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effect

검색결과 6,043건 처리시간 0.045초

Chlorhexidine 처리가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HEXIDIN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 오은화;최경규;김종률;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2호
    • /
    • pp.148-161
    • /
    • 2008
  • 본 연구는 상아질 혼성층의 교원섬유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ses)의 억제제로 알려진 chlorhexidine (CHX)을 적용 후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열순환 처리 후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접착계면에서의 파괴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식이 없는 발거한 32개의 제3대구치의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GI그룹에서는 dentin conditioner를 처리 후 2% chlorhexidine을 적용시키고, 산부식 접착제 그룹에서는 인산 산부식을 시행하고 2% chlorhexidine을 적용 후 3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 (Scotchbond Multipurpose, SM), 2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 (Single Bond, SB)를 도포하고, 자가부식 접착제 그룹에서는 2% chlorhexidine 적용 후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 (Clearfil Tri-S, TS)를 도포한다. 이후 복합 레진 (Z-250)과 GI (Fuji-II LC)를 충전한 시편을 $1\;mm^2$의 단면을 갖는 beam으로 제작하여 열순환 하지 않거나, 10,000회 열순환 ($5\;{\sim}\;55^{\circ}C$)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 (EZ-test; Shimadzu, Japan)에서 cross head speed 1 mm/min로 인장력을 가하여,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유의수준 0.05 level에서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그 후 파절된 시편의 파괴 양상을 현미경 (SEM)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 CHX을 적용한 모든 실험군에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증가하였고, 열순환은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감소시켰다 (P > 0.05). 2. CHX 적용 후 열순환 한 군은 CHX을 적용하지 않고 열순환한 군에 비하여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높았으며, 특히 GI와 TS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 < 0.05). 3. 파괴 양상 분석 결과, 혼성층에서의 접착성 파괴를 보이며, CHX을 적용하면 혼성층 기저부에서 상부로 파괴 부위가 옮겨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MMPs 억제제인 2% CHX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상아질 접착제의 초기 미세인장결합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CHX 적용이 접착내구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현탁배양을 통한 음나무(Kalopanax pictus) 배발생 캘러스의 증식 (Proliferation of Embryogenic Callus of Kalopanax pictus through Suspension Culture System)

  • 김혜진;김원배;유동림;김수정;이준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0-65
    • /
    • 2008
  • 배발생 캘러스 유도 실험을 통해 음나무의 대량 증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절편체의 부위 및 호르몬 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보였으나 대부분의 조건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유기되었다. 특히 엽병 절편체에 비하여 잎 절편체에서 배발생 캘러스 유기가 더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2.0mg/l의 2,4-D와 0.1mg/l의 BA를 혼합 처리한 조건에서 가장 많이 유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발생 캘러스의 대량 증식을 위하여 현탁배양을 실시한 결과 1.0mg/l의 2,4-D를 첨가한 배양액이 증식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염류를 1/2로 반감한 B5 배지와 White 배지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탄소원은 3%의 농도를 사용하였을 때 캘러스 증식 뿐만 아니라 체세포 배의 발아에도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는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음나무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용버섯 추출물의 식중독균 및 암세포 증식에 대한 저해 효과 (Inhibitive Effects of Edible Mushrooms Extracts on Pathogenic Bacteria and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 김현정;배준태;이인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37-642
    • /
    • 2005
  • 일상생활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유통되는 12종의 버섯류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함께 인간유래의 간암 및 결장암 세포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버섯 메탄올추출물은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버섯 열수추출물은 이들 균에 대해 생육 억제활성이 없거나 약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만가닥버섯과 느타리버섯 메탄올추출물은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고,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애느타리버섯도 6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다. 또한 버섯 메탄올추출물은 인간유래 결장암세포인 HT-29보다는 간암세포인 HepG2에 대해 더 높은 성장 저해능을 보였다. HepG2에 대해 번데기동충하초 메탄올추출물이 $67\%$의 가장 높은 성장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HT-29에 대해서는 향버섯 메탄올추출물이 $81.1\%$의 가장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번데기동충하초, 아카리쿠스, 영지버섯, 향버섯 열수추출물에서 HepG2 및 HT-29에 대해 $50\%$ 정도의 억제 활성을 볼 수 있었고, 다른 버섯 열수추출물은 억제활성을 볼 수 없었다. 특히 번데기동충하초, 아카리쿠스, 만가닥버섯, 영지버섯, 향버섯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은 이들 암세포주에 대해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품종별 발아 콩(Glycine max)의 아이소플라본 조성 및 In Vitro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Isoflavone Composition and Estrogenic Activity of Germinated Soybeans (Glycine max) according to Variety)

