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uitive knowledge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4초

구조화된 저널리즘 서비스를 위한 과학 칼럼 정보 지식화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a Knowledge Framework for Structured Journalism Service based on Scientific Column Database)

  • 최성필;김혜선;김지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41-36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과학 저널리즘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KISTI의 과학향기 칼럼에 대한 반자동 지식화 방안과 이를 기반으로 과학기술 인포그래픽 기반의 서비스 체제를 제안한다. 전문가나 특정 분야 과학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 정보와는 달리 과학향기 콘텐트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알기 쉬운 과학 상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과학향기 데이터베이스를 지식화하기 위한 방법론 즉, 지식 유형, 지식 추출 방법 및 절차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과학향기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과학기술 인포그래픽 서비스 체제를 새롭게 정의하고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도, 방법론 및 특징 등을 기술한다. 이를 통해서 미래의 과학 저널리즘 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발전적 방향을 제안한다.

마르코프 의사결정 과정에 기반한 대화 관리자 설계 (Design of Markov Decision Process Based Dialogue Manager)

  • 최준기;은지현;장두성;김현정;구명완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4-18
    • /
    • 2006
  • The role of dialogue manager is to select proper actions based on observed environment and inferred user intention. This paper presents stochastic model for dialogue manager based on Markov decision process. To build a mixed initiative dialogue manager, we used accumulated user utterance, previous act of dialogue manager, and domain dependent knowledge as the input to the MDP. We also used dialogue corpus to train the automatically optimized policy of MDP with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The states which have unique and intuitive actions were removed from the design of MDP by using the domain knowledge. The design of dialogue manager included the usage of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and response generator to build short message based remote control of home networked appliances.

  • PDF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Investigation of the Components for Assessing the Ability of Engineering Design)

  • 김태훈;이소이;노태천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3호
    • /
    • pp.49-56
    • /
    • 2005
  • 이 연구는 공학설계능력의 평가를 위한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공학설계능력 평가 요소에 대한 타당도. $\cdot$ 사회적 능력 : 의사소통, 팀웍 $\cdot$ 절차적 능력 : 문제확인 및 정의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차적으로 문헌분석과 연구진 자체 검토를 통하여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제시된 평가 영역과 평가 요소는 다음과 같다하기, 계획 및 관리하기, 정보 수집하기, 아이디어 도출하기, 아이디어 평가하기 $\cdot$ 경험 : 공학적 경험, 과학적 경험 $\cdot$ 지식 : 공학적 지식, 과학적 지식, 수학적 지식 $\cdot$ 시각화 능력 : 스케치, 제도 $\cdot$ 사고력 : 수렴적 사고, 귀납적 사고, 직관적 사고

지식 기반 시스템에서 GIS 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기계 학습 기법에 관한 연구 - Landsat ETM+ 영상의 토지 피복 분류를 사례로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Knowledge Base Construction Incorporating GIS Data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Landsat ETM+ Image)

  • 김화환;구자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61-774
    • /
    • 2008
  • 원격탐사에서 위성 영상의 디지털 처리 기술이 발달하면서 GIS 자료와 지식 기반 전문가 시스템과의 통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토지피복 분류하는 과정에서 GIS 자료를 통합하기 위하여 기계 학습 기법과 규칙 기반 분류 기법을 적용하였다. 사례 지역을 대상으로 Landsat ETM+ 영상과 고도, 경사, 향, 수역과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인구밀도 등의 GIS 자료를 함께 활용하였다. C5.0 추론 기계 학습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350개의 표본점으로부터 결정 트리와 분류 규칙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규칙을 이용하여 분류한 결과, 고독 수역과의 거리, 인구밀도 등의 GIS 자료가 규칙 기반 분류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계 학습과 지식 기반 분류 기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GIS 자료들을 통합하여 위성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비 중등 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 (Preservice secondary matheam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irrational numbers)

  • 이선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9-518
    • /
    • 2013
  • 학생들이 학습하는데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수학 개념을 가르치고, 학생들이 수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리수 정의와 무리수 연산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들이 갖고 있는 이해는 어떠하며, 어떠한 차원으로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예비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기 위해 Skemp(1976)의 연구와 Tirosh et al.(1998)의 연구를 참고하여 '형식적 차원', '직관적 차원', '알고리즘적 차원', '도구적 차원'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 5곳에서 65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무리수 정의와 연산과 관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무리수 정의에 대해 대체적으로 올바른 지식을 갖고 있었으나, 그러지 못한 예비교사들도 몇 명 있었다. 무리수 연산(덧셈)에 대해서 예비교사들은 많은 잘못된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직관적 차원으로의 이해나 도구적 차원으로의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 PDF

