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l

검색결과 955건 처리시간 0.03초

보조선 지도법 연구 (A Study on Teaching How to Draw Auxiliary Lines in Geometry Proof)

  • 임재훈;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1호
    • /
    • pp.1-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and backgrounds of drawing auxiliary lines in the proof of geometry. In most of proofs in geometry, drawing auxiliary lines provide important clues, thus they play a key role in deductive proof. However, many student tend to have difficulties of drawing auxiliary lines because there seems to be no general rule to produce auxiliary lines. To alleviate such difficulties, informal activities need to be encouraged prior to draw auxiliary lines in rigorous deductive proof. Informal activities are considered to be contrasting to deductive proof,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connected to deductive proof because each in formal activity can be mathematically represented. For example, the informal activities such as fliping and superimposing can be mathematically translated into bisecting line and congruence. To elaborate this idea, some examples from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were chosen to corroborate the relation between informal activities and deductive proof. This attempt could be a stepping stone to the discussion of how to teach auxiliary lines and deductive reasoning.

  • PDF

5, 6학년 학생들의 대표값에 대한 비형식적 개념 분석 (An Analysis of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Found in Fifth and Sixth Graders)

  • 이춘재;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06년도 제36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프로시딩
    • /
    • pp.1-1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ifth and sixth graders recognize average and to find out suggestions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verage by examining which difference there is depending on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To solve these study questions, With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set up as experimental treatm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se. In conclusion, since students who did not learn the regular course of average values had various informal concepts already, it is needed to consider handling more various concepts of average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expand flexible thoughts. And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students showed were the same or similar to types of formalized concepts and had logicality and propriety in their own way. Compared with fifth graders, sixth graders showed a wide difference in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depending on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 PDF

연구활동에 있어서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Informal Communication in Research Activities)

  • 사공복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7-145
    • /
    • 1984
  • 연구자들은 정보폭발에 대처하고 또 공식 커뮤니케이션으로 충족되지 않은 정보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보제공이라는 정보시스팀의 궁극적인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 공식채널이 갖지 못한 비공식채널이 기능을 공식시스팀에 적용시키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 방면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정보서비스의 효율화, 나아가서 과학 기술의 발전이 촉진될 수 있기 위하여 그 기초작업으로서 연구활동에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및 기능,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사회조직인 비공식연구집단,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공식화 등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경부복식(警部服飾) 소고(小考) (A Study on the Kyung-bu Costume (Uniform of the Police))

  • 최인려
    • 복식
    • /
    • 제5권
    • /
    • pp.173-183
    • /
    • 1981
  • In 1895(32nd year of King Ko-Jong), Kyung-moo-chung as westernized police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uniform of the police developed. Regarding to the Uniform of the Kyung-bu-dai-sin(the Minister Kyung-bu) and to that of the Sun-gum(the low position of the Kyung-bu police), the Kyung-bu costume(Uniform of the police) is divided as Ye-bok(Formal uniform) and Sang-bok(Informal uniform). Ye-bok(Formal uniform) is put on in the case of the law described, and Sang-bok(Informal uniform) is an everyday wear. Ye-bok(Formal uniform) is composed of Ye-mo(hat), Eui(jacket), Go(trousers), Dai(decorative belt), Do(decorative sword), and Hwa(footwear). Sang-bok(Informal uniform) is composed of Sang-mo(hat), Eui(jacket), Go(trousers), and Hwa(footwear). Differences between Sang-bok(Informal uniform) and Ye-bok(Formal uniform) is the materials of the ornament, numbers of the decorative lines. Ye-bok(Formal uniform) has more grandeur[ornament. A historic changes in the Kyung-bu costume(Uniform of the police) during the late of Yi Dynasty was little but the decorative materials and the numbers of the decorative line.

