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epth-interview

검색결과 1,436건 처리시간 0.026초

1950년대 여성문화장(場)에서의 밀가루음식 소비담론 (Food Consumption Discussion in 1950's Women's Culture)

  • 김미혜;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39-65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women's magazines and women's food consumption stories of the 1950/s. That is, it attempted to comprehe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aspects of food consumption as discussed in the 1950's. The public aspect of culture was investigated using the women's magazine "Yeo-won" which reflected the social and intellectual hegemony of the time. The private aspects of culture were investigated by reviewing the daily life of women though in-depth interviews. Mass media reflected the social and intellectual hegemony and indicated that a cultivated woman who supported western food was a wise mother and a good wife, and that a woman who consumed flour-based food was a reasonable and modern consumer, ahead of her time The admiration for the U.S. and its advanced civilization through free handouts of flour and powdered milk accelerated the consumption of industrialized flour-based foods such as noodles, hardtack, and steamed bread. This lead to the rigid traditional food-eating habits of boiled rice, and side dishes changed to flour-based and processed foods. That is, food represented a cultural identity.

한식 세계화 유관기관 및 해외진출 외식기업의 해외 한식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분석 (Global Korean Food Marketing Communication of Government Agencies and Restaurant Companies)

  • 양일선;김은정;신서영;차성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98-70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ethods and contents of global Korean food market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to October in 2010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Government agencies and restaurant companies emphasized well-being and healthy aspects as a Korean food identity. Regarding the marketing contents, government agencies commonly included standard loanword orthography and recipes. On the other hand, restaurant companies contained their own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Government agencies used CF, video, book and newspaper as communication channels but restaurant companies did not have systematic communication channels. Government agencies attempted to use holding, supporting and participating expositions as communication methods, whereas restaurant companies mainly used sales promotion and point-of-purchase as communication methods.

40평형 아파트 식생활용품 수납실태에 따른 부엌가구디자인 (The Kitchen furniture design Based on Stored items of Cooking Area in 40-pyung type apartment Houses)

  • 김기인;김선중;권명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04-30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itchen furniture design for 40-pyung apartment Houses based on stored item of Cooking, Eating and Utility Area. The research data is gotten at a field study of stored items of Cooking, Eating and Utility Area and 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kitchen furniture the preparation unit and the sink, the kitchen table, the heating unit and the service table, arranged at the tall storage. 2)The total bulk considered and holding volume ($2.7m^3$) with ground clearance (40%) planned with about $4.21m^3$. 3)Assumed at height and 162cm did a lower part height with 860mm and the upper depth 340mm, did with 700mm where raises. the storage the ceiling which raises will select and considered and with 2200mm did. 4)Arrangement of the kitchen the kitchen form which is an open type (L/DK or L.D.K) arranged many in forms of letter.

  • PDF

월간 <디자인> 잡지 구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Monthly Magazine Subscription Service)

  • 최소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337-343
    • /
    • 2021
  • 본 연구는 디자인을 공부하는 학생 사용자, 혹은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월간 <디자인> 잡지 구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잡지 산업의 매출액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발행되는 일부 잡지는 폐간 혹은 영구 휴간 절차를 밟았다. 이 연구는 잡지 매출액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잡지 판매 수입을 증대하기 위해 월간 <디자인>을 중점으로 잡지 구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구독자와 비구독자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사용자 경험에 초점을 두었으며, 향후 잡지 구독 서비스 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한 과학 PCK 변화 탐색 (Exploring Changes in Science PCK Characteristics through a Family Resemblance Approach)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5-248
    • /
    • 2022
  •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 학생의 교육과정 선택권 확대 등과 같은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과학교사의 전문성인 PCK에도 변화가 요청된다. 즉, 기존 합의-PCK를 구성하는 범주 및 과학 PCK의 특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어서 새로운 범주와 특성이 추가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해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학 PCK의 잠재성의 영역을 '가족유사성 과학 PCK'의 형태로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의 초점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초점집단 심층면담에서는 미래사회와 교육환경 변화로 인해 2030년-2045년의 가까운 미래 학교의 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과학 PCK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를 논의하였다. 심층면담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기존 합의-PCK와 차별화되는 가족유사성-PCK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심층면담 텍스트에 대한 언어네트워크(semantic network)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미래사회 교사의 역할기대가 변함에 따라 새롭게 요청되는 과학교사의 가족유사성-PCK의 특징을 PCK 구성 영역별로 살펴보았다. 미래학교 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가족유사성-PCK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가족유사성-PCK는 출발점에 해당하는 기존 합의-PCK로부터 그 외연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PCK요소가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유사성-PCK의 양태를 살펴보면, [인공지능-융복합지식-콘텐츠-디지털], [지역사회-네트워크-인적자원-관계], [기술-탐구-가상현실-연구], [자기주도학습-협업-공동체] 등이 뚜렷한 네트워크 군집을 형성하면서 미래학교의 과학교사의 전문성을 형성,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학교 과학교사 전문성의 변화 동향과 대처 방안을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당뇨병을 가지고 살아가는 취약계층 노인의 경험 (Experience as a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 with Diabetes)

  • 성기월;박미경;남지란;박지현;강혜승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49-161
    • /
    • 2017
  • Purpose: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s with diabetes by identifying the meanings and structures of the experienc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six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s with diabetes aged over 65 years. The interview data were audio-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checked for accuracy. The Colaizzi's method of phenomenology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our theme clusters were extracted as follows: 'Life adversity', 'Adaptability to the life', 'Replacement of absence of family with social support', 'Difficulty of self-care'.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life experiences of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s with diabetes. The findings will be useful to nurses caring for this population.

