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polipidemic effect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48초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서 해당근에서 분리된 Euscaphic Acid 및 Tormentic Acid의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from the Roots of Rosa rugosa o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 박희준;남정환;정현주;이명선;이경태;정민화;최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36권4호통권143호
    • /
    • pp.324-331
    • /
    • 2005
  • The roots of Rosa rugosa have been used to treat diabetes mellitus in the folkloric society of Korea. To demonstrate the active component for the rat obesity induced by high fat diet for 6 weeks, the phytochemical fractionation and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test were performed on this crude drug. It was shown that the methanolic extract and its EtOAc fraction inhibited the weight increase of the rat body, abdominal fat pad and hyperlipidemia at 200 mg/kg dose. Further, the triterpenoids,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isolated from R. rugosa roots were active at 30 mg/kg in the same assay. The two components shifted serum total-, HDL, and LDL-cholesterol levels toward the values of the unteated group, suggesting that the active compounds has hypolipidemic effects. The rats fad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also reduce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 (TBARS) and hydroxyl radical in the rat blood and increase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TBARS values and carbonyl contest of the hepatic protein were reduced by treatment with the two triterpenoids. Antioxidative enzyme (SOD,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in hepatic were increased by treatment of rats with the triterpenoids, which suggests that triterpenoids inhibited the reduction of hepatic antioxidative activity caused by high fat die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pport that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improve a high fat diet-induced hyperlipidemia via the activation of antioxidative mechanism.

흑삼농축액을 이용한 흑삼두부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lack Ginseng Tofu)

  • 김민정;김애정;신정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8-74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cess Tofu as an hypolipidemic food using black ginseng. Before processing we performed the ameliorating effect of black ginseng on the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diabetic mice (db/db mice). As a result, the diabetic mice, whose diet was supplemented with black ginseng has a reduced level of serum lipid total cholesterol ($124.58{\pm}10.59mg/dL$) compared to non-supplemented diabetic mice, The supplemented mice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p<0.05) in serum lipid triglycerides ($80.32{\pm}35.40mg/dL$), which provided the efficacy of black ginseng in reducing hyperlipemia, thus indirectly proving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Then we processed Tofu as a hypolipidemic food using 0~8% black ginseng extract. We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 after producing black ginseng Tofu. For color value, as the addition level of color increases, the value of L (lightness) decreased and a (redness), b (yellowness) increased. With increase in black ginseng concentrate additional level increases,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values increased (p<0.05), but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e of sensory evaluation, Tofu with the addition of 2% black ginseng concentrate (BGT2)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overall. To sum up, black ginseng demonstrated pharmacological effects in treating diabetic complications like hyperlipidemia and reducing body deposit fat.

고당질 식이시 n6 와 n3 불포화 지방산이 쥐의 혈장지질 저하기전에 미치는 영향 (Plasma Lipid-Lowering Effect of n6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Rats Fed High Carbohydrate Diet)

  • 남정혜;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5호
    • /
    • pp.420-430
    • /
    • 1991
  • To compare the hypolipidemic effects of n6 linoleic acid. n3 $\alpha$-linolenic acid and n3 eicosapentaenoic acid in rats fed high carbohydrate(70% Cal) diet.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different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which were different only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dietary fats were beer tallow(BT) as a source of saturated fatty acid (SFA), corn oil(CO) for n6 linoleic acid(LA), perilla oil(PO) for n3 $\alpha$-linolenic acid(LL) and fish oil(FO) for n3 eicosapentaenoic acid(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Plasma total cholesterol(Chol) level was increased by n6 LA but decreased by n3 LL and n3 EPA and most effectively reduced by n3 EPA. HDL-Chol level was raised by n6 L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HDL-Chol levels by n3 LL and was lowered by n3 EPA. Plasma TG level was reduced by n6 LA, but lipogenesis in liver was not affected by n6 LA. However, plasma TG level was lowered by n3 LL and EPA. Both lipogenic enzyme activity and liver TC level were also decreased by n3 PUFA. The relative proportions of TG in VLDL was significantly lowered by n3 EPA. but the proportions of Apo B in VLDL was not changed by n3 EPA. Overall. the hypolipidemic effect was in the order of EPA+ DHA(n3) >LL(n3) >LA(n6) and fish oil and perilla oil rich in n3 PUFA may have important nutritional application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riglyceridemia.

