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3초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Learning Portfolio for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567-584
    • /
    • 2014
  • 최근 교사의 전문성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수업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2012년 수학교육선진화 방안 발표 후 수학 교사의 수업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수학 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비수학교사 시기에서부터 교육 경험이 필요하다.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 및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적 실행과 관련하여 자신의 실천을 체계적으로 반성하고 개선해 나아가는 경험이 필요하다. 즉,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위한 수업 실습에 관한 이론과 실천 양면의 체계적인 실행과 지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 실행 가능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및 적용절차를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작성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수학교사 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 분석을 통한 정책 방안 모색 (On the Analysis and Policy Alternatives of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on Mathematics Education)

  • 이환철;장미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71-182
    • /
    • 2012
  • 본 연구는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적 보완 방안을 모색하고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2010년, 2011년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도교육청 연수 담당자 협의회를 통해 연수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도모해야 하고, 연수대상자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의무 연수와 같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게재된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since 2000 by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 선우진;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1호
    • /
    • pp.121-13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the period, topics, methods, subjects, and mathematics content stran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0 research articles dealing wit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analyzed,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by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three journal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b)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and (c)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Regarding the period wh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e number of article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Regarding the topics, research on teacher orientation has been the most frequent topic and the studies dealing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teaching practices, or teacher knowledge tend to be popular. Regarding methods, survey and case study have been most frequently employed in studying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Regarding subjects, the main participants were in-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ectively, who were in charge of a regular class. Finally, regarding mathematics content strands, previous studie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not specific to mathematics content strands. Given these results, this paper clos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Korea.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101-1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내용 지식 교육의 측면에서 예비수학교사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예비수학교사들의 MKT에 대한 인식 조사와 더불어 실제 과제 수행 과정에서 드러나는 MKT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6명의 예비수학교사가 MKT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와 중학교 수준의 기하 영역에 해당되는 2개의 MKT 과제의 수행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KCT-2 범주를 제외한 MKT 하위 범주 각각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비교사교육에서 MKT의 각각의 하위 범주에 대한 교육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MKT 과제 수행 분석으로부터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은 SCK, KCS, KCT를 요구하는 문항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CK와 KCT를 요구하는 문항에 적절한 응답을 준 예비교사의 비율이 50% 이하로 나타나 MKT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일반적인 인식과 실제적인 지식 발현 과정 사이에는 불일치되는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수학 교사교육의 현장연계성 강화를 위한 예비교사-현직교사 협력적 과제 개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llabora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405-421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교사교육의 현장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을 시도하였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이 예비교사교육의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협력하여 수학 수업 과제를 개발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협력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과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거나 수학적 내용을 고려하였다. 각 주체는 학생과 내용의 상호작용 측면을 직접적으로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각자의 역할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과제가 개선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활동 일지에서 살펴본 노티싱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in Their Journals)

  • 권나영;이민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63-80
    • /
    • 2019
  • 본 연구는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생의 학습에 대한 노티싱을 살펴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4명의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중학교 수학수업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하고 작성한 일지를 조사하였다. 일지에 나타난 학생에 대한 노티싱은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기초로 하여 알아차리기, 해석하기, 반응하기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은 대체로 학생에 대한 일반적인 알아차리기가 많고 수학적 사고에 대한 해석하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반응하기에서는 질문을 통한 학생의 사고 촉진보다는 학생들에게 설명하기가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등예비수학교사 교육프로그램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질적 접근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actice and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이금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287-301
    • /
    • 2005
  • 현재의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바 이는 임용전의 교육만이 아니라 임용 후 현직 교육의 중요성을 대두시킨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많은 현직 교육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설문지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에 머물고, 특히 수학과 교과직무연수만의 문제점을 찾으려는 시도는 미약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호응도가 낮은 것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연수 결과의 현장 적용 실태와 문제점 및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 PDF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답사활동 수행 결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Mathematics Field Trip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39-15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현장을 교실이 아닌 교실 밖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최근 수학교육은 다양한 현장체험활동,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 등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수학답사활동을 진행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우리 고유의 역사적 문화재 속에서 실시한 예비교사의 수학답사활동 전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한 양적 분석과 더불어, 수학답사활동의 목적인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문화-수학적 효과, 수학수업 개선 효과 및 수업목표지식, 수업내용지식 측면에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답사활동은 예비수학교사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미적분학 강좌 운영방안 (Learning Program of Calculus Related Courses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강미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23-540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pose programs of calculus for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of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There is a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goal and contents of calculus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 followed by principles for teaching the subject. We suggest the constituents and something being kept in mind for each part in calculus.

  • PDF

수학 예비교사의 가상 수업 시연의 특징 및 동료 예비교사의 평가 (Analysis on the peer assessment results and the attribute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 김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465-481
    • /
    • 2013
  • In this study, 27 pre-service teachers presented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to develop his/her own teaching practice ability. I found several attributes in their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such as connecting contents, asking justification, encouraging students' communication, representing variously, and using ICT etc. These will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athematics class. When peer pre-service teachers assess presenter's instruction quantitative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between expert and pre-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didn't find the elements of student self assessment or group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at the virtual instruction. When they assess peers' virtual instruction qualitatively, the results are specific or new ones compared with the quantitative assessment elements. Thus I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th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in the view of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