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rvice teacher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문제중심학습 교수 실행의 능력과 교육 환경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Skills and Educational Settings in Implementing a Problem Based Learning Approach)

  • 최현동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4-345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초등 교사들의 교수 실행의 능력과 교육 환경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참가자들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문제중심학습을 강의하는 강사로 활동중이었다. 초등학교 교사 3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획득되었다. 문제중심학습과 관련된 교사들의 면담은 두 가지 주요 주제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1) 문제중심학습에서 요구되는 교사들의 교수 실행의 능력 (2)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 환경.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은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보다 수업 준비와 교수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사들은 자율적이고 허용적인 학습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우미로서 행동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은 잠재능력을 효과적으로 계발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는다. 이를 위하여 교사는 문제중심학습 전체에서 효과적인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위하여, 교사들은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 교육 행정가들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교사들의 커뮤니티 형성해야 한다. 문제중심 학습의 확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들이 직접적으로 교수 활동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해 보는 것이다. 문제중심 학습을 하면 학생들의 변화가 나타날 것이고, 이러한 효과를 경험한 교사는 교수학습과정에 문제중심학습을 채택하게 될 것이다.

환경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 안지현;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46-252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113명이었다. 환경교육 요구 검사의 20문항을 사용하여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교사들에게 제시하였고, 환경교육 연수 영역의 문항에 대해서는 현장 연수와 원격 연수 중 선호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문항에서 교사들의 요구는 높았으나, 환경교육 수업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지원 분야나 연수 내용에 대한 문항에서 특히 요구가 높았다. 교사들은 현장 연수보다 원격 연수를 선호하였으나 지역 내 비형식적 환경교육 장소의 사용, 환경교육 현장 학습 장소의 개발과 사용, 환경교육 교수 전략 등의 문항에서는 현장 연수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과학 비유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인식 조사 도구의 탐색적 개발 및 적용 (Exploratory Developing Instruments for and Assessing Awareness of Science Teaching through Analogy among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 권성기;강남화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42-4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ssessing teachers' awareness of science teaching through analogy (ASTA) and to establish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Based on the literatures on science teaching with analogies, we constructed 23 survey items. Face validity of the items was established using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responses of 35 pre- and 2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instruments were constructed on four subcategories: awareness of analogies in science, use of ana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self-efficacy in science knowledge, and knowledge of analogy. The data collected from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monstrated that overall the teachers' awareness of analogy in science was neutral, which indicated they did not have clear standpoints of science teaching through analogy. Further examination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in-service teachers and between two gender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achers who preferred either didactic or discovery teaching approaches. We conclude that ASTA test would contribute assessment of teachers' awareness of analogy in science teaching while further examination of the instrument will warrant for its broader use.

  • PDF

Cases of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2-92
    • /
    • 2003
  • This qualitative research describes unique features of seven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escription of excellence in effectiv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will provide some insights into required inservice initiatives and support systems for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1) practicing classroom supervision, (2) participating in voluntary communities of teachers, (3) playing instructional leader roles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4) continuing one's studies at a graduate school. One of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exemplary teachers was that they can both articulate what makes teachers professionals and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ir perspectives. These exemplary teachers not only improved their own classroom practices, but also participated actively in various professional communities to share their practical knowledge with their colleagues. The teachers have formed special-interest groups to investigate better ways of science teaching. They also took an active role i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Teachers' quality practices lie at the heart of classroom change. However,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re must be a support system that sustains and encourages teachers' initiatives. The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system to encourag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are discussed.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Science Classes)

  • 김동현;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45-115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수업 3곳의 총 27차시 수업에 참여하여 녹화하였으며, 전사 및 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은 Sinclair와 Coulthard(1975)의 이론에 근거한 정민수 등(2007)의 분석틀에서 교사 피드백 부분을 김영순(2010)의 분석틀로 일부 수정한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이었다. 분석 후 분석결과 확인 및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수업자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IRF 패턴 유형은 관리적 질문-단답형 응답 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수업 외적인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사례를 통해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인 몇 가지 패턴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은 막연히 개방적 질문, 지연적 피드백을 따로 구분하여 각각 좋다는 인식보다 학습 내용의 난이도 및 학생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적합한 패턴 전략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 3명은 평소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하여 막연히 편안한 분위기, 개방적 질문과 지연적 피드백 정도로 인식하거나 전략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연수 등 다양한 전문성 향상 기회가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육교사의 유아간 상호작용 촉진전략 사용실제와 전략 사용시 겪는 어려움 (Childcare Teachers' Use of Strategies to Promote Peer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Strategies)