  • 김민영;장귀영;지영미;김경미;김홍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430-143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서로 다른 한국산 4 품종(아가 8호, 우람, 다원콩 및 청자 3호)의 콩에 대하여 발아에 따른 아이소플라본 조성 및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아이소플라본 조성은 발아에 따라 총아이소플라본, glycosides 계열, acetyl glycoside 계열 및 비배당체는 증가하였지만, malonyl glycosides 계열은 감소하였다. 품종에 따라 발아 전에는 아가 8호> 청자3호> 우람> 다원 순으로 총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발아 후에는 다원 품종이 우람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은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아가 8호 및 청자 3호가 $25{\mu}g/mL$의 농도에서 발아 후 135.34 및 121.05%의 높은 세포 증식 효과를 보였다. 또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높게 나타난 아가 8호 및 청자 3호의 발아콩 추출물은 에스트로겐과 병용 처리 시 낮은 세포생존률을 보여 항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아가 8호 및 청자 3호에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높게 나타나 품종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이소플라본 함량과 에스트로겐 유사활성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나노 금속복합체의 박과 작물 종자 분리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no Metal Hybrid Materials against th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ucurbit Seeds)

  • 김상우;권병헌;주한준;마헤시 아드히카리;박미리;송석균;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25권4호
    • /
    • pp.179-187
    • /
    • 2019
  • 이 연구는 플라즈마 기술 (radio frequency-thermal plasma system과 direct current sputtering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된 나노 금속복합체를 이용하여 박과 작물(수박, 호박, 박)의 종자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항균 활성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8종의 나노 금속복합체와 4가지의 담체를 이용하여 5종의 곰팡이와 10종의 세균을 대상으로 기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곰팡이를 대상으로 한 항균실험에서 나노 금속복합체 Brass/CaCO3의 경우 1,000 ppm 농도에서 5종의 곰팡이에 대하여 100%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세균을 대상으로 한 항균실험의 경우 나노 금속복합체 Brass/CaCO3(1,000 ppm)은 Weissella sp., Rhodotorula mucilaginosa, Burkholderia sp. 그리고 Enterococcus sp. 4가지 세균을 100%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노 금속복합체 G-Ni은 Rhizopus stolonifer에 대하여 100% 항균효과를 나타냈으며, 4가지 곰팡이에 대해서는 52.94-71.76% 정도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나노 금속복합체 G-Ni은 10종의 세균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8가지 나노 금속복합체와 4가지 담체 중에서 Brass/CaCO3가 5종의 곰팡이와 4종의 세균 대하여 항균효과가 있었으며, G-Ni는 5종의 곰팡이에 대해서 52.94-100% 효과를 보였으나 세균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아질 삭제기구가 자가부식 접착제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UTTING INSTRUMENTS ON THE DENTIN BOND STRENGTH OF A SELF-ETCH ADHESIVE)

  • 이영곤;문소라;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1호
    • /
    • pp.13-19
    • /
    • 2010
  • 이 연구는 다이몬드 포인트와 카바이드 버 및 SiC paper로 삭제한 상아질에 대한 자가부식 프라이머 접착제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SiC paper와 유사한 결합강도를 나타내는 회전용 삭제기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56개의 발거된 대구치 치관의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켜 1.2 mm의 두께의 시편을 제작한 후 8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standard diamond point (TF-12), 2군은 fine diamond point (TF-12F). 3군은 extrafine diamond point (TF-12EF), 4군은 cross-cut carbide bur (no. 557), 5군은 plain-cut carbide bur (no. 245), 6군은 P 120-grade SiC paper, 7군은 P 220-grade SiC paper, 8군은 P 800-grade SiC paper를 사용하여 각 시편의 상아질 표면을 약 0.2 mm정도 삭제하였다. 상아질 표면에 Clearfil SE Primer와 Bond를 적용하고 Tygon tube를 이용하여 Clearfil AP-X를 충전하고 40초간 광조사 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를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측정한 후, 각 군의 결합강도를 one-way ANOVA와 Tukey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가부식 프라이머 접착제 사용 시 상아질에 대한 개선된 접착을 위해서는 초미세입자 다이아몬드 포인트의 사용이 추천되며, 실험실적인 연구에서 P 220-grade SiC paper의 사용은 미세입자 다이아몬드 포인트나 카바이드 버로 삭제한 상아질 면과 유사한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Down-regulation of Phosphoglucose Isomerase/Autocrine Motility Factor Enhances Gensenoside Rh2 Pharmacological Action on Leukemia KG1α Cells