예비교사들은 $0.99{\cdots}$ <1라는 주장을 어떻게 반박하는가? (How Do Pre-Service Teachers Disprove $0.99{\cdots}$ <1?)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491-502
    • /
    • 2014
  •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0.99{\cdots}$가 1보다 작다는 주장을 어떻게 반박하는지를 관찰함으로서 왜 $0.99{\cdots}=1$가 참이라고 정당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일부 예비교사는 $1-0.99{\cdots}$의 값을 무한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표준 실수의 입장에서 $1-0.99{\cdots}$의 값은 무한소가 아닌 0이라고 생각했던 예비교사들도 이것을 실수에 대한 가정으로부터의 논리적 결론으로 정당화하기보다는 유한과 무한은 다르다는 직관적 정당화에 안주하였다. 예비교사들이 $0.99{\cdots}$ <1의 반박에서 드러낸 인식의 한계는, 표준 실수 체계만이 수학적으로 옳은 유일한 수체계라는 믿음과 무관하지 않다. $0.99{\cdots}$ <1이지만 표준 실수체계와 마찬가지로 무모순인 비표준 실수체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평범한 중학생이 제기하는 $0.99{\cdots}$가 1이냐 아니냐의 질문도 학교수학 수준의 상식적 설명 혹은 예비교사들의 직관적인 정당화만으로는 대답할 수 없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 PDF

광통신망 설계를 위한 네트워크 모형의 상위수준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er Level Representations of Network Models for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 Networks Design)

  • 김철수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25-148
    • /
    • 1996
  • This paper is primarily focused on the function of model management systems such as higher level representations and buildings of optimization models using them, especially in the area of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models.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the model builders an intuitive language-namely higher level representation-using five distinctivenesses : Objective, Node, Link, Topological Constraint including five components, and Decision. The paper elaborates all components included in each of distinctivenesses extracted from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ypical telecommunication network models. Higher level representations represented with five distinctivenesses should be converted into base level representations which are employed for semantic representations of linear and integer programming problems in knowledge: assisted optimization modeling system(UNIK-OPT). Furthermore, for formulating the network model using higher level representations, the reasoning process is proposed. A system called UNIK-NET is developed to implement the approach proposed in this research, and the system is illustrated with an example of the network model.

  • PDF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Occidental Group-specific Label-based Probabilistic Brain Atlas

  • 구방본;이종민
    • 전자공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66-82
    • /
    • 2009
  • Probabilistic atlases for the human brain structure are more suitable than single brain atlases for representing population anatomy.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e group-specific probabilistic atlas for accurate characteristic feature coding. Our proposed method for a new group comparison study, using a subpopulation specific probabilistic atlas, was based on this hypothesis. A knowledge-based automatic labeling technique using nonlinear registration was applied to encode group-specific regional probabilistic information. Direct atlas-based comparison using volume counting above the probability threshold, distance measuremen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probabilistic atlas. Here, we applied this method for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occidental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method could provide simple but intuitive regions of interest-based group analysis for the entire cortex area.

  • PDF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GSP활용 (A Study on the GSP in the Viewpoint of Problem Solving)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1호
    • /
    • pp.111-125
    • /
    • 2002
  • In this study, we studied some examples using GSP(Geometer's SketchPad)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at is explained by G. polya. After reconsidering examples, we tried to show that using GSP can help student's intuitive thinking, investigative activities, reflective thinking. Especially, in the three phase of problem solving(understanding the problem, devising a plan, looking back), mathematics teachers may using GSP in order to helping student's understanding. Besides, we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use GSP more adequately in the teaching and Beaming mathematics. First of all, Mathematics teachers using GSP in their class must have ideas how to use it. And they have to be careful on the didactical transposi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computer-based learning. They also have to lead students move from activities with GSP materials to carrying out the problem solving plan and reflection activities.

  • PDF

Offer Calculus to High School Students: The Use of Technologies Can Clear up People's Doubts

  • Wang, Gaoxia;Zhu, Y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02
  •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calculus is gradually offered to high school students in many countries. However, in Chinese high school, the instruction on calculus is nearly an untouched field. Many people don't believe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study calculus well. They think calculus knowledge in students' brains is likely to become the “half-cooked food”, and this can produce a bad effect on the study of formal calculus at university. The authors consider that the emphasis of calculus in high school should be the intuitive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calculus concepts, and it is also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formal concepts. Traditional mathematics course with chalk can't meet the needs of calculus teaching. The use of technologies can enhance the calculus teaching, especially the informal and visual calculus teaching,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underlying concepts. The authors describe how the use of technologies can improve the calculus teaching and learning, and point out that the use of technologies can clear up people's doub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