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Song, Gi-Ho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v.42, no.2, 2011 , pp. 29-5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n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propose some ways strengthening its role as a cross-curriculum. Analyses show that information literacy is a basic competency of creative person composing the educational human figure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In the school knowledge, its position is a procedural knowledge to create new ideas, also it is a interdisciplinary thinking skill under the instructional method. Therefor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covering media and ICT literacy should exist as a main cross-curriculum to be a selective subject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finally, one of learning skills, its definition should be cleary stated such as information research and access, information analyses and interpretation, information synthesize and presentation.
Keywords
Information Literacy; Cross-Curriculum;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상은, 주요국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 교육과정(Cross-Curricula)의 성격 고찰(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07), p.23-34.
2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p.21.
3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 교과 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op. cit., p.178.
4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 교과 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op. cit., p.165.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서울 : 교육부, 1997), p.22.
6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 총론(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8), pp.23-24.
7 소경희, "학교 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게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3호(2006), pp.39-59.
8 이병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 활용 교육과 도서관 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3), pp.443-462.
9 Ralph Catts, Jesus Lau. Towards Information Literacy Indicators(Paris: Unesco, 2009), p.12. [cited. 2011. 4. 7].
10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 교과 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2호(2006), pp.159-182.
11 Ralph Catts, Jesus Lau. Towards Information Literacy Indicators(Paris: Unesco, 2009), p.18.
12 Penny Moore, Information Literacy : What's it all about?(Wellington: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002), pp.21-23.
1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p.8.
14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역량기반(competency-based)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4호(2007), p.113.
1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16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17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18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p.v.
19 박순경, "메타 교육과정으로서의 cross-curricular에 대한 一考," 교육과정연구, 제16권, 제2호(1998), p.179.
20 송기호,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 (2009. 6), pp.317-337.
21 이병기, "학교도서관과 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5. 6), pp.87-105.
22 박명규, 한상완,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5. 3), pp.167-194.
23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24 이상은, 주요국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 교육과정(Cross-Curricula)의 성격 고찰(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07), p.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