  • You, Zhi-Mei;Zhao, Liang;Xia, Jing;Wei, Qiang;Liu, Yu-Min;Liu, Xiao-Yan;Chen, Di-Long;Li, J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3호
    • /
    • pp.1099-1104
    • /
    • 2014
  • Aims and Background: Ginsenoside Rh2, which exerts the potent anticancer action both in vitro and in vivo, is one of the most well characterized ginsenosides extracted from ginseng. Although its effects on cancer are significant, the underlying mechanisms remain unknown. In this study, we sought to elucidate possible links between ginsenoside Rh2 and phosphoglucose isomerase/autocrine motility factor (PGI/AMF). Methods: $KG1{\alpha}$, a leukemia cell line highly expressing PGI/AMF was assess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reverse transcription- PCR (RT-PCR) assay after transfection of a small interfering (si)-RNA to silence PGI/AMF. The effect of PGI/AMF on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typan blue assay and antibody array. A cell counting kit (CCK)-8 and flow cytometry (FCM) were ado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h2 on PGI/AMF. The relationships between PGI/AMF and Rh2 associated with Akt, mTOR, Raptor, Rag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KG1${\alpha}$ cells expressed PGI/AMF and its down-regulation significantly inhibited proliferation. The antibody array indicated that the probable mechanism was reduced expression of PARP, State1, SAPK/JNK and Erk1/2, while those of PRAS40 and p38 were up-regulated. Silencing of PGI/AMF enhanced the sensibility of $KG1{\alpha}$ to Rh2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mTOR, Raptor and Ak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insenoside Rh2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KG1{\alpha}$, the same as down-regulation of PGI/AMF. Down-regulation of PGI/AMF enhanced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oside Rh2 on KG1${\alpha}$ by reducing Akt/mTOR signaling.

제주도 자생식물들에 대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 탐색 (Preliminary Screening of Some Jeju Island Native Plants for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 유병삼;문지영;김주호;현진원;강경아;고재숙;서영경;백지훈;박덕훈;이종성;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1-1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7 종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였다. 미백 효능은 in vitro tyrosinase 저해활성과 B16-F1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여 확인하였고, 항산화 효능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방법과 DCF-DA (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이용한 V79-4 폐 섬유아세포에서 활성 산소종 소거작용 능력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실험 조건에서 식물추출물들의 투여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MTT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수행하였다. 미백 효능조사 실험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던 8종의 식물 추출물들은 토끼를 이용한 국소 독성 시험 및 인체 피부 자극 임상 시험에 적용하여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높은 미백과 항산화 효능을 동시에 나타내었던 비수리(Lespedeza cuneata), 제주광나무(Ligustrum lucidum (stem)), 산뽕나무(Morus bombycis (stem)), 꿀풀(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의 식물추출물들은 화장품 원료화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루틴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탄성 리포좀 제형 연구 (Elastic Liposome Formulation for Transdermal Delivery of Rutin)

  • 임명선;한샛별;권순식;박민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7-15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루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여, 이 제형의 물리적 특성과 증진된 피부 투과 효과를 평가하였다. 탄성 리포좀은 인지질과 계면활성제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루틴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205.7 ~ 298.0 nm, 가변형성은 20.9 ~ 42.5, 포집효율은 52.0 ~ 71.0 %로 측정되었다. 0.1 % 루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 중에서 인지질과 계면활성제 비율이 85 : 15 인 경우가 가장 높은 포집효율(71.0 %)과 가변형성 지수(42.5)를 나타내었다. 이 제형을 대상으로 피부 투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 리포좀(98.0 ${\mu}g/cm^2$)과 1,3-butylene glycol (76.3 ${\mu} g/cm^2$) 용액보다 탄성 리포좀의 피부 투과능(129.9 ${\mu}g/cm^2$)이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Tego^{(R)}$ care 450을 이용한 탄성 리포좀이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 전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magnesium and calcium phosphate coatings on osteoblastic responses to the titanium surface

  • Park, Ki-Deog;Lee, Bo-Ah;Piao, Xing-Hui;Lee, Kyung-Ku;Park, Sang-Won;Oh, Hee-Kyun;Kim, Young-Joon;Park, Hong-Ju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4호
    • /
    • pp.402-408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face properties and in vitro bioactivity to osteoblasts of magnesium and magnesium-hydroxyapatite coated titanium. MATERIALS AND METHODS. Themagnesium (Mg) and magnesium-hydroxyapatite (Mg-HA) coatings on titanium (Ti) substrates were prepared by radio frequency (RF) and direct current (DC) magnetron sputtering.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non-coated smooth Ti (Ti-S group), Mg coatinggroup (Ti-Mg group), and Mg-HA coating group (Ti-MgHA group).The surface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 surface roughness was evaluat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AFM). Cell adhesion,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were evaluated using MC3T3-E1 cells.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Cross-sectional SEM images showed that Mg and Mg-HA depositionson titanium substrates were performed successfully. The surface roughness appeared to be similaramong the three groups. Ti-MgHA and Ti-Mg group had improved cellular responses with regard to the proliferation,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bone-associated markers, such as bone sialoprotein (BSP) and osteocalcin (OCN) mRNA compared to those of Ti-S group.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i-Mg group and Ti-MgHA group were not significant, in spite of the tendency of higher proliferation, ALP activity and BSP expression in Ti-MgHA group. CONCLUSION. Mg and Mg-HAcoatings could stimulate the differentiation into osteoblastic MC3T3-E1 cells, potentially contributing to rapid osseo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