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ences and Meaning of AP (Advanced Placement) at the Specialized Schools for the Highly Gif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AP Participants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4.10.17
  • Accepted : 2014.12.18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the AP (Advanced Placement) at the specialized school for the highly gif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39 college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the specialized schools with the AP experiences. It is expected that the AP will be expanded to the students at the Science High Schools from the year of 2015,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o examine the realities of the AP in-depth especially through the voices of the AP participants. Students have taken 8 required and/or selective courses as AP in average. Students usually start to take AP from the second year of the specialized school for the highly gifted, but some start from the first year through the placement test. Numbers of available AP courses vary by subjects, but relatively more courses open in the areas of math and physics. Students' opinions regarding the AP were quite positive. Specifically, the high quality of the AP class and energetic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teacher compared to the college classes were preferred by the students. However, it was controversial whether C+ is enough for the pass condition of the AP. Students were using the shortened time by AP in diverse ways, such as early graduation, double majors, exchange students, individual researches, and so on. Most of all, they tried to search for their career interests through the AP experiences. In closing, the present study provides some advice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better AP management,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between schools for the gifted and the universities, and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university which approves the AP system.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서 AP(Advanced Placement)를 경험하고 현재 대학생이 된 39명의 영재고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영재학교에서 운영 중인 AP의 운영실제 및 그 의미를 탐색하고 2015년부터 과학고로의 전면적 확대를 앞두고 있는 AP의 향후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현재 영재학교 학생들은 기초필수와 선택과목 등으로 평균 8과목 이상의 AP 과목을 수강하고 있었다. AP 교과목의 경우, 대개는 영재학교 2학년부터 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PT(placement test)를 통해 1학년 때부터 AP과목을 수강하는 경우도 있었다. AP로 제공되는 선택과목들은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수학 교과에서는 비교적 많은 전공 선택 과목이 제공되고 있으나 생물이나 전산 교과등을 이수하려는 학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선택의 폭이 적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 의하면 영재학교에서의 AP는 오히려 대학에서의 수업보다 내용상 더 어려웠으며 소수인원으로 진행되는 만큼 활발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함께 충실하게 운영되었다. 하지만 AP 과목의 이수 인정 학점인 C+의 타당성과 관련해서는 상이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다양한 측면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AP가 0.5년에서 1.5년의 조기졸업을 위한 통로로도 활용되어지지만,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복수전공, 부전공, 해외 교환학생 등과 같이 다양한 기회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남학생들의 경우 AP로 인해 단축된 시간이 있어 군복무 기간에 대해 다소 부담감을 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AP가 학생 개개인 관심사나 연구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주기도 하였으며, 무엇보다 AP를 통해 고등학교에서 보다 진지하게 진로를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유용한 시간이었다고 학생들은 지적한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에서 AP 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더욱 확대 발전하기 위해서 학교-대학 간의 보다 원활한 행정시스템 개선, AP 과목 인정 대학의 확대 등을 포함한 몇 가지 현실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익수, 홍후조, 성열관(2006). 우수 고교생의 대학진학준비 교육과정으로서의 AP와 IB의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16(4), 207-235.
  2. 김하석(2004). 대입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P제도의 도입과 대학입시. 공학교육, 11(4). 12-15.
  3. 박선미, 김경대, 김훈, 이태상(2008). 대학과목선이수제 운영체제 실태분석 및 개성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08028-310.
  4. 박선미, 김경대, 김훈, 이태상(2011). 국내.외 대학과목선이수제 실태비교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11-4-351.
  5. 연합신문 2013. 11. 21일자 기사: 과학고에서 대학 학점 취득한다. AP과정 확대.
  6. 오성근, 김홍원(2011). 고교수준의 대학과목선이수제(UP) 설치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CR2011-30.
  7. e-리포트 2012. 2. 19일자 기사: 대학과목선이수제의 한계.
  8. 정현철(2012).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영재학교 AP과정 운영방안 연구 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RR 2012-11.
  9. 한국경제신문 2013. 11. 21일자 기사: 과학고도 대학과목 선이수제 적용.
  10. 한기순(2013). 피로사회 속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담론. 영재교육연구, 23(6). 965-979. https://doi.org/10.9722/JGTE.2013.23.6.965
  11. Cross, T., Stewart, R., & Coleman, L.(2003). Phenomen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gifted studies research.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201-220. https://doi.org/10.1177/016235320302600304
  12. Herzog, N.(2003). Impact of gifted programs from the students'perspectives. Gifted Child Quarterly, 47(2), 131-143. https://doi.org/10.1177/001698620304700204
  13. Mendaglio, S.(2003). Qualitative case study in gifted educatio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163-183. https://doi.org/10.1177/016235320302600302
  14. Neumeister, K., & Hebert, T.(2003). Underachievement versus selective achievement.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221-238. https://doi.org/10.1177/016235320302600305
  15. Peine, M.(2003). Doing grounded theory research with gifted student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184-200. https://doi.org/10.1177/016235320302600303
  16. Witz, K. G., Goodwin, D. R., Hart, R. S., & Thomas, H. S.(2001). An essentialist methodology in education-related research using in-depth interview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3(2), 195-227. https://doi.org/10.1080/00220270119026
  17. Woods, P.(1996). Critical students: Breakthroughs in learning. In P. Woods (Ed.), Contemporary issues in teaching and learning. Lond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