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ceosidi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47초

Jaceosidin이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쥐의 혈당강하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jaceosid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박은교;권병목;정인경;김정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5호
    • /
    • pp.313-320
    • /
    • 2014
  • 본 연구는 약쑥의 기능성 성분인 jaceosidin이 제1형 당뇨병에서 혈당과 체내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jaceosidin을 식이에 농도별(0.005%, 0.02%)로 혼합시켜 준비하였으며, 실험 동물은 C57BL/6J 5주령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정상군(Normal)과 당뇨군으로 나눈 뒤 당뇨군의 마우스는 5일간 streptozotocin (55 mg/kg bw)을 복강으로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하였다. 당뇨군은 당뇨대조군(D-Control), jaceosidin 0.005% 섭취군(D-0.005%), jaceosidin 0.02% 섭취군(D-0.02%)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8주간의 식이 섭취 결과, 당뇨군의 체중이 Normal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식이효율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jaceosidin의 섭취는 당뇨로 인한 체중 및 식이효율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형 당뇨시 jaceosidin의 섭취가 장기 무게와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복 혈당은 D-0.005%가 D-Control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의존적은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당부하검사에서는 당뇨군이 normal에 비해 혈당과 AUC 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jaceosidin 섭취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슐린 내성검사 결과에서는 D-0.02%가 당뇨 대조군보다 AUC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Jaceosidin의 섭취가 당뇨병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jaceosidin의 섭취가 과산화지질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산화효소인 GSH-px의활성은 D-Control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jaceosidin은 제1형 당뇨병시 간의 항산화 효소계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공복혈당을 낮추고, 인슐린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 당뇨병이나 당뇨로 인한 합병증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약쑥 함유 Eupatilin과 Jaceosidin 성분의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n Artemisia herba)

  • 류수노;강삼식;김주선;구본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52-456
    • /
    • 2004
  •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분광학적 방법(^1H\;and\;^{13}C-NMR,\;MS)$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지표물질로 하여 HPLC분석조건과 HPLC용 검체의 조제,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약쑥 eupatilin 성분의 검량선은 y=76069x+107329(r=0.9999), jaceosidin은 y=76651x+77399(r=0.9996)으로 각각 직선성이 인정되었다. 강화사자발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240mg(100g 잎), jaceosidin이 10mg(100g 잎) 함유되어 있고, 싸주아리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330mg(100g 잎), jaceosidin이 123mg(100g 잎)씩 각각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변이 (Variation of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 of Mugwort)

  • 류수노;한상숙;양종진;정해곤;강삼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04-207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기능이 보고된 쑥의 eupatilin성분과 jaceosidin 성분 고함유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기능성 작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개 지역의 도서벽지에서 수집한 자생쑥을 분석한 결과 강화${\cdot}$백령도 지역의 수집 쑥에서 eupatilin과 jaceosidin함량이 높았다. 그 중 가장 높은 것은 강화의 싸주아리 쑥이었다. 2. 쑥의 채취시기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은 모두 5월 23일에서 6월 10일 사이 채취한 쑥에서 가장 높았다. 3 쑥의 식물체 부위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 함량은 상위엽이 하위엽보다 2배가량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jaceosidin 함량은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약쑥의 유용성분 정량분석 (Analysis of Available Component in Artemisiae Herba)

  • 류수노;강삼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spc1호
    • /
    • pp.169-175
    • /
    • 2004
  • 동의보감에 수재되어 있는 약쑥은 식용뿐만이 아니고 한방에서는 출혈 및 지혈약으로 자궁출혈, 임신중의 출혈, 코피지혈 등에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부인병과 건위, 설사치료와 항암활성, HeLa cell에 대한 억제작용도 보고되어 있다. MeOH엑스가 HCl-EtOH유발법, $1\%$ 암모니아 수용액 유발법, HCl-aspirin 유발법등에 의하여 유발된 위 손상에 대하여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flavonoid의 일종인 eupatilin으로 확인된 바 있다. 이 물질이 5-lipoxygenase inhibitor ($ID_{50}=14{\times}16^{-6}M$) 작용과 prosta glandin synthase의 활성을 약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구명하였다. 이를 지표물질로 하여 HPLC 분석조건과 HPLC용 검체의 조제, 표준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강화사자발쑥 100 g의 잎에는 eupatilin은 240 mg, jaceosidin은 10 mg함유되어 있고 싸주아리쑥에는 eupatilin은 330 mg, jaceosidin은 123 mg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섬애약쑥 주정 추출물로 제조한 발효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inegar prepared with Seomaeyaksuk (Artemisia argyi H.) extract)