  • 김혜경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5-98
    • /
    • 2017
  •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사용하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촉진 전략에 대한 사용실제를 알아보고, 전략실행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복합연구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보육교사 155명으로, 상호작용촉진 전략사용실제에 관한 SIPPY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구체적 전략 실제와 전략 사용시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서면질문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참가자중 44명이 응답하였고, 이중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SIPPY 설문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일원분반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서면질문과 심층면접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절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보육교사들은 또래 상호작용 촉진 전략 중 환경구성 전략과 일상활동 전략을 대체적으로 자주 사용하며, 상대적으로 중점활동 전략은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과 학력에 따른 전략사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구체적 전략사용실제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들은 칭찬, 시범, 제안, 매체활용과 같은 일상활동 전략을 자주 사용하며, 상호작용 촉진 전략 사용 시 환경적 요인, 가정과의 연계, 유아개별 특성, 교사요인 등이 또래사용 촉진 전략 사용을 어렵게 하는 요소들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또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전략사용의 확대방안 및 지속적인 교사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Multimedia Rich Project Based Learning)

  • 이영민;류진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3-232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전략을 개발하고,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에 대한 학습자들이 인식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J기계공업고등학교 환경에서 시행된 현장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3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관찰, 설문조사,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되었고, 백분율로 처리 되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효과로서 전공교과내용의 종합적 이해, 컴퓨터 멀티미디어 처리능력과 자료 탐색 및 조직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학습자들은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 동기, 학습자들 간의 협동 활동, 학습 참여 정도, 학습의 만족감, 학습에 대한 자신감,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학습 흥미 등이 높아진 것으로 학습자들은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The Responses of Elementary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the Area of Mai Mountain)

  • 노병섭;양우헌;조규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869-882
    • /
    • 2009
  • 본 연구는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 개발된 자료를 초등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나타난 반응을 분석하였다.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지역은 전북 진안군 마이산 도립공원 주변이며 규모가 큰 백악기 퇴적층이 공원 주변에 노두로 잘 나타나 있어 관찰하기가 용이하다. 이 퇴적층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퇴적암과 퇴적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백악기의 호수 퇴적환경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기반암과 분지 경계 단층의 형성과정에서 생성된 변성암 및 변성구조와 현생 하천 주변의 제4기 하천 퇴적층도 관찰할 수 있다. 야외학습은 13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4 단계의 절차로 적용되었다. 질문지와 면담을 통한 연구 결과, (a) 야외지질 학습과 학습자료가 교사들의 과학 수업을 긍정적으로 증진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였다는 반응을 얻었고, (b) 학생들의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되는 체험학습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장과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는 반응도 얻었다. 그러므로 교육기관은 초등 교사들이 초등학생들의 야외지질 체험학습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야외활동과 관련된 연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 방법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교사들의 인지프레임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ognitive Frame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High School Science Subject)

  • 박경진;이준기;정덕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04-41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프레임을 조사하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75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275명의 고등학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단어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은 문제해결능력과 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 중심의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 고등학생들은 교사들이 충분한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고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두 집단은 모두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인지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특히 두 집단은 융합 또는 통합이라는 요소를 그들의 인지프레임에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고, 여러 과학 분야의 내용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현직 연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예비 교사의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 방향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Building Up Smart Literacy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 전미연;김미연;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1-426
    • /
    • 2013
  • 본 연구는 스마트 환경으로 바뀌는 교육 시스템 하에서 향후 교수 학습을 진행할 예비 교사들의 스마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정착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현직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스마트 교육을 진행할 예비 교사들의 스마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확보하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제안할 필요성이 있어 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스마트 리터러시 기초 조사를 통해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고, 둘째, 교사의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지표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의 역량 수준을 분석하였다. 셋째, 예비 교사의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에게 적용할 스마트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정의와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기준 지표를 도출할 필요성이 있고,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 실제 현장과 같은 첨단 학습 환경에서 스마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현장 적응력을 키울 도록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