다문화 시각에서 접근한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영양교육 방안 - 결혼이주여성 및 영양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 김지은;김지명;서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4호
    • /
    • pp.312-32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among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a necessity for nutrition education, which is apparent to both immigrant women liv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nutrition education exper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 immigrant women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The dietary behaviors of the wo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period of residence. The longer they had resided in Korea, the higher their dietary behavior sc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tion knowledge by their period of residence. This study also conducte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8 immigrant women who lived in Seoul, and with 4 nutrition education experts. These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provide profound insights regarding the content and means of nutrition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Nutrition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liv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proceed at a basic level in terms of language and content, using bilingual (Korean and their native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Education topics and content need to be develop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Korean comprehension and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Also, this multicultural approach should be adapted when planning nutrition education since immigrant women have various acculturation levels, and the content and means of education should be adjusted to these acculturation levels. Management after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for immigrant women who do not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such as real cooking practices and food purchasing simulations must be developed. Fin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systematic plan for nutrition education among immigrant women liv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Policy support such as training nutrition educators on multicultural individuals residing in Korea is necessary for active and effective nutritional education.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Experiences and Meaning of AP (Advanced Placement) at the Specialized Schools for the Highly Gif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AP Participants)

  • 한기순;최호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1001-10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서 AP(Advanced Placement)를 경험하고 현재 대학생이 된 39명의 영재고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영재학교에서 운영 중인 AP의 운영실제 및 그 의미를 탐색하고 2015년부터 과학고로의 전면적 확대를 앞두고 있는 AP의 향후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현재 영재학교 학생들은 기초필수와 선택과목 등으로 평균 8과목 이상의 AP 과목을 수강하고 있었다. AP 교과목의 경우, 대개는 영재학교 2학년부터 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PT(placement test)를 통해 1학년 때부터 AP과목을 수강하는 경우도 있었다. AP로 제공되는 선택과목들은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수학 교과에서는 비교적 많은 전공 선택 과목이 제공되고 있으나 생물이나 전산 교과등을 이수하려는 학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선택의 폭이 적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 의하면 영재학교에서의 AP는 오히려 대학에서의 수업보다 내용상 더 어려웠으며 소수인원으로 진행되는 만큼 활발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함께 충실하게 운영되었다. 하지만 AP 과목의 이수 인정 학점인 C+의 타당성과 관련해서는 상이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다양한 측면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AP가 0.5년에서 1.5년의 조기졸업을 위한 통로로도 활용되어지지만,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복수전공, 부전공, 해외 교환학생 등과 같이 다양한 기회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남학생들의 경우 AP로 인해 단축된 시간이 있어 군복무 기간에 대해 다소 부담감을 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AP가 학생 개개인 관심사나 연구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주기도 하였으며, 무엇보다 AP를 통해 고등학교에서 보다 진지하게 진로를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유용한 시간이었다고 학생들은 지적한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에서 AP 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더욱 확대 발전하기 위해서 학교-대학 간의 보다 원활한 행정시스템 개선, AP 과목 인정 대학의 확대 등을 포함한 몇 가지 현실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노년층의 지역 내 계속 거주 이유에 관한 연구 (Reasons for Seniors' Aging in Place within Their Community)

  • 권오정;이용민;하해화;김진영;염혜실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3호
    • /
    • pp.285-29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asons for aging in place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 adults over the age of 60 years who preferred aging in place. Interviewees were asked questions about their experiences of past living, present living, and the future place where they want to live in and the reasons for their choice. In the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2 to May 2013 for data collec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ir past living experiences and future living plan and were given the freedom to answer the questions in their own words.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e following reasons for aging in place: 1) familiarity due to long-term residence, 2) strong attachment to the place and the neighbors, 3) satisfaction of present house, 4) personal stories associated with present house, 5) feeling of living in their own home, 6) convenience of the neighborhood for living, 7) caring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s, 8) fear of a change of environment, and 9) resignation to the rest of their lif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residential types in old age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both aging in place which referring to choosing to live where one has lived for years and referring to involuntarily staying where one has lived for years.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화장대 디자인 제안 - 20대 독신 여성을 중심으로 (Suggestion of smart Dressing Table design for one person household -Focusing on single women in their 20s)

  • 김다연;이동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5-170
    • /
    • 2018
  • 본 연구는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가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연구 대상 분석 후 최종 디자인까지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연구는 1인 가구 중 주도적인 가구 및 스마트 기기 소비 행태를 보여주는 20대 독신 여성을 중심으로 한다. 기존 국내 화장대의 편향된 디자인과 인식을 고찰하며 해외 화장대와 스마트 가구의 긍정적 사례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스마트 화장대에 대한 소비자 니즈 파악을 위해 예비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설문 진행 후 스마트 혁신 특징을 갖는 대상에 한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화장대와 융합할 스마트 기술 선호도와 개선사항을 정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임의의 페르소나 정립 후 대상이 갖는 스마트 화장대에 대한 니즈를 해결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결론으로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화장대에 적용할 스마트 기술의 우선순위와 최종 디자인을 제안한다. 소비자의 강한 혁신으로 스마트 가구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시대에 위와 같은 제안은 미래의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화장대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