준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의 진술이 특정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차원에 편중되어 있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과학과의 교수·학습 방향에 부합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유형의 활동과 탐구 학습이 가능한 성취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년군별 지식 수준과 인지 수준의 위계화가 필요하다. 상위 학년군에서 오히려 하위 지식·인지과정 차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므로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 서술어를 다양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정 서술어에 의존하는 경향은 이전 교육과정보다 줄었지만, 한두 차례만 사용한 서술어가 절반 정도를 차지하므로 다양한 서술어를 균형 있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성취기준에 반영하도록 성취기준 진술의 설계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로 과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요소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 적절한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탐색 및 과학과 전체 교육과정의 위계성과 연속성 분석을 위한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을 제안하였다.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Controversial Issues in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Information Subjects Observed after Amending the Curriculum in the U.K.)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3-63
    • /
    • 2014
  • 정보교과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은 문제해결력이다. 정보교과가 갖는 범 교과적 성향과 더불어 정보교과의 지식이 내포한 전이가(轉移價)를 강조하기 위한 특성이 문제해결력이기 때문이다. 교과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지식임에도 불구하고, 정보교과는 문제해결력이 지식에 앞서 있는가? 본 연구는 정보과학에 대한 지식을 근간으로 교과기반, 지식기반 교육과정으로 개정한 2014년 영국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논의하였다. 핵심지식에 대한 영국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정보교과에서 지식과 문제해결력은 어떤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PDF

현행 전문대학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for Present Curriculum of Lib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Junior College)

  • 소시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71-196
    • /
    • 2001
  • 본 연구는 현행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여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 업무도 변하고 그와 관련된 문헌정보와 교과과정도 변하는 모습을 보도록 하여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 과정이 이론보다 실무연습에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현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조사와 국내 전문대학 문헌정보과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여 공통교과목을 도출하며 새로운 모형교과과정표를 작성하는 것이다.

  • PDF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과학 탐구 활동의 지식정보처리역량 요소 분석 (Scientific Inquiry Activity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Based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Elements)

  • 정은주;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84-91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과학 탐구 활동에 나타난 지식정보처리역량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식정보처리역량의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고, 지식정보처리역량 분석틀을 구안하였다.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8권을 분석 틀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지식정보처리역량은 '수집', '분석', '조직', '선택', '평가'의 5가지 요소로 정리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탐구 활동의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는 고르게 구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탐구 활동은 지식정보처리역량 5가지 요소 중 '수집', '분석'에 치우쳐 있었으며, '조직', '선택', '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초등학교 과학 교과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기르기 위한 과학 탐구 모형이나 과학 수업 모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유전학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유전간호 역량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ived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Genetics and Nursing Competencies for Genetics)

  • 최현경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69-7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to examine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ived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genetics. Nursing competencies for genetics among nursing students were also assessed. Methods: Two hundred eighty-six Korean junior and seni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went through their clinical practicum completed a pack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exploring opinions about the integration of genetics into the nursing curriculum, as well as their perceived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competencies toward genetic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Results: Overall,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reported limited genetic knowledge, but most of them were comfortable with drawing pedigree. In general, nursing students were competent in providing genetic nursing. Their genetic nursing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general understanding of gene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uniors and seniors regarding knowledge, attitudes, and competencies toward genetics. More than 60% of nursing students reported the need for genetic nursing, and the majority considered lectures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learn genetic knowledge. Conclusion: It is imperative to integrate genetics into nursing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tudents' genetic nursing competencies as well as genetic knowledge.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교육과정과 환경과 교육과정 비교 (Comparison of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 윤진아;남윤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5-175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의 주제로 다루어지는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환경교육의 현황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연계성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환경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교과의 교육과정과 그 변천에 대한 문헌연구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핵심역량과 교육목표를 비교하고, 과학과 및 환경과의 공통 소양 요소인 지식, 태도, 탐구, 그리고 참여와 실천의 4가지 범주를 도출하여 분석틀을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내용체계를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역량과 목표에서 환경교과는 총론기반의 지속가능한 사회참여를, 과학교과는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소양이 강조되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내용체계에서는 환경교과가 학습자의 관점을 중시한다면 과학교과는 과학탐구자로의 자세를 강조하였으며, 내용지식의 체계를 중요시하는 과학교과에 비해, 환경교과는 학년간 경계가 거의 없이 과학개념이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국가 교육과정에서 교과간 내용 지식 연계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환경교과가 참여와 실천에 목적을 둔다면 과학교과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개발과 개선, 과학적 흥미와 의사결정능력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고 있어 체계적인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해 과학과 및 환경과 교육과정이 상호보완 될 필요가 있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탐구활동의 주제를 더욱 다양하고 통합적인 주제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탐구 중심의 통합 교과서에서 보다 과학적 문제해결과 평생학습과 참여 역량을 강조하는 교과서로 바꿀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해 과학과 및 환경과 교육과정의 상호보완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과학교육이 환경교육의 버거운 역할을 분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