  • 신지현;강민정;변희욱;배원열;신정연;서원택;최진상;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47-6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섬애약쑥의 유효성분인 jaceosidin과 eupatilin을 함유하는 식초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섬애약쑥 70% 주정추출물을 첨가하여 식초를 제조하였으며, 물추출물 첨가군과 그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동량의 10% 맥아추출물을 첨가하였으며, 여기에 동량의 정제수와 주정을 혼합한 것을 대조군(CO), 정제수와 섬애약쑥 주정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SE, 주정과 섬애약쑥 물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SW, 섬애약쑥 물추출물 및 주정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SM군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발효기질을 제조하였다. 최종 혼합물의 주정 농도는 6%로 조절하였으며, 각각의 발효기질 3 L에 종배양한 초산균액을 3% 접종하고, $30^{\circ}C$에서 정치배양하면서 발효 10일부터 5일간격으로 25일까지 시료를 취하였다. 25일간 발효한 섬애약쑥 식초의 L 값은 26.5-46.6, a 값은 -0.4-3.1이었고, b 값은 5.7-12.4의 범위였다. 최종 산도의 경우 3.60-4.44% 였으며, 섬애약쑥 주정추출물이 첨가된 SE 및 SM시료는 발효 20일 이후부터 급격히 산도가 증가하여 발효 25일에는 SM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유리당은 fructose 및 glucose 두 종류가 정량되었고 발효기간 동안 감소하여 발효 25일차에 각각 0.13-0.22 g/100 mL 및 0.18-0.48 g/100 mL이었다. Acetic acid는 주요 유기산으로 발효 25일에 3,638.51-4,532.90 mg/100 mL 범위였다. 페놀화합물들은 섬애약쑥 주정추출물의 첨가 유무에 따라 검출여부 및 함량에 차이가 있었는데, 주정추출물이 첨가된 시료에서는 총 7종의 페놀화합물이 검출된 반면 대조군과 물추출물이 첨가된 시료에서는 4종만이 검출되었다. Jaceosidin과 eupatilin은 섬애약쑥 주정추출물을 첨가한 SE 및 SM시료에서만 검출되었는데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감소하여 발효 25일차에 jaceosidin은 각각 6.88 mg/L와 6.49 mg/L였으며, eupatilin은 각각 2.24 mg/L 및 2.23 mg/L였다. 이상의 결과부터 섬애약쑥 주정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25일간의 초산발효 단일과정을 통해 식초로서 적합한 산도를 가지며, 유기산과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더 높고 유효성분으로 jaceosidin과 eupatilin을 함유하는 식초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수집약쑥의 유효성분 함량변이 (Chemical Component of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leaves Collected in Korea)

  • 류수노;한상숙;김관수;정해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20-223
    • /
    • 2006
  •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약용으로 이용 되어온 약쑥의 품질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특수한 용도로 이용되어 온 약쑥을 48개 지역에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에 걸쳐 210점을 수집하여 잎의 유효성분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잎 100 9에 함유된 eupatilin 함량은 $0{\sim}228.0mg$(평균 43.8 mg), jaceosidin 함량은 $0{\sim}73.8mg$(평균 12.8 mg)이 었으며, sesamin 함량은 $0{\sim}6.78mg$(평균 3.58 mg)의 변이를 보였다. 이들 화학성분 중 수집지역별로 함량변이가 큰 eupatilin 성분을 비교한 결과 강화도, 백령도를 중심으로 한 서해안 지역에서 수집된 것에서 높고, 동해안과 남해안지역에서 수집된 약쑥에는 eupatilin이 거의 함유되지 않았다.

Anticoagulant and Antiplatelet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nd Its Bioactive Components

  • Ryu, Ri;Jung, Un Ju;Kim, Hye-Jin;Lee, Wonhwa;Bae, Jong-Sup;Park, Yong Bok;Choi, Myung-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81-187
    • /
    • 2013
  •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P)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reported to exhibit various beneficial bi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ti-atherogenic and lipid lowering activities; however, its antiplatelet and anticoagulant properties have not been studied.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AP) and its major flavonoids, eupatilin and jaceosidin, on platelet aggregation and coagulation. To determine the antiplatelet activity, arachidonic acid (AA)-, collagen- and ADP (adenosine diphosphate)-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ere examined along with serotonin and thromboxane A2 ($TXA_2$) generation in vitro. The anticoagulant activity was determined by monitoring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rothrombin time (PT) in vitro. The data showed that EAP and its major flavonoids, eupatilin and jaceosidin, significantly reduced AA-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the generation of serotonin and $TXA_2$, although no significant change in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collagen and ADP was observed. Moreover, EAP significantly prolonged the PT and aPTT. The PT and/or aPT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eupatilin and jaceosidin.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P may have the potential to prevent or improve thrombosis by inhibiting platelet activation and blood coagulation.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V. 사자발쑥(Artemisia herba)의 전초로부터 flavonoid 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V.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 방면호;김동현;유종수;이대영;송명종;양혜정;정태숙;이경태;최명숙;정해곤;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418-420
    • /
    • 2005
  •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과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eupatilin (1), jaceosidin (2), apigenin (3) 및 eupafolin (4)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eupatilin과 jaceosidin은 사자발쑥에서 분리, 보고 된 바 있으나 eupafolin과 apigenin은 처음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