  • PDF

고지혈증과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생쥐에서 메밀 식이섬유의 개선 효과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Improving Buckwheat Dietary Fiber in Mice with Hyperlipidemia and Oxidative Stress)

  • 이광연;배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05-112
    • /
    • 2021
  • 고지방 식이로 고지혈증과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생쥐에서 메밀식이섬유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고지방 식이와 함께 메밀식이섬유(저농도, 500 mg/kg; 고농도, 1,000 mg/kg)를 제공한 그룹의 체중은 고지방 식이만 제공한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메밀식이섬유를 제공한 그룹의 지질프로파일 개선 효과는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용량 의존적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지질 프로파일과 인슐린, 포도당 및 유리 지방산의 수준은 메밀식이섬유 제공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HDL-C와 디포넥틴은 유의하게 증가했다(p<0.05). 한편, 고지방 식이만 제공한 그룹과 비교하여 메밀식이섬유 제공으로 혈청 말론다이알데히드(MDA) 수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과적으로 메밀식이섬유의 섭취는 이상지질혈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개선함으로써 비만과 관련 대사 장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비만에 대한 고지혈증 치료제와 수영운동의 병합처방의 효과 (The effect of swimming plus hypolipidemic agent on obesity)

  • 정선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4-46
    • /
    • 2019
  • 비만은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8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에서 고지혈증 치료제인 피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단독처방, 수영운동 단독처방 및 fenofibrate와 수영운동의 병합처방이 비만을 조절하는지를 조사하고, fenofibrate와 수영운동의 병합처방이 fenofibrate 단독처방에 비해 효과적으로 비만을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였다. Fenofibrate 단독처방과 수영운동 단독처방 모두 대조군에 비해 비만과 관련된 요소들인 몸무게, 지방무게, 혈청 지질성분 및 지방세포 크기를 감소시켰다. 쥐는 fenofibrate와 수영운동의 병합처방 되었을 경우 fenofibrate 단독처방 되었을 경우에 비해 비만과 관련된 요소들이 더 효과적으로 감소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fenofibrate 단독처방, 수영운동 단독처방 및 fenofibrate와 수영운동의 병합처방 모두 혈청 포도당 수치를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fenofibrate와 수영운동의 병합처방이 비만과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발생되는 대사증후군의 억제에 공헌할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을 포함하는 돼지감자 복합물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서 혈당강하 및 체내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Jerusalem artichoke Composit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호문사;이수정;표재호;김성희;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71-680
    • /
    • 2018
  • 돼지감자 농축액(JA, 50%)에 명월초(12.5%), 여주(12.5%), 울금(12.5%) 추출물이 혼합된 돼지감자 복합물(JAP)을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 유발된 흰쥐에 4주간 급이하였을 때 혈당강하 및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ormal), 당뇨 대조군(Diabetic), 당뇨 유발된 흰쥐에 명월초 추출물 급이군(D-GPE), 돼지감자 복합물 급이군(0.5 g/kg, D-JAP1; 1.5 g/kg, D-JAP2), 돼지감자 농축액 급이군(D-JA) 및 메타포민 급이군(D-MET)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사육 4주 동안 혈당 변화는 D-JAP2군 및 D-MET군에서 3주간 실험식이 급이 후 두드러진 감소현상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 함량은 실험식이의 급이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HOMA-IR값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실험식이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의 AST 및 ALT 활성은 D-JAP1군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의 총 지질 및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시료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D-GPE, D-JAP1 및 D-JAP2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간 조직 중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D-GPE, D-JAP1 및 D-JAP2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D-JAP1 및 D-JAP2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 조직의 SOD 및 catalase 수준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D-GPE, D-JAP1 및 D-JAP2군에서, GSH-Px 수준은 모든 실험식이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돼지감자 복합물은 돼지감자 농축액에 비해 혈당강하 및 당뇨로 인한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생약재와 와송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강하 및 혈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with Medicinal Herb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수정;신정혜;주종찬;강신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87-594
    • /
    • 2013
  • 생약재(백복령, 사인 및 창출) 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한 것에 와송 추출물을 첨가하여 만든 복합물이 당뇨쥐의 혈당강하 및 혈중 지질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정상군, 당뇨 대조군, 생약재 혼합물 급여군(D-MH), 생약재 혼합물과 와송 추출물의 1:1 복합물 급여군(D-MHOA) 및 1:3 복합물 급여군(D-MHOB)으로 구분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하였다. 실험 사육 4주 후 체중의 증가량은 모든 실험군이 당뇨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D-MHOB군에서만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실험 사육 기간 동안 공복 혈당은 실험 식이의 급여 2주 후부터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2~3주 동안에는 D-MH군과 D-MHOA군 간에 비슷한 수준이었다. 4주 후에는 D-MHOB군의 공복 혈당이 가장 낮았다. 내당능 측정 결과, 포도당 급여 60분에 모든 실험군에서 최고 혈당치를 보였으나, 생약재 혼합물 및 와송의 복합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당화 헤모글로빈 함량은 정상군(3.9%)에 비해 대조군이 약 1.9배 증가되었으며, D-MH군에 비해 D-MHOA 및 D-MHOB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생약재에 대한 와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혈청 총 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HDL-C 함량은 D-MHOB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GPT 활성은 D-MHOB군이 여타의 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생약재 혼합물 급여군에 비해서 와송 추출물의 첨가군에서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와송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작았다. 항산화 활성은 와송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와송은 생약재 혼합물에 첨가됨으로써 혈당 저하 및 지질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상 또는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쥐에서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이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Hypolipidemic Effects of Peptide Fractions of Casein on Serum Lipids in Rats Fed Normal or High Fat Diet)

