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ctive Analysis Approach on Middle Grad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 Received : 2015.10.12
  • Accepted : 2015.11.15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eachers' philosophies have not been emphasized enough in the current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even though teacher's philosophy palys a critical role in schools and classrooms. The examination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o that teaching philosophies are often discussed in the cours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well as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44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their sub domai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sub domains.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ere more about 'teacher's belief' and employed deductive inference approach using surveys or questionnaires. These studies commonly pointed out that there were three major domains of 'belief on mathematics itself,' 'belief on teaching mathematics,' and 'belief on learning mathematics.' As these three domains of teacher's philosophy has been strengthened, there were very few studies examining the other potential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hich employed inductive inference approach and pre-service teachers' free essay writing assignment, 'belief on teacher's role in mathematics classroom,' 'belief on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otivation to be a mathematics teacher' were additionally illuminated as sub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Moreover,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sub-area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as disclosed. Specifically, 'belief on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otivation to be a mathematics teacher' influenced the other sub domains. This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ere more likely to be causal and vertical relationships rather than independent and parallel relationships. Finally,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provide implications indicating how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might be established in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교사의 교육철학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철학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교직과목에서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도 교사의 교육철학이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예비 교사의 교육 철학과 그것의 하위 영역을 살펴본 후 그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교사의 신념'에 대한 것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질문지를 통한 연역적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수학 교사의 신념을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신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듯 교사 신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구분이 점차 고착화되었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수학 예비 교사들의 자유 글쓰기를 귀납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세 가지 영역 외에 '수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 그리고 '교직(수학 교사)에 대한 직무 동기' 등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영역들 간에는 유기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교직의 직무 동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신념의 하위 영역들 간에 독립적 병렬적 관계 외에 원인 결과의 수직적 관계 또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수학 교과 교육학의 과목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철학이 어떻게 다뤄져야 할지에 대해 연구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 김은호, 문정윤, 배지은, 정대진(2011).예비수학교사의 신념에 따른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5(4), 829-856.
  2. 강옥기, 한신일(2007).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련한 신념 분석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7(4), 381-393.
  3. 남미경, 손유진(2015).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고개발, 11(2), 21-38.
  4. 남윤정, 송영무(2008).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본질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 연구. 학교수학, 10(4), 49-669.
  5. 양수연, 이명숙(2014). 중국 예비교사의 교수학습 인식론적 신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사고개발, 10(3), 67-85.
  6. 오방실, 권나영(2013). 중등 예비수학교사의 신념과 교육과정 자료 선택에 대한 사례연구. 교과교육연구, 6(2), 1-22.
  7. 이대현(2013).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분석. 학교수학, 15(1), 201-219.
  8. 이영혜, 권종겸, 이봉주(2013).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수학교육학연구, 23(4), 407-422.
  9. 임해경, 추신해, 김정은(2010). 초등 교사의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의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103-121.
  10. 조인진(2005). 중학교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의 현장 적용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2(2), 335-351.
  11. 전상훈, 조흥순, 이일권(2014). 교사의 직무동기와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수업전문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0(3), 5-30.
  12. 정윤경(2013).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의 역할.교육사상연구, 27(2), 139-157.
  13. 정해남(2005). 교수 능력의 수행 정도 및 중요도에 대한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박사학위논문.
  14. Denzin, N. K., & Lincoln, Y. S. (2011).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Beverly Hills, CA: Sage.
  15. Goodman, J. (1988). Constructing a practical philosophy of teaching: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perspectives. Teaching & Teacher Education, 4(2), 121-137. https://doi.org/10.1016/0742-051X(88)90013-3
  16. Hoy, W. A. & Spero, R. (2005). Changes in teacher efficacy beliefs during the early years of teaching: A comparison of four measur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343-356. https://doi.org/10.1016/j.tate.2005.01.007
  17. Kim, G-Y. (2009). An experienced teacher's representations of beliefs and knowledge in mathematics education. School Matheamtics, 11(3), 335-349.
  18. Lincoln, Y.,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9. Mura, R. (1993). Images of mathematics held by university teachers of matheamtical scienc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amtics, 25, 375-385. https://doi.org/10.1007/BF01273907
  20.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ae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3307
  21. Raymond, A., Santos, V., & Masingila, J. (1991). The influence of innovative instructional process on the mathematical belief system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linois.
  22. Raymond, A. (1997). Inconsistency between a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5), 550-576. https://doi.org/10.2307/749691
  23. Simmons, P. E., Emory, A., Carter, T., Coker, T., Finnegan, B., Crockett, D., ... & Labuda, K. (1999). Beginning teachers: Beliefs and classroom ac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8), 930-95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10)36:8<930::AID-TEA3>3.0.CO;2-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