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competency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간호사의 재난간호 역량: 주제범위 문헌고찰 (The Competency in Disaster Nursing of Korean Nurses: Scoping Review)

  • 이은자;양정은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2호
    • /
    • pp.153-165
    • /
    • 2021
  • Purpose: The aim of study was to identify ranges of Korean nurses' competency in disaster nursing. Methods: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using the Joanna Briggs Institute methodology. The review used information from four databases: RISS, ScienceON, EBSCO Discovery Service, and CINAHL. In this review, key words were 'disaster', 'nurs*', 'competenc*', 'ability' and 'preparedness'.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identified as strategies to use in this review.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is review focused on the following: Korean nurse, articles related to disaster nursing competency, peer-review articles published in the full text in Korean and English. Review articles were excluded. Results: Nineteen studies were eligible for result extraction. A total of 10 categories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y were identified: Knowledge of disaster nursing, crisis management, disaster prepa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sharing, nursing record and document management, communication, disaster plan, nursing activities in disaster response, infection management, and chemical, biological, radiation, nuclear, and explosive manage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Korean nurses' commo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professional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required in nursing practice. Therefore, future research will be needed to explore and describ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요소 개발 (A Development of the Elements on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 이상철;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627-638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sis the elements associated with a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efined as the abilities that include the essential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the workforce on the fisheries and maritime job condition. This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177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item qua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argely, fisheri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basic vocational skills and fisheries-maritime job skills. Second,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consisted of communicative competence, numeracy skills, thinking skill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self-management skills, interpersonal competency, selection & application of alternative, marine technology & information skills, marine consciousness and maritime professional ethics. Third, each key competency consisted of 2-9 sub-competencies.

대학교양에서 토의식 수업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지도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scussion on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apability,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Leadership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 문성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300-3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group discussion and panel discussion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college students'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leadership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Participants were 52 college students,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13-session lessons.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collected before and/or after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nd perc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ch 'total' competency i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leadership was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experiment. Second, in subdomains of each key competency, 'directed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others' in communication, and 'divergent thinking', 'decision-making' and 'assessment' subdomains in problem-solving, and all subdomains in leadership wer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experiment. Based on the results and students' opinions about discussions, the education implications for small-group discussion and panel discussion were discussed.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사례 (A Case of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for the revision of the dentistry education curriculum on the competency-based)

  • 황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47-35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W치과대학의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방법은 역량모델 개발절차를 3단계로 진행하였다. 역량모델 준비 단계는 구성원의 인식조사를 분석하고, 개발단계는 역량수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는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내용타당도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는 .91로 높은 CVI를 나타났으며, 대학차원의 공통역량인 4개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인 직무역량을 연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걸쳐 개발된 W치과대학의 역량모델 개발 사례는 앞으로 역량모델 개발이 필요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W치과대학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편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OECD Education 2030에서 제안된 핵심역량의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반영 특성 분석 (Analysis on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Key Competencies Proposed by the OECD Education 2030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 양지선;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3-135
    • /
    • 2019
  • 본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의 반영 특성을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 범주에서 일반적인 특징은 기능, 태도, 가치 영역은 46.5%로, 학습 개념 프레임워크 영역은 17%, 역량 개발 사이클 영역은 24.2%, 복합 역량 영역은 12.5%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교육과정 항목에서 성취기준(59%), 성격(16.1%), 교수·학습 평가 방향(9.4%), 내용체계(8%), 목표(7.6%) 순으로 반영되었으며 학습 개념 프레임워크의 역량은 성취기준에 가장 많이 반영되었다. 둘째, 핵심역량 항목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동, 문제해결, 의사소통, 존중, 창의적 사고, 갈등해결, 공감, 비판적 사고, 자기관리, 학생 주체성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동, 공감, 문제해결, 예측, 글로벌 역량, 자기관리, 학생 주체성,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리터러시, 반성, 비판적 사고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열지도를 통해 3, 4단계에 해당되는 역량의 반영 정도가 높게 나타나 핵심역량의 효과적인 실천을 계획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를 위한 학습 안내자의 역할로 OECD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과 가정교과 역량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 실천 교과로서 개인의 총체적인 역량 함양을 도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 송은주;박숙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0-7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Method: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with a survey method. A total of 193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4 colleges of nursing in C city, and A and B province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October 6, 2017 to October 24, 2017.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re wer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of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with ego-resilience. In addi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ha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how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educational approach to enhance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which is considered a key competency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국제 성인역량측정 프로그램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 분석 (Analyses of Contents of Adult Competency in PIAAC)

  • 송경오;권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72-782
    • /
    • 2016
  • 실제 작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천능력이 중요하다는 최근 이슈에 부응하여 OECD에서는 국제 성인역량 측정 프로그램(PIAAC)을 개발하여 24개국 15만 7천 명 성인의 역량을 측정한 바 있다. 이 연구는 성인역량의 구체적인 개발 전략 수립에 앞서 성인역량 측정 프로그램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의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PIAAC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문헌을 활용한 개념적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성인의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실천력을 측정하기에 타당성이 부족함을 지적한다. 둘째, 성인역량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총체적인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개별 지식이나 기능의 측면만을 강조한다. 셋째,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가시적인 행동요소를 중심으로 인간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인간의 인격적 속성을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맥락에 맞는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성인역량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고, 이를 측정하기에 타당성 있는 콘텐츠를 엄밀히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

미래사회 과학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역량기반 과학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탐색 (Teacher Perception of Science Competency and Science PCK for Competency-Based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 곽영순;홍석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65-2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의 과학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그리고 이러한 핵심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을 실현하는 주체인 미래학교 과학 교사에게 필요한 역할과 전문역량 내용교수지식(PCK)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구과학 전공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5건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를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과학 교사의 역할, 역량기반 교육을 위해 필요한 과학 교사의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학생역량과 교사 전문역랑의 관계, 그리고 교사의 역할과 전문역량 간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미래사회 학생의 핵심역량으로는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과학 교사의 역할로는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면 과학수업실천과 관련된 전문역량과 관련하여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 다양한 소재와 콘텐츠 활용 등과 같은 역할과 뚜렷한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이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에 근거한 학생의 행위 주체성 촉진 방안, 교사 역할과 전문역량 구성요소의 관련성, 교사 전문역량의 총체성 등을 제안하였다.

건설사업관리자 역량 모형 개발 및 역량 요구 분석: D사(社)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ing Competency Model and Analyzing Competency Needs for Construction Manager in D Co., Ltd.)

  • 김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3권3호
    • /
    • pp.37-5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의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역량 개발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사(社)의 우수 건설사업관리자 2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역량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 역량 모형은 3개 역량군, 11개 역량, 60개 행동 지표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수 집단과 평균 집단의 역량 수준을 비교 분석하는 동시적 구성 타당화를 통해 역량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각 역량의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조사 분석하여 역량 개발의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리스크 관리, 목표 의식, 고객 지향, 프로젝트 관리 역량에 대한 개발 요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사업관리자의 역량 기반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2-16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한 이래로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 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 교사전문성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별 교사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역할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 변화도 요청되며, 교사는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의 모델이 되어야 하고, 교사역할의 다면화가 요청되며,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요청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공동체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조직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하고, 미래의 교실에는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해야 하며, 지역공동체 및 다른 전문가 집단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요구가 수렴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