  • 오주환;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3-27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이 정상 및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쥐에서의 혈청 및 조직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섭취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상 지방식이 (7% soybean oil & cholesterol-free; Expt I)를 섭취한 흰쥐는 정상 혈청 지질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배설량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긴 하였지만 이때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군의 혈청,간조직의 지질농도에 대한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순환기계질환의 주요 인자인 HDL/LDL비는 친.소수성 펩타이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지방 콜레스테롤식이 (18% beef tallow & 1% cholesterol; Expt II)를 급여하였을 경우,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군에서 분중으로의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설량이 유의 적 (p<0.05)으로 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 고지방식이를 급여했을 때 친.소수성펩타이드 분획물군이 casein군에 비해 혈중 및 간조직 중의 지질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HDL/LDL비도 casein군에 비해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군에서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이는 고 혈증 위험요소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CL & CB)의 아미노산 조성 결과, 친.소수성 펩타이드 식이의 glycine과 methionine함량은 casein 식이의 조성과 거의 비슷한데, arginine과 lysine함량은 casein 식이의 조성과 상당히 달랐다. 또한 혈중 지질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어지는 arginine/lysine 비와 glycine/methionine 비는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 식이(CL & CB)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실험 결과와 같이 고찰해볼 때, 아미노산 조성이 혈중 및 조직 중의 지질저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고,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였다. 친.소수성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보았을 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서 혈중 및 간조직의 지질함량을 저하 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능한 기전으로는 분중으로의 지질 배설량을 증가시킨 것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섭취기간이 길어질수록 효과가 확실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의 아미노산 조성비의 차이라기보다는 펩타이드 자체의 효과임이 시사되었다.

연잎-연근 복합 발효물이 흰쥐의 내당능 및 지질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Glucose Intolerance and Lipid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 김형구;;김동일;구병수;김호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prediabetes and hyperlipidemia in high fructose diet rats. Methods Extracts of lotus leaf and lotus root were fermented using 4 different probiotics separately,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Expression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Adiponectin, GLUT-4, Leptin, PPAR gamma, Resistin and Visfatin were analyzed by Real time PCR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Fermented lotus extracts reduced blood glucose. Fermented lotus extracts inhibited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by inhibiting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The level of gene expression of Adiponectin, GLUT-4, Leptin, PPAR gamma, Resistin and Visfatin in relation to that of GAPDH were increase or decrease significantly with the Fermented lotus formulation group. Conclusions Fermented lotus extracts showed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by inhibiting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controlling insulin sensitivity in high fructose diet rats.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패류식이 급여 효과 (The Effects of Dietary Shellfish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Fat Supplement)

  • 김은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8호
    • /
    • pp.1217-1225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ellfish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supplement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ting approximately 165g were fed a basal diet, a high fat diet, or a high fat diet plus shellfish for 4 weeks. The shellfishes on the were oyster, hard-shelled mussel, little neck clam, and march clam. Alfter 4 weeks high fat diet, supplementation of 20% lard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GOT, GPT, ${\gamma}$-GTP , and liver triglyceride (TG). Plasma GOT, GPT, ${\gamma}$-GTP ,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r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hellfish groups than in basal and high-fat groups regardless of high-fat supplementation (p<0.05). The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 in liver showed similar results(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lucose, HDL-cholesterol in plasma and total cholesterol and total lipid in liver between basal and high-fat supplemented diets. Liong chain fatty acids, specific components of shellfishes group, were exclusively higher than in basal and high-fat diets, and were most well-reflected in liver and plasma. From the above results, the hypolipidemic effects of shellfish were detected in the process of inducing hyperlipidemia by high-fat supplement.

  • PDF