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교과교육론」 수업이 예비 중등 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condary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for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instruction)

  • 이종학;최재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69-18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can improve secondary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and correlation on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and mathematics education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test was conducted to the subject of 34 pre-service secondary math teachers of the grade 2 and grade 4 who were chosen from H university in D city and we analyzed the results. Finding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with significant level of 0.05. This proved that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was effective on improving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Second, there was not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and mathematics education achievement.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확률과 통계 영역의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61-577
    • /
    • 2003
  • Because statistical concepts are important parts in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s have trained by special education model. In this study, a desirable direction of curriculum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at pre-service for mathematics teacher is considered. We proposed four subjects as Exploration and Analysis of Data for Mathematics Teacher, Probability and Statistics I, II for Mathematics Teacher and Statistical Software for Mathematics, and suggested the constituents and something being kept in mind for each subject.

  • PDF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포트폴리오 활용 (Using portfolio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175-1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using portfolio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actual application case. To achieve this goal, 28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eveloped their own portfolios in the regular study course for one semester under the pre-planned components of portfolio. Then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their belief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and in the structured interview for drawing implications of using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developing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s of mathematics teachers' roles and showed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s well as their learning. Continued investigation for more effective components of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would be needed.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 Portfolio for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25-246
    • /
    • 2016
  •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에서 수업능력은 가장 핵심이며, 예비교사 시기에서부터 관련된 교육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 및 강화를 위해서는 학교현장에서 스스로 계획하고 체계적으로 반성하고 그것을 개선해 나가는 실천능력을 길러야 한다.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에게 필수적인 과정으로 수업능력 향상을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에서 중등 예비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의 활용방안, 구성요소와 적용절차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실습에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의 적용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Inductive Analysis Approach on Middle Grad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 한선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599-615
    • /
    • 2015
  • 교사의 교육철학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철학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교직과목에서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도 교사의 교육철학이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예비 교사의 교육 철학과 그것의 하위 영역을 살펴본 후 그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교사의 신념'에 대한 것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질문지를 통한 연역적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수학 교사의 신념을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신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듯 교사 신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구분이 점차 고착화되었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수학 예비 교사들의 자유 글쓰기를 귀납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세 가지 영역 외에 '수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 그리고 '교직(수학 교사)에 대한 직무 동기' 등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영역들 간에는 유기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교직의 직무 동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신념의 하위 영역들 간에 독립적 병렬적 관계 외에 원인 결과의 수직적 관계 또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수학 교과 교육학의 과목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철학이 어떻게 다뤄져야 할지에 대해 연구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예비수학교사의 문제해결 지도 실행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Experiment on Problem Solving Process)

  • 김남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59-175
    • /
    • 2008
  • 문제해결은 우리나라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수학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의 제안, 평가의 제안, 교육기자재 활용 목적 등 여러 측면에서 명시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 현상의 수학수업을 이끌어 갈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해결 지도 능력을 실제적으로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과정에서는 사법대학 수학교육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문제해결 지도에 중점을 둔 지도과정을 구성, 실행하도록 안내하였다. 연구의 실행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구성 및 실행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정리하고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실행을 통해 에비수학교사들이 수학수업에 대해 갖게될 생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예비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법대학의 교사교육에서 이론적 지식에 대한 지도 못지않게 방법적 지식에 대한 지도도 중요함을 부각시키고 방법적 지식의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사례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 PDF

통계학과 통계교육 강의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atistics and Statistical Education Course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tatistical Attitudes)

  • 이종학;김상룡;최재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547-56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tatistics and statistical education of intensive courses at the teachers college can improv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statistical attitudes. Finding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attitudes with significant level of 0.05. This proved that statistics and statistical education of intensive courses at the teachers college was effective on improv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attitudes. Secon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e-service math teacher' conception in the 2009 reformed curriculum for elementary mathematics.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 현황과 과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echnology Integrated Curriculum: The Present and Tasks)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7-156
    • /
    • 2017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활용 지원체계의 확대, 교사의 지식과 신념,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틀의 문헌연구를 기초로 국내 수학교육과의 관련 교육의 현황과 현안,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강좌개설 및 운영 자료는 설문조사와 강의계획서로 수집한 결과 강의는 수업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전체 학과의 1/3에 수학교육관련 ICT 강의가 개설되지 않았다. 테크놀로지 통합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을 위하여 국가적으로 교육과정의 방향과 세부내용의 부조화, 소프트웨어와 교과서 등 지원 부족 문제 해결을 통한 교육현장 개선과 교사교육의 포괄적, 세부적 방향설정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비전의 공유가 필요하다.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Changes in Teacher Efficacy Beliefs in Mathematic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 이영혜;권종겸;이봉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07-42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 93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에 나타난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를 조사하고, 변화를 야기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이전과 비교하여 교육실습 후에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은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학교실 관리 영역보다 수학 교수 영역에 대한 효능 신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학 교수 영역에서 부정적 경험을 더 많이 한 반면에 부정적 경험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예비교사 교육에서 수학 학습 일지 쓰기의 적용 (Journal Writ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289-306
    • /
    • 2009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의사소통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학 수학 강좌에서 학습 일지를 쓰게 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의 수학 학습에서 학습 일지는 반성적 사고, 개념적 탐구, 정의적 영역의 표출, 자기 주도적 학습 계획, 학습의 기록 등의 역할을 담당했다. 예비교사들은 학습 일지 쓰기를 통해 수학 교수 학습 상황에서 갖게 되는 여러 교육적 관점을 수업 방법, 수업의 조직 및 운영, 평가, 교사의 자세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되었으며, 학습 일지 쓰기가 왜 중요한지, 어떻게 지도하며 무엇을 유의해야 하는지도 생각하게 되었다. 학습 일지 쓰기는 예비교사에게 교육적 상황에서 마주치는 여러 사안을 고민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경험의 장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