  • PDF

스마트워크 도구를 이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마음챙김 실천이 수업외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Informal Communication and Mindfulness Practice on the Non-Class-Related Behavior in the Team-Based Learning using Smartwork Tool: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elf-Efficacy)

  • 이종만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3-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워크 도구를 이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마음챙김 실천이 수업외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 지각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수업외적인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효능감 지각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 실천도 수업외적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효능감 지각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마음챙김 실천은 자기효능감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워크 도구를 이용한 팀 기반 학습 정책 수립시 자기효능감 지각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온라인 학생의 비공식 정보 추구 행태 (Informa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Online Students)

  • 김성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7-227
    • /
    • 2006
  •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과정 중 학생들의 비공식 정보 추구 행태와 그들의 비공식 정보 요구를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 환경을 알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미국 럿거스 대학 평생 교육 프로그램의 온라인 학생 29명이고,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는 내용분석과 기술적 통계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초점은 온라인 학생들이 학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공식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이유와 그들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방식에 있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온라인 학생들의 비공식 정보 추구 행태를 지원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제안된다.

무형식 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 김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95-202
    • /
    • 2017
  • 영업사원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성과 등을 통한 영업사원의 만족이나 커뮤니케이션 증대 등을 통한 영업 방식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IT 영업사원의 무형식 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 간에 대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개 회사를 선정하여 159명의 IT 영업사원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모형 (SE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IT 영업사원의 무형식 학습은 긍정심리자본과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도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으로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무형식 학습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긍정심리학으로 기반으로 한 무형식 학습을 개발하고, 이를 반영하여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을 강화할 수 있는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무형식 학습 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formal Learning Characteristics of Sports Center Leaders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 김승용;리징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일터 학습(work place learning)과 관련하여 구성주의 관점 및 무형식 학습의 특성에 대해 이론적인 접근을 통한 고찰을 하였다. 이에 무형식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는 그 성장과정과 학습을 촉진 시키는 과정에서 경험과 실천적 측면에서의 일터 학습을 통한 전문성 신장이 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무형식 학습은 중요한 학습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센터 지도 현장에서의 지도자는 일반적인 기업의 사무직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터 학습에서 형식적인 학습의 기회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무형식 학습의 유형 및 학습 향상에 대한 방안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부분은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개인적, 환경적, 제도적, 조직적 측면에서 직장 내 학습 환경의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전문성 신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의과대학의 학습 및 학습공유공간에 관한 건축계획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Spaces at the College of Medicine)

  • 최광석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7-1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planning trends for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spaces in the college of medicin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n, by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existing domestic facilities, It was organized the architectural planning baseline data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spaces in the college of medicin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reviews on the existing medical education method and learning space planning. Subsequently on-site surveys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t existing facilities. Results: In the past, learning space of the college of medicine was considered only a formal learning space such lecture rooms, labs. But lately it has been turned into a total learning concept that embraces shared learning spaces such as libraries, student spaces, amenities and common spaces such as lobbies and hallways. ① Formal learning spaces are composed of teaching and practice areas. Since It is the basic functions that comprise the college of medicine, this paper conducted a functional analysis based on the current operating system of the College of Medicine and provided baseline data on architectural planning such as function, layout, zoning, and detailed planning. ② The informal learning sharing space was divided into a library area and a student well-being and convenience area to analyze the real conditions of domestic medical college.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trends and differences in foreign medical colleges identified by literature analysis, this paper summarizes the need to revitalize informal learning spaces and their integration into formal learning spaces, architectural planning considerations, etc. Implications: the evolution of the learning method and the flexibility of the learning space bring about changes in the learning space.

국내 비형식 과학 교육 연구 경향 분석: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Trend Analysis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Focus on Educational Perspectives)

  • 장은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3호
    • /
    • pp.293-307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비형식 과학 학습 연구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기존의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연구들이 다루어온 교육적 관점을 각 분야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6년간 발행한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학술지 144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연구에서의 교육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 실천 참여나 정서 고양, 지식의 이해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지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대한 연구는 드물게 이뤄지는 등 몇 가지 교육적 관점에 치우쳐서 연구가 이뤄진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각 분야 세부 매체별에서도 나타났는데, 치우친 양상은 매체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형식 교육의 보조가 아닌 비형식 과학 학습 그 자체로서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추구하고자 하는 바를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매체별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교육적 관점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